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찰위성 “횡단보도 선까지 식별”…내년 상반기 본격 가동

입력 2023.12.02 (21:04) 수정 2023.12.02 (22: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발사한 군 정찰 위성은 정밀한 성능을 자랑합니다.

가로 세로 30센티미터 물체도 식별할 정돕니다.

계속해서 김덕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위성에서 내려다본 서울 잠실 석촌호수 주변 풍경입니다.

국내 최고층 건물의 모습은 물론, 도로 위 차량이 승용차인지 버스인지 구분이 가능합니다.

2015년 3월 발사한 다목적위성 아리랑 3A호가 촬영한 사진입니다.

오늘(2일) 발사한 정찰위성은 아리랑 3A호보다 3.4배 정밀한 촬영이 가능합니다.

가로·세로 30cm 물체를 한 점으로 식별 가능한데, 횡단보도의 선 하나하나를 구별할 수 있을 정도입니다.

지난달 21일 북한이 발사한 정찰 위성의 해상도 추정치와 비교해도 성능이 월등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군은 이번 발사로 기존 미국이나 다목적 위성에 의존하던 상황에서 벗어나게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북한의 핵 ·미사일 관련 표적을 탐지해 타격하는 공격체계, 킬체인 역량이 강화될 것이란 점도 주목할 부분입니다.

[이지형/방위사업청 우주감시정찰사업팀장 : "군의 목적에 따라 독자적 운영이 가능하고 적의 해킹이나 사이버 공격에 대비해 보안성이 크게 강화돼 있기 때문에…"]

이번에 발사한 위성은 전자광학·적외선 센서를 활용해 고해상도에 24시간 촬영할 수 있지만 기상 조건에 민감한 편입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군은 내년 4월부터 내후년까지 고성능 영상레이더를 탑재한 위성 4대를 추가로 발사할 예정입니다.

모든 위성이 정상 가동하게 되면 군은 약 2시간 간격으로 북한 내 핵실험장·미사일 기지 등 주요 시설의 정보 수집이 가능해집니다.

KBS 뉴스 김덕훈입니다.

영상편집:권형욱/그래픽:고석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정찰위성 “횡단보도 선까지 식별”…내년 상반기 본격 가동
    • 입력 2023-12-02 21:04:39
    • 수정2023-12-02 22:14:41
    뉴스 9
[앵커]

발사한 군 정찰 위성은 정밀한 성능을 자랑합니다.

가로 세로 30센티미터 물체도 식별할 정돕니다.

계속해서 김덕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위성에서 내려다본 서울 잠실 석촌호수 주변 풍경입니다.

국내 최고층 건물의 모습은 물론, 도로 위 차량이 승용차인지 버스인지 구분이 가능합니다.

2015년 3월 발사한 다목적위성 아리랑 3A호가 촬영한 사진입니다.

오늘(2일) 발사한 정찰위성은 아리랑 3A호보다 3.4배 정밀한 촬영이 가능합니다.

가로·세로 30cm 물체를 한 점으로 식별 가능한데, 횡단보도의 선 하나하나를 구별할 수 있을 정도입니다.

지난달 21일 북한이 발사한 정찰 위성의 해상도 추정치와 비교해도 성능이 월등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군은 이번 발사로 기존 미국이나 다목적 위성에 의존하던 상황에서 벗어나게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북한의 핵 ·미사일 관련 표적을 탐지해 타격하는 공격체계, 킬체인 역량이 강화될 것이란 점도 주목할 부분입니다.

[이지형/방위사업청 우주감시정찰사업팀장 : "군의 목적에 따라 독자적 운영이 가능하고 적의 해킹이나 사이버 공격에 대비해 보안성이 크게 강화돼 있기 때문에…"]

이번에 발사한 위성은 전자광학·적외선 센서를 활용해 고해상도에 24시간 촬영할 수 있지만 기상 조건에 민감한 편입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군은 내년 4월부터 내후년까지 고성능 영상레이더를 탑재한 위성 4대를 추가로 발사할 예정입니다.

모든 위성이 정상 가동하게 되면 군은 약 2시간 간격으로 북한 내 핵실험장·미사일 기지 등 주요 시설의 정보 수집이 가능해집니다.

KBS 뉴스 김덕훈입니다.

영상편집:권형욱/그래픽:고석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