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값싼 수입 장미 어쩌나”…장미 농가 비상

입력 2024.01.17 (21:51) 수정 2024.01.17 (22: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해 체결된 한국과 에콰도르의 전략적 경제 협력협정이 국회에서 비준되면 관세 철폐로 값이 싸진 에콰도르 산 장미가 많이 수입될 전망입니다.

소비자들은 혜택을 보지만 국내 화훼농가들은 생존 위기를 호소하고 있습니다.

윤나경 기잡니다.

[앵커]

만 6천여 제곱미터 규모의 장미 농장에서 7가지 품종의 장미를 기르고 있는 김용오씨.

15년 동안 농장을 꾸려왔지만, 조만간 에콰도르산 장미가 낮은 관세로 수입된다는 소식에 농사를 접어야겠단 결심을 했습니다.

한 달 전기요금만 2천만 원, 생산 원가는 계속 오르는데 싸고 품질 좋은 에콰도르 장미가 수입되면 버틸 자신이 없기 때문입니다.

[김용오/장미 농가 대표 : "(협정 체결된 이후) 농사를 다 접으신다는 말씀들이 (주변 농가에서) 많이 나오고 있어요. 다른 품목으로 바꾸거나. 그 나라 꽃을 이긴다는 것은 정말 힘들죠.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지난해 10월 체결된 한-에콰도르 전략적경제협력협정에 따르면 가장 먼저 장미가 12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관세가 철폐됩니다.

에콰도르의 장미 생산량은 우리나라의 2배가 넘는데다 품질도 좋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유석룡/한국화훼농협 조합장 : "(에콰도르산 장미가) 3~4천 원대로 이렇게 예상이 되고 있거든요. 인건비, 생산 비용이 우리보다 많이 저렴하기 때문에 거기에 대해서 우리가 많이 불리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특히 경기 고양과 파주에는 전국 장미 농가의 절반이 밀집해 있어 지역 화훼 산업에도 큰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정부는 이르면 상반기 내에 국회 비준 동의를 요청할 계획입니다.

농민들은 장미 관세 철폐 유보와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 등을 촉구하며 22일 국회 앞에서 대규모 시위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윤나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값싼 수입 장미 어쩌나”…장미 농가 비상
    • 입력 2024-01-17 21:51:20
    • 수정2024-01-17 22:03:23
    뉴스 9
[앵커]

지난해 체결된 한국과 에콰도르의 전략적 경제 협력협정이 국회에서 비준되면 관세 철폐로 값이 싸진 에콰도르 산 장미가 많이 수입될 전망입니다.

소비자들은 혜택을 보지만 국내 화훼농가들은 생존 위기를 호소하고 있습니다.

윤나경 기잡니다.

[앵커]

만 6천여 제곱미터 규모의 장미 농장에서 7가지 품종의 장미를 기르고 있는 김용오씨.

15년 동안 농장을 꾸려왔지만, 조만간 에콰도르산 장미가 낮은 관세로 수입된다는 소식에 농사를 접어야겠단 결심을 했습니다.

한 달 전기요금만 2천만 원, 생산 원가는 계속 오르는데 싸고 품질 좋은 에콰도르 장미가 수입되면 버틸 자신이 없기 때문입니다.

[김용오/장미 농가 대표 : "(협정 체결된 이후) 농사를 다 접으신다는 말씀들이 (주변 농가에서) 많이 나오고 있어요. 다른 품목으로 바꾸거나. 그 나라 꽃을 이긴다는 것은 정말 힘들죠.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지난해 10월 체결된 한-에콰도르 전략적경제협력협정에 따르면 가장 먼저 장미가 12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관세가 철폐됩니다.

에콰도르의 장미 생산량은 우리나라의 2배가 넘는데다 품질도 좋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유석룡/한국화훼농협 조합장 : "(에콰도르산 장미가) 3~4천 원대로 이렇게 예상이 되고 있거든요. 인건비, 생산 비용이 우리보다 많이 저렴하기 때문에 거기에 대해서 우리가 많이 불리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특히 경기 고양과 파주에는 전국 장미 농가의 절반이 밀집해 있어 지역 화훼 산업에도 큰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정부는 이르면 상반기 내에 국회 비준 동의를 요청할 계획입니다.

농민들은 장미 관세 철폐 유보와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 등을 촉구하며 22일 국회 앞에서 대규모 시위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윤나경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