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옥상에 ‘스마트팜’…“에너지·온실가스 둘 다 잡는다”
입력 2023.11.15 (18:24)
수정 2023.11.16 (13: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에너지를 절약하고, 온실 가스도 줄일 수 있는 '건물 일체형 옥상 온실'이 서울 도심 한복판에 지어졌습니다.
상업용 건물에 이러한 옥상 온실이 지어진 것은 국내에서 처음인데요,
지속 가능한 친환경 기술이 확산될 지 주목됩니다.
전현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도심 고층 빌딩 옥상에 200제곱미터 규모의 대형 온실이 자리 잡았습니다.
파프리카와 서양가지 등 채소 재배 뿐 아니라, 에너지 소비와 탄소 배출 감축까지 해내는 국내 첫 옥상 '스마트팜'입니다.
건물과 온실의 에너지를 통합 제어하는 '에너지 교환 기술'이 적용됐습니다.
이 기술로 건물 안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와 온실 채소들이 만들어낸 산소를 교환해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습니다.
열이 새나가는 옥상에 설치된만큼 겨울엔 단열, 여름엔 열 유입 차단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기술을 개발한 연구팀은 이를 통해 냉난방 에너지 20%, 온실 가스는 30% 줄일 수 있을 거로 예상했습니다.
[최은정/한국기계연구원 선임연구원 : "건물의 사무 공간이나 발전기에서 버려지는 폐열과 CO2(이산화탄소) 등을 온실에 난방 또는 광합성에… 겨울철 난방 에너지 절감이라던가 열 유입 차단을 통한 냉방 에너지 절감 이런 식으로."]
다만, 에너지 저장 기술 등과 도심 건물에 맞는 설계는 발전이 더 필요한 부분입니다.
[권진경/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연구관 : "에너지 저장 같은 일종의 '에너지 그리드' 설계가 충분히 이뤄져야 하고요. 강풍이나 폭설 때문에 건물의 구조 안전성에 온실의 존재가 영향을 미칠 수가 있습니다. (건물과 온실)양쪽 다 구조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연구팀은 첫 옥상 스마트팜의 결과를 기반으로 내년엔 서울 대형 호텔 옥상에 더 큰 규모로 '옥상 온실'을 설치해 기술 확산을 이어갈 계획입니다.
KBS 뉴스 전현우입니다.
촬영기자:강승혁/영상편집:정광진/그래픽:여현수
에너지를 절약하고, 온실 가스도 줄일 수 있는 '건물 일체형 옥상 온실'이 서울 도심 한복판에 지어졌습니다.
상업용 건물에 이러한 옥상 온실이 지어진 것은 국내에서 처음인데요,
지속 가능한 친환경 기술이 확산될 지 주목됩니다.
전현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도심 고층 빌딩 옥상에 200제곱미터 규모의 대형 온실이 자리 잡았습니다.
파프리카와 서양가지 등 채소 재배 뿐 아니라, 에너지 소비와 탄소 배출 감축까지 해내는 국내 첫 옥상 '스마트팜'입니다.
건물과 온실의 에너지를 통합 제어하는 '에너지 교환 기술'이 적용됐습니다.
이 기술로 건물 안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와 온실 채소들이 만들어낸 산소를 교환해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습니다.
열이 새나가는 옥상에 설치된만큼 겨울엔 단열, 여름엔 열 유입 차단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기술을 개발한 연구팀은 이를 통해 냉난방 에너지 20%, 온실 가스는 30% 줄일 수 있을 거로 예상했습니다.
[최은정/한국기계연구원 선임연구원 : "건물의 사무 공간이나 발전기에서 버려지는 폐열과 CO2(이산화탄소) 등을 온실에 난방 또는 광합성에… 겨울철 난방 에너지 절감이라던가 열 유입 차단을 통한 냉방 에너지 절감 이런 식으로."]
다만, 에너지 저장 기술 등과 도심 건물에 맞는 설계는 발전이 더 필요한 부분입니다.
[권진경/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연구관 : "에너지 저장 같은 일종의 '에너지 그리드' 설계가 충분히 이뤄져야 하고요. 강풍이나 폭설 때문에 건물의 구조 안전성에 온실의 존재가 영향을 미칠 수가 있습니다. (건물과 온실)양쪽 다 구조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연구팀은 첫 옥상 스마트팜의 결과를 기반으로 내년엔 서울 대형 호텔 옥상에 더 큰 규모로 '옥상 온실'을 설치해 기술 확산을 이어갈 계획입니다.
KBS 뉴스 전현우입니다.
