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저 7,500미터 동일본대지진 진원지서 ‘단층 절벽’ 발견

입력 2023.12.28 (21:25) 수정 2023.12.29 (15: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동일본대지진 당시 생긴것으로 보이는 단층 절벽이 포착됐습니다.

해저 7천5백미터 지점에서 촬영된 영상이 공개됐는데, 앞으로 재난 예측 연구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도쿄 지종익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2011년 최고 40m가 넘는 쓰나미를 몰고 와 수많은 사상자를 낸 동일본대지진.

당시 대지진의 진원지는 일본 미야기현에서 130km 떨어진 해저였습니다.

일본 연구진이 잠수정을 타고 진원지 인근 바다로 들어가봤습니다.

해저 7천 5백m 지점까지 내려가 보니 우뚝 솟아오른 절벽이 나타납니다.

[우에다하야토/니가타대학 지질학 교수 : "(잠수정에서 봤을 때) 최소 1~2 미터 정도의 수직 형태가 보였는데, 위로 올라가도 계속 이어졌습니다."]

연구진이 측정한 해저 절벽은 26m로, 건물 7~8층 정도 높이에 해당합니다.

동일본대지진 당시 해저 단층이 60m가량 솟아오르면서 생긴 단층의 상단부로 추정됩니다.

절벽 주변 바다 밑바닥에는 울퉁불퉁한 모양의 크고 작은 흙덩어리들도 쌓여 있습니다.

단층이 솟구치면서 흙덩어리들까지 쏟아진 것으로 연구진은 설명했습니다.

동일본대지진 발생 이전의 음파 탐지에서는 이 같은 지형이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우에다하야토/니가타대학 지질학 교수 : "1초간 1 미터씩 지반이 흔들리고 있을 때 단층이 올라왔고, 그때 높은 절벽이 형성된 것입니다. 해구에서 엄청난 일이 일어났다는 것을 (조사를 통해 알게 됐습니다.)"]

일본 NHK는 동일본대지진의 해저 단층을 영상으로 포착한 것은 처음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연구진은 기자회견에서 이번 단층 절벽 발견으로 지진이나 쓰나미 등 재해 예측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지종익입니다.

영상편집:김인수/자료조사:문종원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해저 7,500미터 동일본대지진 진원지서 ‘단층 절벽’ 발견
    • 입력 2023-12-28 21:25:56
    • 수정2023-12-29 15:34:51
    뉴스 9
[앵커]

동일본대지진 당시 생긴것으로 보이는 단층 절벽이 포착됐습니다.

해저 7천5백미터 지점에서 촬영된 영상이 공개됐는데, 앞으로 재난 예측 연구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도쿄 지종익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2011년 최고 40m가 넘는 쓰나미를 몰고 와 수많은 사상자를 낸 동일본대지진.

당시 대지진의 진원지는 일본 미야기현에서 130km 떨어진 해저였습니다.

일본 연구진이 잠수정을 타고 진원지 인근 바다로 들어가봤습니다.

해저 7천 5백m 지점까지 내려가 보니 우뚝 솟아오른 절벽이 나타납니다.

[우에다하야토/니가타대학 지질학 교수 : "(잠수정에서 봤을 때) 최소 1~2 미터 정도의 수직 형태가 보였는데, 위로 올라가도 계속 이어졌습니다."]

연구진이 측정한 해저 절벽은 26m로, 건물 7~8층 정도 높이에 해당합니다.

동일본대지진 당시 해저 단층이 60m가량 솟아오르면서 생긴 단층의 상단부로 추정됩니다.

절벽 주변 바다 밑바닥에는 울퉁불퉁한 모양의 크고 작은 흙덩어리들도 쌓여 있습니다.

단층이 솟구치면서 흙덩어리들까지 쏟아진 것으로 연구진은 설명했습니다.

동일본대지진 발생 이전의 음파 탐지에서는 이 같은 지형이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우에다하야토/니가타대학 지질학 교수 : "1초간 1 미터씩 지반이 흔들리고 있을 때 단층이 올라왔고, 그때 높은 절벽이 형성된 것입니다. 해구에서 엄청난 일이 일어났다는 것을 (조사를 통해 알게 됐습니다.)"]

일본 NHK는 동일본대지진의 해저 단층을 영상으로 포착한 것은 처음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연구진은 기자회견에서 이번 단층 절벽 발견으로 지진이나 쓰나미 등 재해 예측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지종익입니다.

영상편집:김인수/자료조사:문종원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