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비하·갈등 조장…“중국 댓글 조작 의심”

입력 2023.12.28 (21:35) 수정 2023.12.29 (07: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국내 포털사이트에서 중국인으로 추정되는 계정들이 조직적인 댓글 활동을 한 정황이 포착됐습니다.

국내 한 대학 연구팀이 빅데이터 기법으로 분석한 결과, 주로 한국을 비하하고 국내 갈등을 조장하는 내용 등이 많았습니다.

김진희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국내 최대 포털 사이트 네이버 뉴스에 달린 댓글입니다.

"경복궁은 중화문명의 한 자산", "반중 종자들은 전부 친일매국노" 등 친중국적 내용이 많고, "경상도 전라도는 이상한 말 쓰고 미개하다"며 지역을 비하하기도 합니다.

모두 하나의 계정 주인이 쓴 것으로 지난 4년여 동안 비슷한 내용의 댓글 만2천여 개를 작성했습니다.

이밖에도 중국의 우월함을 강조하거나 한국을 비하하고 국내 갈등을 조장하는 듯한 댓글을 지속적으로 달아 온 계정 50여 개가 국내 한 연구팀에게 포착됐습니다.

지난 9월부터 11월까지 중국과 외교 관련 기사의 댓글을 빅데이터 기법으로 분석한 결과입니다.

그러면서 이 댓글들이 중국의 조직적인 활동으로 의심된다고도 설명했습니다.

또 계정의 상당 부분에서 중국 어법이 드러나거나 댓글에 중국어가 섞여 있었습니다.

[윤민우/가천대 경찰안보학과 교수 : "(계정) 50개를 뽑아내서 네트워크 관계도를 그려보니까 조직적인 움직임이 나타났고 그다음에 이 글이 복붙(복사해 붙여넣기)하는 현상들도 계정들마다 좀 나타났고요."]

다만 연구팀은 아이디의 도용 여부나 IP 주소 추적 등 수사기관의 도움 없이는 밝히기 어려운 부분이 많아 중국 정부와의 연관성은 명확하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KBS 뉴스 김진흽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국 비하·갈등 조장…“중국 댓글 조작 의심”
    • 입력 2023-12-28 21:35:24
    • 수정2023-12-29 07:54:09
    뉴스 9
[앵커]

국내 포털사이트에서 중국인으로 추정되는 계정들이 조직적인 댓글 활동을 한 정황이 포착됐습니다.

국내 한 대학 연구팀이 빅데이터 기법으로 분석한 결과, 주로 한국을 비하하고 국내 갈등을 조장하는 내용 등이 많았습니다.

김진희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국내 최대 포털 사이트 네이버 뉴스에 달린 댓글입니다.

"경복궁은 중화문명의 한 자산", "반중 종자들은 전부 친일매국노" 등 친중국적 내용이 많고, "경상도 전라도는 이상한 말 쓰고 미개하다"며 지역을 비하하기도 합니다.

모두 하나의 계정 주인이 쓴 것으로 지난 4년여 동안 비슷한 내용의 댓글 만2천여 개를 작성했습니다.

이밖에도 중국의 우월함을 강조하거나 한국을 비하하고 국내 갈등을 조장하는 듯한 댓글을 지속적으로 달아 온 계정 50여 개가 국내 한 연구팀에게 포착됐습니다.

지난 9월부터 11월까지 중국과 외교 관련 기사의 댓글을 빅데이터 기법으로 분석한 결과입니다.

그러면서 이 댓글들이 중국의 조직적인 활동으로 의심된다고도 설명했습니다.

또 계정의 상당 부분에서 중국 어법이 드러나거나 댓글에 중국어가 섞여 있었습니다.

[윤민우/가천대 경찰안보학과 교수 : "(계정) 50개를 뽑아내서 네트워크 관계도를 그려보니까 조직적인 움직임이 나타났고 그다음에 이 글이 복붙(복사해 붙여넣기)하는 현상들도 계정들마다 좀 나타났고요."]

다만 연구팀은 아이디의 도용 여부나 IP 주소 추적 등 수사기관의 도움 없이는 밝히기 어려운 부분이 많아 중국 정부와의 연관성은 명확하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KBS 뉴스 김진흽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