촬영기자:강승혁/영상편집:정광진/그래픽:여현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도심 옥상에 ‘스마트팜’…“에너지·온실가스 둘 다 잡는다”
-
- 입력 2023-11-15 18:24:14
- 수정2023-11-16 13:41:32

[앵커]
에너지를 절약하고, 온실 가스도 줄일 수 있는 '건물 일체형 옥상 온실'이 서울 도심 한복판에 지어졌습니다.
상업용 건물에 이러한 옥상 온실이 지어진 것은 국내에서 처음인데요,
지속 가능한 친환경 기술이 확산될 지 주목됩니다.
전현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도심 고층 빌딩 옥상에 200제곱미터 규모의 대형 온실이 자리 잡았습니다.
파프리카와 서양가지 등 채소 재배 뿐 아니라, 에너지 소비와 탄소 배출 감축까지 해내는 국내 첫 옥상 '스마트팜'입니다.
건물과 온실의 에너지를 통합 제어하는 '에너지 교환 기술'이 적용됐습니다.
이 기술로 건물 안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와 온실 채소들이 만들어낸 산소를 교환해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습니다.
열이 새나가는 옥상에 설치된만큼 겨울엔 단열, 여름엔 열 유입 차단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기술을 개발한 연구팀은 이를 통해 냉난방 에너지 20%, 온실 가스는 30% 줄일 수 있을 거로 예상했습니다.
[최은정/한국기계연구원 선임연구원 : "건물의 사무 공간이나 발전기에서 버려지는 폐열과 CO2(이산화탄소) 등을 온실에 난방 또는 광합성에… 겨울철 난방 에너지 절감이라던가 열 유입 차단을 통한 냉방 에너지 절감 이런 식으로."]
다만, 에너지 저장 기술 등과 도심 건물에 맞는 설계는 발전이 더 필요한 부분입니다.
[권진경/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연구관 : "에너지 저장 같은 일종의 '에너지 그리드' 설계가 충분히 이뤄져야 하고요. 강풍이나 폭설 때문에 건물의 구조 안전성에 온실의 존재가 영향을 미칠 수가 있습니다. (건물과 온실)양쪽 다 구조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연구팀은 첫 옥상 스마트팜의 결과를 기반으로 내년엔 서울 대형 호텔 옥상에 더 큰 규모로 '옥상 온실'을 설치해 기술 확산을 이어갈 계획입니다.
KBS 뉴스 전현우입니다.
촬영기자:강승혁/영상편집:정광진/그래픽:여현수
에너지를 절약하고, 온실 가스도 줄일 수 있는 '건물 일체형 옥상 온실'이 서울 도심 한복판에 지어졌습니다.
상업용 건물에 이러한 옥상 온실이 지어진 것은 국내에서 처음인데요,
지속 가능한 친환경 기술이 확산될 지 주목됩니다.
전현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도심 고층 빌딩 옥상에 200제곱미터 규모의 대형 온실이 자리 잡았습니다.
파프리카와 서양가지 등 채소 재배 뿐 아니라, 에너지 소비와 탄소 배출 감축까지 해내는 국내 첫 옥상 '스마트팜'입니다.
건물과 온실의 에너지를 통합 제어하는 '에너지 교환 기술'이 적용됐습니다.
이 기술로 건물 안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와 온실 채소들이 만들어낸 산소를 교환해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습니다.
열이 새나가는 옥상에 설치된만큼 겨울엔 단열, 여름엔 열 유입 차단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기술을 개발한 연구팀은 이를 통해 냉난방 에너지 20%, 온실 가스는 30% 줄일 수 있을 거로 예상했습니다.
[최은정/한국기계연구원 선임연구원 : "건물의 사무 공간이나 발전기에서 버려지는 폐열과 CO2(이산화탄소) 등을 온실에 난방 또는 광합성에… 겨울철 난방 에너지 절감이라던가 열 유입 차단을 통한 냉방 에너지 절감 이런 식으로."]
다만, 에너지 저장 기술 등과 도심 건물에 맞는 설계는 발전이 더 필요한 부분입니다.
[권진경/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연구관 : "에너지 저장 같은 일종의 '에너지 그리드' 설계가 충분히 이뤄져야 하고요. 강풍이나 폭설 때문에 건물의 구조 안전성에 온실의 존재가 영향을 미칠 수가 있습니다. (건물과 온실)양쪽 다 구조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연구팀은 첫 옥상 스마트팜의 결과를 기반으로 내년엔 서울 대형 호텔 옥상에 더 큰 규모로 '옥상 온실'을 설치해 기술 확산을 이어갈 계획입니다.
KBS 뉴스 전현우입니다.
촬영기자:강승혁/영상편집:정광진/그래픽:여현수
-
-
전현우 기자 kbsni@kbs.co.kr
전현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