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검진 ‘2년마다’…“예방부터 회복까지”

입력 2023.12.05 (21:38) 수정 2023.12.05 (22:2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만 2천9백6명.

지난해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람들의 숫자입니다.

하루에 35명꼴로, 한국은 'OECD 자살률 1위' 국가입니다.

자살의 주요 원인 중 하나 바로 '정신적 문제'가 있습니다.

지난해 우울증 환자는 처음으로 백만 명을 넘었고, 우울증 위험군 비율도 코로나19 전후로 5배 넘게 증가했습니다.

정신 건강 지표에 이렇게 빨간불이 켜지자, 정부가 '마음 챙김'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예방과 조기 치료에 중점을 두고, 2027년까지 백만 명 심리 상담을 통해 자살률을 끌어내리겠다는 건데요.

자세한 내용, 김우준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20살 정 모 씨는 '조울증'으로 불리는, '양극성 장애' 환자입니다.

코로나19 유행 기간 외부 접촉이 줄면서 고립감이 커졌고, 증세는 악화됐습니다.

[정○○/'양극성 장애' 진단 20대/음성변조 : "해결이 안 되면 좀 안 좋은 생각을 계속 많이 하고, 계속 울고 그러죠."]

청년 정신질환 환자는 코로나19 전후로 크게 늘었습니다.

정부가 청년 중심으로 국민의 정신건강 문제를 적극적으로 관리하겠다고 나선 배경 중 하나입니다.

[윤석열 대통령 : "정신건강 문제를 개인이 알아서 할 문제가 아니라 이것을 중요한 국가 아젠다로 삼고 적극 해결책을 강구해야 되겠습니다."]

먼저 청년에 한해 정신건강검진 주기를 10년에서 2년으로 단축하고, 검사 질환도 우울증에서 조현병, 조울증까지 늘립니다.

[조규홍/보건복지부 장관 : "(청년 검진 확대는) 주요 정신질환이 20~30대에 주로 발병한다는 것 하나와 조기 발견 시 상담과 약물치료 등으로 적절한 치료와 회복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입니다."]

대학 내 상담센터와 근로자 건강센터 등을 통해 심리상담 지원도 강화됩니다.

[김은희/서울시청년마음건강센터 상임팀장 : "국가적인 체계가 없다면 청년들은 오히려 당면한 현실적인 문제에 급해서 (심리상담)서비스를 받을 기회가 오히려 없지 않을까 생각이 들고요."]

전 연령대가 보다 쉽게 정신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카카오톡, 네이버에 자가진단 서비스를 연계하고 SNS 상담도 도입됩니다.

KBS 뉴스 김우준입니다.

촬영기자:이호 정형철 유현우/영상편집:김근환그래픽:김지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정신건강검진 ‘2년마다’…“예방부터 회복까지”
    • 입력 2023-12-05 21:38:35
    • 수정2023-12-05 22:24:31
    뉴스 9
[앵커]

만 2천9백6명.

지난해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람들의 숫자입니다.

하루에 35명꼴로, 한국은 'OECD 자살률 1위' 국가입니다.

자살의 주요 원인 중 하나 바로 '정신적 문제'가 있습니다.

지난해 우울증 환자는 처음으로 백만 명을 넘었고, 우울증 위험군 비율도 코로나19 전후로 5배 넘게 증가했습니다.

정신 건강 지표에 이렇게 빨간불이 켜지자, 정부가 '마음 챙김'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예방과 조기 치료에 중점을 두고, 2027년까지 백만 명 심리 상담을 통해 자살률을 끌어내리겠다는 건데요.

자세한 내용, 김우준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20살 정 모 씨는 '조울증'으로 불리는, '양극성 장애' 환자입니다.

코로나19 유행 기간 외부 접촉이 줄면서 고립감이 커졌고, 증세는 악화됐습니다.

[정○○/'양극성 장애' 진단 20대/음성변조 : "해결이 안 되면 좀 안 좋은 생각을 계속 많이 하고, 계속 울고 그러죠."]

청년 정신질환 환자는 코로나19 전후로 크게 늘었습니다.

정부가 청년 중심으로 국민의 정신건강 문제를 적극적으로 관리하겠다고 나선 배경 중 하나입니다.

[윤석열 대통령 : "정신건강 문제를 개인이 알아서 할 문제가 아니라 이것을 중요한 국가 아젠다로 삼고 적극 해결책을 강구해야 되겠습니다."]

먼저 청년에 한해 정신건강검진 주기를 10년에서 2년으로 단축하고, 검사 질환도 우울증에서 조현병, 조울증까지 늘립니다.

[조규홍/보건복지부 장관 : "(청년 검진 확대는) 주요 정신질환이 20~30대에 주로 발병한다는 것 하나와 조기 발견 시 상담과 약물치료 등으로 적절한 치료와 회복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입니다."]

대학 내 상담센터와 근로자 건강센터 등을 통해 심리상담 지원도 강화됩니다.

[김은희/서울시청년마음건강센터 상임팀장 : "국가적인 체계가 없다면 청년들은 오히려 당면한 현실적인 문제에 급해서 (심리상담)서비스를 받을 기회가 오히려 없지 않을까 생각이 들고요."]

전 연령대가 보다 쉽게 정신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카카오톡, 네이버에 자가진단 서비스를 연계하고 SNS 상담도 도입됩니다.

KBS 뉴스 김우준입니다.

촬영기자:이호 정형철 유현우/영상편집:김근환그래픽:김지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