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설 시 농촌 주민 행동 요령은?

입력 2023.12.20 (19:14) 수정 2023.12.21 (01: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폭설은 주로 농촌에 큰 피해를 끼칩니다.

비닐하우스가 붕괴되거나 고립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대설에 대비해 농작물은 어떻게 지켜야 하는지, 고립 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임재성 기자가 설명해 드립니다.

[리포트]

폭설로 인한 재산피해의 대부분은 농촌 지역에서 발생합니다.

비닐하우스와 축사 등 폭설에 취약한 시설이 많기 때문입니다.

특히 골조가 약한 비닐하우스는 폭설 때 지붕 중앙부에 보조 받침대를 설치하는 게 좋습니다.

지붕 위에 눈이 쌓이면 넉가래 등으로 빨리 치워야 합니다.

자칫 붕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비닐하우스는 27cm, 축사는 140cm가 쌓이면 붕괴 가능성이 커집니다.

때문에 작물을 재배하지 않는 비닐하우스는 눈 오기 전 미리 비닐을 걷는 게 좋습니다.

재배 중인 시설이 붕괴된다면 응급 복구가 중요합니다.

훼손된 지붕에 짚이나 부직포를 터널 모양으로 덮는 건데, 농작물이 얼어 죽는 것을 막기 위해서입니다.

하우스 옆에 쌓인 눈도 신속하게 치우고, 보온장치도 가동해야 합니다.

또 기온이 올라가 쌓인 눈이 녹을 때는 눈 녹은 물이 하우스 안으로 스며들지 않도록 배수로를 정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산촌의 경우 폭설 시 고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상습 고립 지역의 경우 대설 특보가 내려지면 안전한 곳으로 대피해야 합니다.

급히 대피할 경우에 대비해 식량과 물, 안전장비 등이 든 배낭을 미리 싸둬야 합니다.

집에 머물러야 할 상황이라면 수도 공급이 끊길 경우에 대비해 욕조에 미리 물을 받아두는 게 좋습니다.

KBS 뉴스 임재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폭설 시 농촌 주민 행동 요령은?
    • 입력 2023-12-20 19:14:31
    • 수정2023-12-21 01:20:10
    뉴스7(전주)
[앵커]

폭설은 주로 농촌에 큰 피해를 끼칩니다.

비닐하우스가 붕괴되거나 고립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대설에 대비해 농작물은 어떻게 지켜야 하는지, 고립 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임재성 기자가 설명해 드립니다.

[리포트]

폭설로 인한 재산피해의 대부분은 농촌 지역에서 발생합니다.

비닐하우스와 축사 등 폭설에 취약한 시설이 많기 때문입니다.

특히 골조가 약한 비닐하우스는 폭설 때 지붕 중앙부에 보조 받침대를 설치하는 게 좋습니다.

지붕 위에 눈이 쌓이면 넉가래 등으로 빨리 치워야 합니다.

자칫 붕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비닐하우스는 27cm, 축사는 140cm가 쌓이면 붕괴 가능성이 커집니다.

때문에 작물을 재배하지 않는 비닐하우스는 눈 오기 전 미리 비닐을 걷는 게 좋습니다.

재배 중인 시설이 붕괴된다면 응급 복구가 중요합니다.

훼손된 지붕에 짚이나 부직포를 터널 모양으로 덮는 건데, 농작물이 얼어 죽는 것을 막기 위해서입니다.

하우스 옆에 쌓인 눈도 신속하게 치우고, 보온장치도 가동해야 합니다.

또 기온이 올라가 쌓인 눈이 녹을 때는 눈 녹은 물이 하우스 안으로 스며들지 않도록 배수로를 정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산촌의 경우 폭설 시 고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상습 고립 지역의 경우 대설 특보가 내려지면 안전한 곳으로 대피해야 합니다.

급히 대피할 경우에 대비해 식량과 물, 안전장비 등이 든 배낭을 미리 싸둬야 합니다.

집에 머물러야 할 상황이라면 수도 공급이 끊길 경우에 대비해 욕조에 미리 물을 받아두는 게 좋습니다.

KBS 뉴스 임재성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전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