‘럼피스킨’ 백신 접종률 84%라더니…9백 마리에 ‘물백신’

입력 2023.11.05 (21:27) 수정 2023.11.06 (07: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소 럼피스킨병 확진 사례가 오늘(5일)까지 78곳으로 집계됐습니다.

정부가 백신 접종에 속도를 내는 가운데 접종률이 84%를 넘었다고 밝혔는데요.

그런데 일부 지역에서 소 수백 마리에 실수로 백신 항원이 빠진 희석액, 그러니까 정제된 물만 접종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습니다.

황경주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수의사가 소 럼피스킨병 백신 접종을 위해 주사액을 준비합니다.

먼저 큰 병에 담긴 액체를 주사기로 빨아들이고 이 액체를 작은 병에 주입한 뒤 흔들어줍니다.

큰 병에는 정제된 물인 희석액이, 작은 병에는 가루로 된 항원, 즉 실제 백신이 들어있어 잘 섞은 뒤 접종해야 합니다.

수의사 없이 자가접종을 하는 축산농가도 같은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그런데 지난 1일 경남 거창군이 일부 농가에 항원을 뺀 희석액만 전달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27개 농가, 소 천 8백여 마리분 백신을 잘못 나눠준 겁니다.

이튿날 거창군은 이 사실을 알고도, 백신을 잘못 나눠준 농가를 이틀이 지나도록 정확히 파악하지 못했습니다.

그 사이 11개 농가, 9백 마리가 희석액을 백신으로 잘못 알고 주사를 맞았습니다.

[거창군 관계자/음성변조 : "(항원) 누락 사실 알리고, 이상 여부 그런 것을 말하고 있는데 다 정확하게 받았다고 해서, 계속 찾고 있었는데…."]

뒤늦게 이 사태를 파악한 농림축산식품부는 오늘에서야 이들 농가에 수의사 3명을 긴급히 투입해 백신을 다시 접종했습니다.

또 다른 항원 누락 사례가 있는지 확인하고 있습니다.

[김정주/과장/농식품부 구제역방역과장 : "그런 사례가 (또) 있으면 즉시 재접종이라든가 추가 공급 이런 것들을 통해서 접종에 누락되는 농가가 없도록…."]

농식품부는 오는 10일까지 백신 접종을 마무리하고, 농가의 관리 대장과 백신 공병 등을 확인해 사후 관리에 들어갈 계획입니다.

KBS 뉴스 황경주입니다.

영상편집:최근혁/그래픽:서수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럼피스킨’ 백신 접종률 84%라더니…9백 마리에 ‘물백신’
    • 입력 2023-11-05 21:27:14
    • 수정2023-11-06 07:53:39
    뉴스 9
[앵커]

소 럼피스킨병 확진 사례가 오늘(5일)까지 78곳으로 집계됐습니다.

정부가 백신 접종에 속도를 내는 가운데 접종률이 84%를 넘었다고 밝혔는데요.

그런데 일부 지역에서 소 수백 마리에 실수로 백신 항원이 빠진 희석액, 그러니까 정제된 물만 접종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습니다.

황경주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수의사가 소 럼피스킨병 백신 접종을 위해 주사액을 준비합니다.

먼저 큰 병에 담긴 액체를 주사기로 빨아들이고 이 액체를 작은 병에 주입한 뒤 흔들어줍니다.

큰 병에는 정제된 물인 희석액이, 작은 병에는 가루로 된 항원, 즉 실제 백신이 들어있어 잘 섞은 뒤 접종해야 합니다.

수의사 없이 자가접종을 하는 축산농가도 같은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그런데 지난 1일 경남 거창군이 일부 농가에 항원을 뺀 희석액만 전달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27개 농가, 소 천 8백여 마리분 백신을 잘못 나눠준 겁니다.

이튿날 거창군은 이 사실을 알고도, 백신을 잘못 나눠준 농가를 이틀이 지나도록 정확히 파악하지 못했습니다.

그 사이 11개 농가, 9백 마리가 희석액을 백신으로 잘못 알고 주사를 맞았습니다.

[거창군 관계자/음성변조 : "(항원) 누락 사실 알리고, 이상 여부 그런 것을 말하고 있는데 다 정확하게 받았다고 해서, 계속 찾고 있었는데…."]

뒤늦게 이 사태를 파악한 농림축산식품부는 오늘에서야 이들 농가에 수의사 3명을 긴급히 투입해 백신을 다시 접종했습니다.

또 다른 항원 누락 사례가 있는지 확인하고 있습니다.

[김정주/과장/농식품부 구제역방역과장 : "그런 사례가 (또) 있으면 즉시 재접종이라든가 추가 공급 이런 것들을 통해서 접종에 누락되는 농가가 없도록…."]

농식품부는 오는 10일까지 백신 접종을 마무리하고, 농가의 관리 대장과 백신 공병 등을 확인해 사후 관리에 들어갈 계획입니다.

KBS 뉴스 황경주입니다.

영상편집:최근혁/그래픽:서수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