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차위반 과태료 4만 원 내세요”…날짜를 보니 2021년? [잇슈 키워드]
입력 2023.12.12 (07:31)
수정 2023.12.12 (08: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음 키워드 볼까요, '과태료 고지서'입니다.
최근 한 지방자치단체가 3년 치 주·정차위반 과태료 고지서를 무더기로 발송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한 시민이 얼마 전 받았다는 고지서입니다.
그런데 주·정차 위반 날짜를 보니 2021년 11월 13일이라고 적혀 있습니다.
또 다른 시민이 받았다는 고지서도 볼까요.
2021년 5월에 위반한 내용입니다.
경남 진주시가 체납 과태료를 정리한다며 2020년 7월부터 약 3년 치 주·정차위반 과태료 고지서 3만 7천여 장을 발송했는데, 부과 금액이 14억 원에 이릅니다.
일부 시민은 "2년 넘게 묵혀둔 과태료를 이제 와 꺼내 물리는 것이 말이 되느냐"며 분통을 터뜨리고 있는데요.
시가 업무 태만으로 일하지 않은걸 왜 시민에게 전가하느냐는 주장입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업무가 많은 데다 일손이 부족해 제대로 챙기지 못했다"며, "과태료 체납분을 계속 방치해둘 수 없었다"고 해명했습니다.
최근 한 지방자치단체가 3년 치 주·정차위반 과태료 고지서를 무더기로 발송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한 시민이 얼마 전 받았다는 고지서입니다.
그런데 주·정차 위반 날짜를 보니 2021년 11월 13일이라고 적혀 있습니다.
또 다른 시민이 받았다는 고지서도 볼까요.
2021년 5월에 위반한 내용입니다.
경남 진주시가 체납 과태료를 정리한다며 2020년 7월부터 약 3년 치 주·정차위반 과태료 고지서 3만 7천여 장을 발송했는데, 부과 금액이 14억 원에 이릅니다.
일부 시민은 "2년 넘게 묵혀둔 과태료를 이제 와 꺼내 물리는 것이 말이 되느냐"며 분통을 터뜨리고 있는데요.
시가 업무 태만으로 일하지 않은걸 왜 시민에게 전가하느냐는 주장입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업무가 많은 데다 일손이 부족해 제대로 챙기지 못했다"며, "과태료 체납분을 계속 방치해둘 수 없었다"고 해명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주차위반 과태료 4만 원 내세요”…날짜를 보니 2021년? [잇슈 키워드]
-
- 입력 2023-12-12 07:31:45
- 수정2023-12-12 08:09:51

다음 키워드 볼까요, '과태료 고지서'입니다.
최근 한 지방자치단체가 3년 치 주·정차위반 과태료 고지서를 무더기로 발송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한 시민이 얼마 전 받았다는 고지서입니다.
그런데 주·정차 위반 날짜를 보니 2021년 11월 13일이라고 적혀 있습니다.
또 다른 시민이 받았다는 고지서도 볼까요.
2021년 5월에 위반한 내용입니다.
경남 진주시가 체납 과태료를 정리한다며 2020년 7월부터 약 3년 치 주·정차위반 과태료 고지서 3만 7천여 장을 발송했는데, 부과 금액이 14억 원에 이릅니다.
일부 시민은 "2년 넘게 묵혀둔 과태료를 이제 와 꺼내 물리는 것이 말이 되느냐"며 분통을 터뜨리고 있는데요.
시가 업무 태만으로 일하지 않은걸 왜 시민에게 전가하느냐는 주장입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업무가 많은 데다 일손이 부족해 제대로 챙기지 못했다"며, "과태료 체납분을 계속 방치해둘 수 없었다"고 해명했습니다.
최근 한 지방자치단체가 3년 치 주·정차위반 과태료 고지서를 무더기로 발송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한 시민이 얼마 전 받았다는 고지서입니다.
그런데 주·정차 위반 날짜를 보니 2021년 11월 13일이라고 적혀 있습니다.
또 다른 시민이 받았다는 고지서도 볼까요.
2021년 5월에 위반한 내용입니다.
경남 진주시가 체납 과태료를 정리한다며 2020년 7월부터 약 3년 치 주·정차위반 과태료 고지서 3만 7천여 장을 발송했는데, 부과 금액이 14억 원에 이릅니다.
일부 시민은 "2년 넘게 묵혀둔 과태료를 이제 와 꺼내 물리는 것이 말이 되느냐"며 분통을 터뜨리고 있는데요.
시가 업무 태만으로 일하지 않은걸 왜 시민에게 전가하느냐는 주장입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업무가 많은 데다 일손이 부족해 제대로 챙기지 못했다"며, "과태료 체납분을 계속 방치해둘 수 없었다"고 해명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