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포항] 수산자원 급감에 어촌 존폐 기로…대책 절실

입력 2024.01.09 (19:38) 수정 2024.01.09 (19: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구 온난화와 중국 어선의 불법 남획 등으로 수산 자원이 급감하면서 어촌이 존폐 위기에 놓였습니다.

어민들은 지속 가능한 수산 환경을 위해 장기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

보도에 윤희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오징어 철이지만 채낚기 어선들이 줄줄이 항구에 정박해 있습니다.

어획량이 크게 줄면서 출항을 해도 기름값조차 건지지 못하게 되자 아예 조업을 포기한 겁니다,

조업을 나설 때마다 적자에다가 고정비용도 감당하지 못해 배가 경매에 넘어가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습니다.

어획량 급감의 주 원인은 급격한 해수온 상승과 중국 어선의 불법 남획.

포항 대표 어종인 오징어의 지난해 11월까지 어획량은 899톤으로, 전년 대비 75%, 2016년과 비교하면 94% 급감했습니다.

같은 기간 위판 금액도 80% 넘게 줄어든 120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김광철/포항 어민회장 : "기후 변화로 인한 해양 생태 변화가 계속 매년 찾아올 수 있거든요. 그러면서 이제 어업인들 소득 증대는 계속 감소할 수밖에 없어요."]

어촌이 존폐기로에 처하자 자치단체도 서둘러 지원에 나섰습니다.

포항시는 지속 가능한 수산환경을 위해 84개 사업에 334억 원을 투입합니다.

흔히 우럭으로 불리는 조피볼락 산란·서식장을 조성하고, 과메기와 오징어 등을 현장에서 건조·저장하는 대규모 시설도 구축합니다.

[정철영/포항시 수산정책과장 : "어선 감축 사업 등을 확대해서 추진할 계획입니다. 새로운 어종에 대해 개발이 필요한 그런 시점이라고 보고 중앙 정부하고 지자체에서 연구 용역이라든지..."]

급변하는 수산 환경에 대응하고, 어촌을 살릴 돌파구가 절실한 시점입니다.

KBS 뉴스 윤희정입니다.

촬영기자:신광진

영덕군, 농업인 3종 보험료 90% 지원

영덕군은 이상기후로 인한 농가 피해에 대비하기 위해 농업인 관련 보험 3종의 보험료를 90%까지 지원합니다.

영덕군은 올해 75억 원을 투입해 태풍과 우박 등 농작물 재해보험, 농작업 사고를 보장하는 농업인 안전 보험, 그리고 농기계 종합보험, 3가지를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가입을 희망하는 농가는 품목별 판매 기간에 맞춰 가까운 지역 농협이나 대구경북능금농협을 방문 신청하면 됩니다.

새해 울진사랑카드 캐시백 지급

울진군은 오늘(9일)부터 예산을 소진할 때까지 울진사랑카드 결제액의 10%를 캐시백으로 지급합니다.

울진사랑카드의 캐시백 지급 한도는 월 50만 원 결제 시 10%인 5만 원이며, 명절이나 재해 상황 등 특별한 경우에는 최대 10만 원까지 지급합니다.

현재 울진사랑카드 등록자 수는 주민등록인구의 91%를 차지하는 3만9천3백 명이며 가맹점 수는 2천9백 곳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여기는 포항] 수산자원 급감에 어촌 존폐 기로…대책 절실
    • 입력 2024-01-09 19:38:35
    • 수정2024-01-09 19:48:28
    뉴스7(대구)
[앵커]

지구 온난화와 중국 어선의 불법 남획 등으로 수산 자원이 급감하면서 어촌이 존폐 위기에 놓였습니다.

어민들은 지속 가능한 수산 환경을 위해 장기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

보도에 윤희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오징어 철이지만 채낚기 어선들이 줄줄이 항구에 정박해 있습니다.

어획량이 크게 줄면서 출항을 해도 기름값조차 건지지 못하게 되자 아예 조업을 포기한 겁니다,

조업을 나설 때마다 적자에다가 고정비용도 감당하지 못해 배가 경매에 넘어가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습니다.

어획량 급감의 주 원인은 급격한 해수온 상승과 중국 어선의 불법 남획.

포항 대표 어종인 오징어의 지난해 11월까지 어획량은 899톤으로, 전년 대비 75%, 2016년과 비교하면 94% 급감했습니다.

같은 기간 위판 금액도 80% 넘게 줄어든 120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김광철/포항 어민회장 : "기후 변화로 인한 해양 생태 변화가 계속 매년 찾아올 수 있거든요. 그러면서 이제 어업인들 소득 증대는 계속 감소할 수밖에 없어요."]

어촌이 존폐기로에 처하자 자치단체도 서둘러 지원에 나섰습니다.

포항시는 지속 가능한 수산환경을 위해 84개 사업에 334억 원을 투입합니다.

흔히 우럭으로 불리는 조피볼락 산란·서식장을 조성하고, 과메기와 오징어 등을 현장에서 건조·저장하는 대규모 시설도 구축합니다.

[정철영/포항시 수산정책과장 : "어선 감축 사업 등을 확대해서 추진할 계획입니다. 새로운 어종에 대해 개발이 필요한 그런 시점이라고 보고 중앙 정부하고 지자체에서 연구 용역이라든지..."]

급변하는 수산 환경에 대응하고, 어촌을 살릴 돌파구가 절실한 시점입니다.

KBS 뉴스 윤희정입니다.

촬영기자:신광진

영덕군, 농업인 3종 보험료 90% 지원

영덕군은 이상기후로 인한 농가 피해에 대비하기 위해 농업인 관련 보험 3종의 보험료를 90%까지 지원합니다.

영덕군은 올해 75억 원을 투입해 태풍과 우박 등 농작물 재해보험, 농작업 사고를 보장하는 농업인 안전 보험, 그리고 농기계 종합보험, 3가지를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가입을 희망하는 농가는 품목별 판매 기간에 맞춰 가까운 지역 농협이나 대구경북능금농협을 방문 신청하면 됩니다.

새해 울진사랑카드 캐시백 지급

울진군은 오늘(9일)부터 예산을 소진할 때까지 울진사랑카드 결제액의 10%를 캐시백으로 지급합니다.

울진사랑카드의 캐시백 지급 한도는 월 50만 원 결제 시 10%인 5만 원이며, 명절이나 재해 상황 등 특별한 경우에는 최대 10만 원까지 지급합니다.

현재 울진사랑카드 등록자 수는 주민등록인구의 91%를 차지하는 3만9천3백 명이며 가맹점 수는 2천9백 곳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구-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