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생태’ 아닌 ‘인간’ 중심 환경정책

입력 2023.11.28 (19:15) 수정 2023.11.28 (20: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소양강댐 건설 50주년 기념 연속보도 순섭니다.

오늘은 소양강을 비롯한 우리의 하천이 외래종으로 넘쳐나게 된 원인을 짚어봅니다.

'생태'가 아닌 '인간' 중심의 환경정책이 낳은 부작용이란 비판이 제기됩니다.

송승룡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그물마다 딸려나오는 외래종 블루길과 배스.

여기에 브라운송어까지.

소양강의 생태계 교란종들입니다.

교란종 퇴치가 제대로 안됐다는 얘깁니다.

[강현국/소양호 어민 : "외래어종 같은 게 수량으로 따지면 거의 4 대 6 정도, 한 60% 차지할 정도로 굉장히 많이 분포돼 있습니다."]

교란종 퇴치를 위해 시작된 물고기 수매 사업은 어민 소득 보장 사업으로 변질돼 사업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2019년부터 토종 물고기를 같이 사들이기 시작한 뒤 교란종을 얼마나 잡아냈는지조차 알 수 없게 됐습니다.

토종 물고기 방류 사업은 그 실효성에 대해 지속적으로 의문이 제기되고 있지만, 매년 사업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상우/한국수산자원공단 동해수산자원센터 대리 : "먹이 피라미드 같은 것도 고려를 해서 적지 조사를 해서 방류를 하기 때문에, 수산 종자 방류는 확실히 효과가 있다라고…."]

교란종 지정에서부터 '생태계 보호'보다 '산업적 가치'를 우선시한 결과라는 비판이 제기됩니다.

무지개송어와 브라운송어는 둘 다 '세계 100대 악성 침입 외래종'인데, 브라운송어만 교란종으로 지정돼 있습니다.

또, 떡붕어와 왕우렁이는 그 유해성이 입증됐는데도 교란종 지정은 못하고 있습니다.

[이완옥/(사)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 회장 : "산업 규모가 너무 커져서 산업을 도저히 어떻게 할 수 없을 때, 이럴 때는 그걸 지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환경정책의 기준이 인간인지 생태계인지 분명히 해야 할 때라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송승룡입니다.

촬영기자:최혁환/수중촬영:차순철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문제는 ‘생태’ 아닌 ‘인간’ 중심 환경정책
    • 입력 2023-11-28 19:15:27
    • 수정2023-11-28 20:15:28
    뉴스7(춘천)
[앵커]

소양강댐 건설 50주년 기념 연속보도 순섭니다.

오늘은 소양강을 비롯한 우리의 하천이 외래종으로 넘쳐나게 된 원인을 짚어봅니다.

'생태'가 아닌 '인간' 중심의 환경정책이 낳은 부작용이란 비판이 제기됩니다.

송승룡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그물마다 딸려나오는 외래종 블루길과 배스.

여기에 브라운송어까지.

소양강의 생태계 교란종들입니다.

교란종 퇴치가 제대로 안됐다는 얘깁니다.

[강현국/소양호 어민 : "외래어종 같은 게 수량으로 따지면 거의 4 대 6 정도, 한 60% 차지할 정도로 굉장히 많이 분포돼 있습니다."]

교란종 퇴치를 위해 시작된 물고기 수매 사업은 어민 소득 보장 사업으로 변질돼 사업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2019년부터 토종 물고기를 같이 사들이기 시작한 뒤 교란종을 얼마나 잡아냈는지조차 알 수 없게 됐습니다.

토종 물고기 방류 사업은 그 실효성에 대해 지속적으로 의문이 제기되고 있지만, 매년 사업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상우/한국수산자원공단 동해수산자원센터 대리 : "먹이 피라미드 같은 것도 고려를 해서 적지 조사를 해서 방류를 하기 때문에, 수산 종자 방류는 확실히 효과가 있다라고…."]

교란종 지정에서부터 '생태계 보호'보다 '산업적 가치'를 우선시한 결과라는 비판이 제기됩니다.

무지개송어와 브라운송어는 둘 다 '세계 100대 악성 침입 외래종'인데, 브라운송어만 교란종으로 지정돼 있습니다.

또, 떡붕어와 왕우렁이는 그 유해성이 입증됐는데도 교란종 지정은 못하고 있습니다.

[이완옥/(사)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 회장 : "산업 규모가 너무 커져서 산업을 도저히 어떻게 할 수 없을 때, 이럴 때는 그걸 지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환경정책의 기준이 인간인지 생태계인지 분명히 해야 할 때라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송승룡입니다.

촬영기자:최혁환/수중촬영:차순철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춘천-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