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최대 규모’…세종 네이버 데이터센터 개관

입력 2023.11.08 (19:58) 수정 2023.11.08 (20: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서버 수용량이 국립중앙박물관 데이터의 100만 배에 이르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네이버 데이터센터가 세종에 문을 열었습니다.

세종시와 네이버는 IT 교육과 산학연 협력 등 지역 사회 공헌 활동도 강화할 방침입니다.

한솔 기자입니다.

[리포트]

세종 집현동에 있는 부용산 자락입니다.

축구장 41개 크기의 부지에 지하 3층, 지상 4층 규모의 네이버 데이터센터 '각 세종'이 문을 열었습니다.

당대 최고의 기술로 팔만대장경을 보존해 온 '장경각'에서 이름을 따왔습니다.

국립중앙박물관 데이터양의 100만 배 규모인 60만 유닛을 수용할 수 있는데 아시아 최대 규모의 서버 수용량입니다.

서버의 열을 식히는 냉방 설비에 많은 에너지를 쓰는 데이터센터 특성상, 산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서버 냉각에 쓸 수 있도록 했습니다.

네이버가 지역에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지은 건 강원도 춘천에 이어 10년 만입니다.

[김재필/네이버클라우드 데이터센터 리더 : "수도권에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센터의 과밀을 억제하고, 세종의 지역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데이터센터가 들어선 자리는 현재 조성 중인 도시첨단산업단지와 대학 공동캠퍼스와도 인접해 세종시는 산학연 협력 등 산업 연계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최민호/세종시장 : "네이버 각 센터가 세종에 있음으로써 세종의 지식산업뿐만 아니라 나아가서 우리나라의 지식산업 내지는 첨단산업의 중요한 기초가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네이버는 데이터센터 개관을 계기로 클라우드 교육 등 학생과 시민을 대상으로 한 IT 교육을 이어나갈 방침입니다.

KBS 뉴스 한솔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아시아 최대 규모’…세종 네이버 데이터센터 개관
    • 입력 2023-11-08 19:58:15
    • 수정2023-11-08 20:10:08
    뉴스7(대전)
[앵커]

서버 수용량이 국립중앙박물관 데이터의 100만 배에 이르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네이버 데이터센터가 세종에 문을 열었습니다.

세종시와 네이버는 IT 교육과 산학연 협력 등 지역 사회 공헌 활동도 강화할 방침입니다.

한솔 기자입니다.

[리포트]

세종 집현동에 있는 부용산 자락입니다.

축구장 41개 크기의 부지에 지하 3층, 지상 4층 규모의 네이버 데이터센터 '각 세종'이 문을 열었습니다.

당대 최고의 기술로 팔만대장경을 보존해 온 '장경각'에서 이름을 따왔습니다.

국립중앙박물관 데이터양의 100만 배 규모인 60만 유닛을 수용할 수 있는데 아시아 최대 규모의 서버 수용량입니다.

서버의 열을 식히는 냉방 설비에 많은 에너지를 쓰는 데이터센터 특성상, 산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서버 냉각에 쓸 수 있도록 했습니다.

네이버가 지역에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지은 건 강원도 춘천에 이어 10년 만입니다.

[김재필/네이버클라우드 데이터센터 리더 : "수도권에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센터의 과밀을 억제하고, 세종의 지역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데이터센터가 들어선 자리는 현재 조성 중인 도시첨단산업단지와 대학 공동캠퍼스와도 인접해 세종시는 산학연 협력 등 산업 연계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최민호/세종시장 : "네이버 각 센터가 세종에 있음으로써 세종의 지식산업뿐만 아니라 나아가서 우리나라의 지식산업 내지는 첨단산업의 중요한 기초가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네이버는 데이터센터 개관을 계기로 클라우드 교육 등 학생과 시민을 대상으로 한 IT 교육을 이어나갈 방침입니다.

KBS 뉴스 한솔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전-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