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해일, 왜 위험한가?…“보고 피하면 늦어”

입력 2024.01.04 (07:29) 수정 2024.01.04 (07:3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노토 반도 강진의 영향으로 동해안에 최대 80cm 넘는 높이의 지진해일이 밀려왔었죠.

지진해일은 보통 우리가 생각하는 파도보다 '더 넓은 지역'에 '더 빠른 속도'로 밀려듭니다.

위력도 훨씬 강해 신속한 대피가 필수적입니다.

김민경 기상전문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노토 반도 강진에 따른 해일을 가장 먼저 감지한 건, 강릉 남항진에 설치된 '해일 파고계'였습니다.

당시 관측된 기록을 보면, 저녁 6시 무렵 파도 높이가 급격하게 올라가기 시작해 8시 무렵 28cm까지 치솟습니다.

["화살표를 경계로 해서 앞부분은 일반적인 파도고요, 높고 폭이 넓게 보이는 것이 지진해일입니다."]

통상적인 파도 주기는 10초 안팎으로, 자주 들이치고 바로 빠져나가는 것과 달리, 지진해일은 주기가 10분 안팎으로 깁니다.

한번 올 때마다 물로 세워진 벽이 장시간 육지로 몰려오는 셈입니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센다이 지역에는 지진해일이 내륙 10km까지 들어오기도 했습니다.

속도 역시 위협적입니다.

깊은 바다일수록 지진해일의 전파 속도가 빨라지는데, 수심 2천m 동해상에선 시속 약 500km에 이릅니다.

해안가에 근접한 수심 80m까지 와도 시속 100km, 자동차가 달리는 수준입니다.

[박순천/기상청 지진전문분석관 : "지진해일은 눈으로 확인했을 때는 이미 (대피가) 늦을 수 있습니다. 여기에 첫 번째 파보다 세 번째, 네 번째 파가 더 높아지는 경향이 있고 장시간 지속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일반 파도보다 물의 양이 많고 속도도 빠르기 때문에 높이 30cm의 해일이 육지에 들어오면 성인이 걷기 힘들고, 50cm에선 자동차가 떠다닙니다.

해안에 지진해일이 도달하기까지는 1시간 남짓 대피시간이 있는 만큼, 발생 즉시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높은 곳으로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KBS 뉴스 김민경입니다.

촬영기자:박찬걸/영상편집:이기승/그래픽;박미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진해일, 왜 위험한가?…“보고 피하면 늦어”
    • 입력 2024-01-04 07:29:23
    • 수정2024-01-04 07:35:17
    뉴스광장
[앵커]

노토 반도 강진의 영향으로 동해안에 최대 80cm 넘는 높이의 지진해일이 밀려왔었죠.

지진해일은 보통 우리가 생각하는 파도보다 '더 넓은 지역'에 '더 빠른 속도'로 밀려듭니다.

위력도 훨씬 강해 신속한 대피가 필수적입니다.

김민경 기상전문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노토 반도 강진에 따른 해일을 가장 먼저 감지한 건, 강릉 남항진에 설치된 '해일 파고계'였습니다.

당시 관측된 기록을 보면, 저녁 6시 무렵 파도 높이가 급격하게 올라가기 시작해 8시 무렵 28cm까지 치솟습니다.

["화살표를 경계로 해서 앞부분은 일반적인 파도고요, 높고 폭이 넓게 보이는 것이 지진해일입니다."]

통상적인 파도 주기는 10초 안팎으로, 자주 들이치고 바로 빠져나가는 것과 달리, 지진해일은 주기가 10분 안팎으로 깁니다.

한번 올 때마다 물로 세워진 벽이 장시간 육지로 몰려오는 셈입니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센다이 지역에는 지진해일이 내륙 10km까지 들어오기도 했습니다.

속도 역시 위협적입니다.

깊은 바다일수록 지진해일의 전파 속도가 빨라지는데, 수심 2천m 동해상에선 시속 약 500km에 이릅니다.

해안가에 근접한 수심 80m까지 와도 시속 100km, 자동차가 달리는 수준입니다.

[박순천/기상청 지진전문분석관 : "지진해일은 눈으로 확인했을 때는 이미 (대피가) 늦을 수 있습니다. 여기에 첫 번째 파보다 세 번째, 네 번째 파가 더 높아지는 경향이 있고 장시간 지속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일반 파도보다 물의 양이 많고 속도도 빠르기 때문에 높이 30cm의 해일이 육지에 들어오면 성인이 걷기 힘들고, 50cm에선 자동차가 떠다닙니다.

해안에 지진해일이 도달하기까지는 1시간 남짓 대피시간이 있는 만큼, 발생 즉시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높은 곳으로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KBS 뉴스 김민경입니다.

촬영기자:박찬걸/영상편집:이기승/그래픽;박미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