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동행카드’ 판매 첫 날부터 인기…누가 쓰면 이득?

입력 2024.01.23 (22:00) 수정 2024.01.23 (22: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한 달에 6만 2천 원을 내면 서울 시내 버스와 지하철을 무제한으로 탈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가 판매 첫날부터 매진됐습니다.

교통비 절약하려는 시민들이 적극 환영하는 정책인데, 한 발 더 나아가서 서울이나 경기도로 출퇴근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자치단체들끼리 교통카드 혜택을 통합하라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김민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하철역에 긴 줄이 늘어섰습니다.

기후동행카드 판매 첫날, 역마다 준비한 수백 장이 금세 동났습니다.

[시청역 관계자 : "저희가 받은 거 다 팔렸고요. 오늘 이제 연락하면..."]

서울 시내에서 대중교통을 한 달에 40번 이상 이용하는 사람 등에게 유리합니다.

구로구에서 서울 시청역으로 출퇴근하는 이 여성의 경우 한 달 교통비가 10만 원 이상인데, 기후교통카드로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보미/서울시 구로구 : "이걸 사면 무제한인데, 6만 2천 원이면 한 달 동안 쓸 수 있으니까 한 40%는 절감되는 거 같아요."]

카드는 이번 주 토요일부터 사용할 수 있지만, 고물가 속에 인기를 끌며 오전에만 2만 6천 장 넘게 팔려나갔습니다.

저도 현금 3천 원을 내고 기후동행카드를 구입했습니다.

이걸 실제로 사용하려면 여기 교통카드 충전기에 와서 평소처럼 충전하고 사용하면 됩니다.

지하철과 버스만 타면 월 6만 2천 원, 따릉이까지 포함하면 6만 5천 원을 충전하면 됩니다.

다만 서울 안에서만 쓸 수 있고, 광역버스와 신분당선, GTX에서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최근 등장한 교통비 혜택 카드는 국토부 K-패스와 기후동행카드, 더 경기 패스와 인천 I-패스 등 수도권에서만 4가지에 이릅니다.

이용방법이 제각각이다 보니 시민 편의를 위해 통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옵니다.

[유정훈/아주대 교통시스템공학과 교수 : "기후동행카드의 어떤 성과를 좀 확인해 보고, 궁극적으로는 K 패스 내에 이런 정기권 타입도 포함시키는,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가 통합되는..."]

국토부와 자치단체는 통합 방안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지만, 교통 시스템이 달라 상당한 시간이 걸릴 전망입니다.

KBS 뉴스 김민혁입니다.

촬영기자:김형준/영상편집:이현모/그래픽:김지혜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후동행카드’ 판매 첫 날부터 인기…누가 쓰면 이득?
    • 입력 2024-01-23 22:00:18
    • 수정2024-01-23 22:30:16
    뉴스 9
[앵커]

한 달에 6만 2천 원을 내면 서울 시내 버스와 지하철을 무제한으로 탈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가 판매 첫날부터 매진됐습니다.

교통비 절약하려는 시민들이 적극 환영하는 정책인데, 한 발 더 나아가서 서울이나 경기도로 출퇴근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자치단체들끼리 교통카드 혜택을 통합하라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김민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하철역에 긴 줄이 늘어섰습니다.

기후동행카드 판매 첫날, 역마다 준비한 수백 장이 금세 동났습니다.

[시청역 관계자 : "저희가 받은 거 다 팔렸고요. 오늘 이제 연락하면..."]

서울 시내에서 대중교통을 한 달에 40번 이상 이용하는 사람 등에게 유리합니다.

구로구에서 서울 시청역으로 출퇴근하는 이 여성의 경우 한 달 교통비가 10만 원 이상인데, 기후교통카드로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보미/서울시 구로구 : "이걸 사면 무제한인데, 6만 2천 원이면 한 달 동안 쓸 수 있으니까 한 40%는 절감되는 거 같아요."]

카드는 이번 주 토요일부터 사용할 수 있지만, 고물가 속에 인기를 끌며 오전에만 2만 6천 장 넘게 팔려나갔습니다.

저도 현금 3천 원을 내고 기후동행카드를 구입했습니다.

이걸 실제로 사용하려면 여기 교통카드 충전기에 와서 평소처럼 충전하고 사용하면 됩니다.

지하철과 버스만 타면 월 6만 2천 원, 따릉이까지 포함하면 6만 5천 원을 충전하면 됩니다.

다만 서울 안에서만 쓸 수 있고, 광역버스와 신분당선, GTX에서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최근 등장한 교통비 혜택 카드는 국토부 K-패스와 기후동행카드, 더 경기 패스와 인천 I-패스 등 수도권에서만 4가지에 이릅니다.

이용방법이 제각각이다 보니 시민 편의를 위해 통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옵니다.

[유정훈/아주대 교통시스템공학과 교수 : "기후동행카드의 어떤 성과를 좀 확인해 보고, 궁극적으로는 K 패스 내에 이런 정기권 타입도 포함시키는,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가 통합되는..."]

국토부와 자치단체는 통합 방안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지만, 교통 시스템이 달라 상당한 시간이 걸릴 전망입니다.

KBS 뉴스 김민혁입니다.

촬영기자:김형준/영상편집:이현모/그래픽:김지혜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