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져 가는 철새 쉼터…‘천수만 모래톱’ 어쩌나

입력 2024.01.23 (22:02) 수정 2024.01.23 (22: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충남 천수만 일대는 철새들의 보금자리인 모래톱이 있어서 천연기념물, 흑두루미가 찾는 세계적인 철새도래지가 됐습니다.

그런데 최근 이상기후로 이 모래톱이 물에 잠기면서 철새들의 서식지가 위협받고 있습니다.

정재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세찬 눈보라 사이로 흑두루미가 무리를 지어 비상합니다.

검은 몸통에 흰 목덜미, 짙은색 안경을 쓴 것 같은 특유의 무늬까지.

러시아에서 남하해 천수만을 찾은 천연기념물 228호 흑두루미 떼가 장관을 이룹니다.

이곳 천수만에 월동하기 위해 모인 흑두루미는 모두 1,500여 마리에 달합니다.

그런데 흑두루미를 비롯해 기러기와 가창오리 등 겨울 철새들의 보금자리인 모래톱이 온데간데없이 사라졌습니다.

최근 잦은 폭설과 강우로 많은 양의 담수가 천수만 간월호로 흘러들면서 모래톱이 수면 아래로 잠긴 겁니다.

[한성우/서산버드랜드 조류학 박사 : "천적인 삵이나 너구리로부터 안전하게 잠을 잘 수 있는 공간인데, 여기가 소실됨으로 인해서 천적의 위험에 노출되고..."]

모래톱이 자취를 감추면서 철새를 관찰하는 탐조대도 운영을 중단했습니다.

간월호를 관리하는 농어촌공사는 농업 용수 확보를 위해 모래톱이 드러날 정도까지 수위를 낮출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박병순/한국농어촌공사 천수만시설부장 :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목적이 가장 크기 때문에 농업용수 확보가 첫 번째고요. 하지만 철새라는 환경적인 측면도 고려..."]

전세계 흑두루미의 60% 가량이 겨울을 나기 위해 우리나라를 찾는 상황.

빈발하는 조류인플루엔자에다 서식지인 모래톱마저 실종되면서 천수만에서 겨울 진객의 모습을 더는 볼 수 없게 될까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재훈입니다.

촬영기자:강수헌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사라져 가는 철새 쉼터…‘천수만 모래톱’ 어쩌나
    • 입력 2024-01-23 22:02:24
    • 수정2024-01-23 22:08:59
    뉴스 9
[앵커]

충남 천수만 일대는 철새들의 보금자리인 모래톱이 있어서 천연기념물, 흑두루미가 찾는 세계적인 철새도래지가 됐습니다.

그런데 최근 이상기후로 이 모래톱이 물에 잠기면서 철새들의 서식지가 위협받고 있습니다.

정재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세찬 눈보라 사이로 흑두루미가 무리를 지어 비상합니다.

검은 몸통에 흰 목덜미, 짙은색 안경을 쓴 것 같은 특유의 무늬까지.

러시아에서 남하해 천수만을 찾은 천연기념물 228호 흑두루미 떼가 장관을 이룹니다.

이곳 천수만에 월동하기 위해 모인 흑두루미는 모두 1,500여 마리에 달합니다.

그런데 흑두루미를 비롯해 기러기와 가창오리 등 겨울 철새들의 보금자리인 모래톱이 온데간데없이 사라졌습니다.

최근 잦은 폭설과 강우로 많은 양의 담수가 천수만 간월호로 흘러들면서 모래톱이 수면 아래로 잠긴 겁니다.

[한성우/서산버드랜드 조류학 박사 : "천적인 삵이나 너구리로부터 안전하게 잠을 잘 수 있는 공간인데, 여기가 소실됨으로 인해서 천적의 위험에 노출되고..."]

모래톱이 자취를 감추면서 철새를 관찰하는 탐조대도 운영을 중단했습니다.

간월호를 관리하는 농어촌공사는 농업 용수 확보를 위해 모래톱이 드러날 정도까지 수위를 낮출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박병순/한국농어촌공사 천수만시설부장 :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목적이 가장 크기 때문에 농업용수 확보가 첫 번째고요. 하지만 철새라는 환경적인 측면도 고려..."]

전세계 흑두루미의 60% 가량이 겨울을 나기 위해 우리나라를 찾는 상황.

빈발하는 조류인플루엔자에다 서식지인 모래톱마저 실종되면서 천수만에서 겨울 진객의 모습을 더는 볼 수 없게 될까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재훈입니다.

촬영기자:강수헌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