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 함께 육아휴직 시 소득 지원 강화…“아빠 참여 촉진”

입력 2023.12.19 (12:13) 수정 2023.12.19 (22: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부부가 함께 육아휴직을 하면, 육아휴직 급여를 900만 원까지 받을 수 있도록 한 제도 개편안이 오늘 국무회의를 통과했습니다.

대상 자녀의 나이와 기간도 늘어났는데요.

어떤 내용인지, 김지숙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육아휴직자 가운데 남성의 비율은 2019년 21.2%, 지난해엔 28.9%였습니다.

아빠의 육아 참여 비중이 늘고 있지만 여전히 엄마가 절대적으로 많습니다.

정부가 아빠의 육아 참여를 늘리기 위해, 현행 부모육아휴직제를 확대 개편하기로 하고, 이러한 내용의 고용보험법 시행령 개정안을 오늘 국무회의에서 심의·의결했습니다.

현재 생후 12개월 이내 자녀를 둔 부모가 동시에, 또는 차례로 육아휴직을 하면, 첫 석 달 동안 부모가 각각 통상임금의 100% 범위에서 최대 30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개정안은 기간과 한도를 크게 늘려 여섯 달 동안 최대 450만 원까지 주기로 했습니다.

첫 달 200만 원부터 매달 50만 원씩 늘어나는데, 6개월째는 450만 원까지 오르는 구조입니다.

부모가 동시에 육아휴직에 들어갈 경우 소득이 줄어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현실적 장벽을 완화해 주려는 취지입니다.

최대치로 계산하면 반년간 부모 합계 3,900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급 대상 자녀의 나이도 12개월에서 18개월로 늘립니다.

다만 부부가 동시에 휴직하지 않았을 땐, 나머지 한 사람이 육아휴직에 들어갈 때 나머지 차액분을 지급합니다.

개편된 제도는 새해부터 적용됩니다.

한편 오늘 국무회의에선 65세 이상 구직급여 수급자에 대한 조기재취업수당 조건을 완화하고, 근로자 수가 늘어나 고용보험료를 더 많이 내게 된 경우, 3년 동안은 기존 요율을 그대로 적용하는 제도 개편안도 함께 의결됐습니다.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영상편집:차정남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부부 함께 육아휴직 시 소득 지원 강화…“아빠 참여 촉진”
    • 입력 2023-12-19 12:13:26
    • 수정2023-12-19 22:06:43
    뉴스 12
[앵커]

부부가 함께 육아휴직을 하면, 육아휴직 급여를 900만 원까지 받을 수 있도록 한 제도 개편안이 오늘 국무회의를 통과했습니다.

대상 자녀의 나이와 기간도 늘어났는데요.

어떤 내용인지, 김지숙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육아휴직자 가운데 남성의 비율은 2019년 21.2%, 지난해엔 28.9%였습니다.

아빠의 육아 참여 비중이 늘고 있지만 여전히 엄마가 절대적으로 많습니다.

정부가 아빠의 육아 참여를 늘리기 위해, 현행 부모육아휴직제를 확대 개편하기로 하고, 이러한 내용의 고용보험법 시행령 개정안을 오늘 국무회의에서 심의·의결했습니다.

현재 생후 12개월 이내 자녀를 둔 부모가 동시에, 또는 차례로 육아휴직을 하면, 첫 석 달 동안 부모가 각각 통상임금의 100% 범위에서 최대 30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개정안은 기간과 한도를 크게 늘려 여섯 달 동안 최대 450만 원까지 주기로 했습니다.

첫 달 200만 원부터 매달 50만 원씩 늘어나는데, 6개월째는 450만 원까지 오르는 구조입니다.

부모가 동시에 육아휴직에 들어갈 경우 소득이 줄어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현실적 장벽을 완화해 주려는 취지입니다.

최대치로 계산하면 반년간 부모 합계 3,900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급 대상 자녀의 나이도 12개월에서 18개월로 늘립니다.

다만 부부가 동시에 휴직하지 않았을 땐, 나머지 한 사람이 육아휴직에 들어갈 때 나머지 차액분을 지급합니다.

개편된 제도는 새해부터 적용됩니다.

한편 오늘 국무회의에선 65세 이상 구직급여 수급자에 대한 조기재취업수당 조건을 완화하고, 근로자 수가 늘어나 고용보험료를 더 많이 내게 된 경우, 3년 동안은 기존 요율을 그대로 적용하는 제도 개편안도 함께 의결됐습니다.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영상편집:차정남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