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심하다 ‘펑’…겨울철 부탄가스 사고 주의

입력 2023.11.25 (21:31) 수정 2023.11.27 (13:1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휴대와 사용이 간편한 부탄가스, 특히 겨울철에 많이 씁니다.

그런데 다 쓴 가스통을 제대로 처리하지 않으면 자칫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자세한 안전 수칙, 이화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식당 창문이 모두 깨지고 그을음이 가득합니다.

근처 도로에까지 유리 파편이 흩어졌고, 인근 상가의 간판도 떨어졌습니다.

식당에서 쓰던 부탄가스가 폭발한 겁니다.

식당 주인이 2도 화상을 입었고, 손님과 행인 등 모두 5명이 다쳤습니다.

식당에서 다 쓴 부탄가스를 버리려고 가스통에 구멍을 뚫다가, 남아있던 가스가 폭발한 것으로 경찰은 보고 있습니다.

이런 부탄가스 사고, 난방 등의 이유로 겨울철에 집중되고 있습니다.

지난해 부탄가스 관련 구급 출동 2백여 건 가운데, 40% 가까이가 12월에서 2월 사이에 집중됐습니다.

부탄가스 사용 중에 발생한 사고가 가장 많았지만, 사용 후 가스통을 버리는 과정에서 사고가 난 경우도 적지 않았습니다.

[김령아/소방청 생활안전과 정책계장 : "부탄가스 구멍을 내니까 폭발하는 사고가 꽤 많은데 저도 어렸을 때 구멍을 내라고 배웠거든요. 안전 상식이 잘못된 거를 좀 바로잡아야겠다..."]

부탄가스통을 안전하게 버리기 위해선, 우선 가스통을 흔들어 가스가 남아 있는지 꼭 확인해야 합니다.

주변이 트인 야외에서 통을 뒤집은 채로 노즐을 눌러 가스가 나오지 않을 때까지 완전히 배출해야 합니다.

가스통을 소각하거나, 다 쓴 가스통이라도 난로나 불판 주변에 놓는 것은 피하고 지정된 수거함에 버려야 합니다.

부탄가스를 보관할 때는 되도록 서늘한 곳에 두고, 환기가 잘 되는 곳에서 사용해야 합니다.

KBS 뉴스 이화진입니다.

촬영기자:최현진/영상제공:소방청/영상편집:김종선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방심하다 ‘펑’…겨울철 부탄가스 사고 주의
    • 입력 2023-11-25 21:31:16
    • 수정2023-11-27 13:13:52
    뉴스 9
[앵커]

휴대와 사용이 간편한 부탄가스, 특히 겨울철에 많이 씁니다.

그런데 다 쓴 가스통을 제대로 처리하지 않으면 자칫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자세한 안전 수칙, 이화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식당 창문이 모두 깨지고 그을음이 가득합니다.

근처 도로에까지 유리 파편이 흩어졌고, 인근 상가의 간판도 떨어졌습니다.

식당에서 쓰던 부탄가스가 폭발한 겁니다.

식당 주인이 2도 화상을 입었고, 손님과 행인 등 모두 5명이 다쳤습니다.

식당에서 다 쓴 부탄가스를 버리려고 가스통에 구멍을 뚫다가, 남아있던 가스가 폭발한 것으로 경찰은 보고 있습니다.

이런 부탄가스 사고, 난방 등의 이유로 겨울철에 집중되고 있습니다.

지난해 부탄가스 관련 구급 출동 2백여 건 가운데, 40% 가까이가 12월에서 2월 사이에 집중됐습니다.

부탄가스 사용 중에 발생한 사고가 가장 많았지만, 사용 후 가스통을 버리는 과정에서 사고가 난 경우도 적지 않았습니다.

[김령아/소방청 생활안전과 정책계장 : "부탄가스 구멍을 내니까 폭발하는 사고가 꽤 많은데 저도 어렸을 때 구멍을 내라고 배웠거든요. 안전 상식이 잘못된 거를 좀 바로잡아야겠다..."]

부탄가스통을 안전하게 버리기 위해선, 우선 가스통을 흔들어 가스가 남아 있는지 꼭 확인해야 합니다.

주변이 트인 야외에서 통을 뒤집은 채로 노즐을 눌러 가스가 나오지 않을 때까지 완전히 배출해야 합니다.

가스통을 소각하거나, 다 쓴 가스통이라도 난로나 불판 주변에 놓는 것은 피하고 지정된 수거함에 버려야 합니다.

부탄가스를 보관할 때는 되도록 서늘한 곳에 두고, 환기가 잘 되는 곳에서 사용해야 합니다.

KBS 뉴스 이화진입니다.

촬영기자:최현진/영상제공:소방청/영상편집:김종선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