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 주차장서 밤새 ‘쿵쿵’…속타는 입주자

입력 2023.12.29 (19:33) 수정 2023.12.29 (19: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새 아파트에 입주했는데 하자가 발견되면 그만큼 속상한 것도 없죠.

이럴 때 하자 보수가 문제없이 이뤄지도록 관련 기관의 보증을 받도록 하고 있는데, 보증 이행마저 제대로 진행되지 않아 입주자들이 속을 태우는 아파트가 있습니다.

송명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천 3백여세대가 입주해 있는 2년된 아파트입니다.

그런데, 지하주차장 바닥에서 쿵쿵 울리는 소리가 들립니다.

하루종일 차가 지나갈 때마다 나는 소리는 저층세대의 경우 집안에서도 들립니다.

[아파트 입주자/음성변조 : "망치로 벽을 두들기는 것처럼 울려서 잠자리에 들기 전에 10시쯤부터는 크게 들리기 시작하죠. 저희 애가 고등학생인데 공부에 방해될 정도로 울리더라고요."]

물이 새는 주차장 천장 곳곳엔 비닐이 쳐있습니다.

[황재경/아파트 관리팀장 : "장마철에는 차량 피해도 많았고, 안 그래도 주차공간이 모자라는데 주차를 못 하는 경우도 많았고요. 저희 같은 경우는 어디서 어떻게 물이 샐지 모르기 때문에 비상근무도 많이 했습니다."]

지하 물탱크에서도 누수가 발견됐고, 벽면에는 균열이 생겼습니다.

바닥 타일이 솟구쳐 부직포로 눌러둔 세대도 있습니다.

이 아파트를 시공한 건설사는 대우조선해양건설.

지난 2월 법원 결정으로 회생절차가 진행 중입니다.

경영 위기에 빠진 건설사의 하자 보수가 더디자 보다 못한 입주자대표회의는 하자보수 보증사인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보증금을 청구했습니다.

하지만 공사는 지급 절차를 보류했습니다.

[주택도시보증공사 관계자/음성변조 : "주채무자가 채무를 이행하지 않았을 때 저희가 전면에 나설 수 있는 건데, (건설사 측이) 이제는 회생계획도 인가가 났고 해서 (하자보수를) 할 수 있다고 하고..."]

건설사 측이 공사가 통보한 이행 최고기한을 넘겨 하자보수를 하겠다고 나선 겁니다.

속이 타는 건 입주자들입니다.

[하기춘/입주자대표회의 회장 : "회사가 곧 괜찮아질거니까 해준다 해준다 한게 2년입니다. 저희는 시공사를 믿지 않습니다. 주택도시보증공사는 현장이 어떤지 보거나 확인도 안 해요. 그냥 시공사의 말만 듣고..."]

전문업체를 동원해 자체 조사한 하자는 세대 전유부분과 공유부분을 합쳐 모두 8천 건, 비용은 40억 원 정도로 추산됐습니다.

대우조선해양건설 측은 회생 절차가 진행 중이라며 하자보수 책임을 다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주택도시보증공사는 이 건설사가 시공한 다른 아파트 세 곳에 대해선 하자보수 보증금을 집행했습니다.

KBS 뉴스 송명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하 주차장서 밤새 ‘쿵쿵’…속타는 입주자
    • 입력 2023-12-29 19:33:01
    • 수정2023-12-29 19:50:44
    뉴스 7
[앵커]

새 아파트에 입주했는데 하자가 발견되면 그만큼 속상한 것도 없죠.

이럴 때 하자 보수가 문제없이 이뤄지도록 관련 기관의 보증을 받도록 하고 있는데, 보증 이행마저 제대로 진행되지 않아 입주자들이 속을 태우는 아파트가 있습니다.

송명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천 3백여세대가 입주해 있는 2년된 아파트입니다.

그런데, 지하주차장 바닥에서 쿵쿵 울리는 소리가 들립니다.

하루종일 차가 지나갈 때마다 나는 소리는 저층세대의 경우 집안에서도 들립니다.

[아파트 입주자/음성변조 : "망치로 벽을 두들기는 것처럼 울려서 잠자리에 들기 전에 10시쯤부터는 크게 들리기 시작하죠. 저희 애가 고등학생인데 공부에 방해될 정도로 울리더라고요."]

물이 새는 주차장 천장 곳곳엔 비닐이 쳐있습니다.

[황재경/아파트 관리팀장 : "장마철에는 차량 피해도 많았고, 안 그래도 주차공간이 모자라는데 주차를 못 하는 경우도 많았고요. 저희 같은 경우는 어디서 어떻게 물이 샐지 모르기 때문에 비상근무도 많이 했습니다."]

지하 물탱크에서도 누수가 발견됐고, 벽면에는 균열이 생겼습니다.

바닥 타일이 솟구쳐 부직포로 눌러둔 세대도 있습니다.

이 아파트를 시공한 건설사는 대우조선해양건설.

지난 2월 법원 결정으로 회생절차가 진행 중입니다.

경영 위기에 빠진 건설사의 하자 보수가 더디자 보다 못한 입주자대표회의는 하자보수 보증사인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보증금을 청구했습니다.

하지만 공사는 지급 절차를 보류했습니다.

[주택도시보증공사 관계자/음성변조 : "주채무자가 채무를 이행하지 않았을 때 저희가 전면에 나설 수 있는 건데, (건설사 측이) 이제는 회생계획도 인가가 났고 해서 (하자보수를) 할 수 있다고 하고..."]

건설사 측이 공사가 통보한 이행 최고기한을 넘겨 하자보수를 하겠다고 나선 겁니다.

속이 타는 건 입주자들입니다.

[하기춘/입주자대표회의 회장 : "회사가 곧 괜찮아질거니까 해준다 해준다 한게 2년입니다. 저희는 시공사를 믿지 않습니다. 주택도시보증공사는 현장이 어떤지 보거나 확인도 안 해요. 그냥 시공사의 말만 듣고..."]

전문업체를 동원해 자체 조사한 하자는 세대 전유부분과 공유부분을 합쳐 모두 8천 건, 비용은 40억 원 정도로 추산됐습니다.

대우조선해양건설 측은 회생 절차가 진행 중이라며 하자보수 책임을 다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주택도시보증공사는 이 건설사가 시공한 다른 아파트 세 곳에 대해선 하자보수 보증금을 집행했습니다.

KBS 뉴스 송명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