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가는K] 우리는 어디로 가야하죠?

입력 2024.02.01 (19:18) 수정 2024.02.01 (19: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문틀과 현관문 등을 만드는 한 제조업체입니다.

뚝 떨어진 기온에 작업자들은 입김을 내며 플라스틱 기둥을 절단하고 구멍을 뚫는 작업 등을 거쳐 제품을 만들어 냅니다.

직원 11명 가운데 6명이 외국인 근로자들로 공장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남경숙/제조업체 대표 : "외국인 근로자 없이는 저희 같은 업체는 존재가 안 되죠. 저도 가끔 바쁠 때는 현장에 나가서 일합니다. 그렇게 해야 하는 상황까지 와 있고 외국인 근로자 없으면 저희(같은) 소기업은 아마 거의 문 닫아야 될 상황이죠."]

이곳에서 7년째 일하고 있는 필리핀 국적의 란달 씨.

성실함은 물론 능숙한 한국어로 업무 능력을 인정받으며 팀장직을 맡고 있습니다.

한국 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었던 이유로 광주 외국인노동자지원센터를 꼽았는데요.

[카바탄 란달/외국인 근로자(필리핀) : "(센터에서) 도움을 많이 주고, 회사나 병원에 갔을 때 서류가 필요하면 센터에 나라별 통역사가 있거든요. 거기에 전화하면 바로 도움받을 수 있었습니다."]

광주 외국인노동자지원센터를 직접 찾아가 봤습니다.

지난해까지 매년 란달 씨와 같은 3만여 명의 외국인들이 이곳에서 교육과 상담을 받으며 지역사회 적응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정부의 정책 변화로 지난달부터 지원센터는 문을 닫은 가운데 최근 란달 씨에게 고민이 생겼습니다.

[카바탄 란달/외국인 근로자(필리핀) : "우리 같은 외국인들 (앞으로) 회사가 문제가 생기면 어디로 갈까? 누구한테 연락해 (도움받을 수 있을까?)"]

이곳 말고는 교육을 받고 정보를 교류할 수 있는 장소가 사실상 지역에는 없기 때문이죠.

[현장에서 만난 캄보디아 근로자 : "저는 추운 지방에서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현재 일자리가 없기 때문에 농장 일을 찾기 위해 이곳을 찾았습니다."]

지난해까지 한해 5억 원에서 최대 9억 원의 정부 예산을 지원받은 외국인노동자지원센터는 현재 광주를 포함해 전국 아홉 군데가 비슷한 상황입니다.

정부는 각종 민간단체 보조금을 부정 사용하다 적발되자 보조금을 축소하면서 외국인노동자지원센터 예산도 전액 삭감된겁니다.

지원센터의 공백은 지방고용노동청과 한국산업인력공단이 대신 맡을 것이라고 밝혔지만, 현장에서는 정부 정책이 거꾸로 가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옵니다.

[문길주/전남노동권익센터 센터장 : "외국인 이주 근로자는 (계속해서) 유입하는데 정작 우리나라에 온 외국인 이주 근로자들이 상담할 곳이 없다는 거죠. 뭐가 안 맞는 거죠. 어떻게 보면 정부 정책과 실제로 한국에서 일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의 상황이) 맞지 않다는 거죠."]

정부 정책 변화에 전남도 고민은 깊습니다.

지방소멸 위기속 인구청년이민국을 신설해서 외국인 근로자 등을 공동체 구성원으로 끌어들이겠다는 계획에도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입니다.

[유영민/전남도 이민정책과장 : "전남도 차원에서도 관련 실태를 좀 파악하고 특히 외국인들이 평일에는 일을 해야 되고 주말에 한국어 교육도 받고 그러니까 좀 더 구체적으로 현황을 파악하고 난 다음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지난해 11월 기준 광주와 전남지역 등록 외국인은 9만여 명으로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인구는 줄고 청년들은 빠져나가면서 외국인 근로자들이 광주·전남 산업현장은 물론 농어촌에서 필수 인력이 되고 있는 만큼 이들의 안정적인 국내 정착을 위한 촘촘한 지원책 마련이 필요해 보입니다.

찾아가는 k였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찾아가는K] 우리는 어디로 가야하죠?
    • 입력 2024-02-01 19:18:25
    • 수정2024-02-01 19:51:11
    뉴스7(광주)
창문틀과 현관문 등을 만드는 한 제조업체입니다.

뚝 떨어진 기온에 작업자들은 입김을 내며 플라스틱 기둥을 절단하고 구멍을 뚫는 작업 등을 거쳐 제품을 만들어 냅니다.

직원 11명 가운데 6명이 외국인 근로자들로 공장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남경숙/제조업체 대표 : "외국인 근로자 없이는 저희 같은 업체는 존재가 안 되죠. 저도 가끔 바쁠 때는 현장에 나가서 일합니다. 그렇게 해야 하는 상황까지 와 있고 외국인 근로자 없으면 저희(같은) 소기업은 아마 거의 문 닫아야 될 상황이죠."]

이곳에서 7년째 일하고 있는 필리핀 국적의 란달 씨.

성실함은 물론 능숙한 한국어로 업무 능력을 인정받으며 팀장직을 맡고 있습니다.

한국 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었던 이유로 광주 외국인노동자지원센터를 꼽았는데요.

[카바탄 란달/외국인 근로자(필리핀) : "(센터에서) 도움을 많이 주고, 회사나 병원에 갔을 때 서류가 필요하면 센터에 나라별 통역사가 있거든요. 거기에 전화하면 바로 도움받을 수 있었습니다."]

광주 외국인노동자지원센터를 직접 찾아가 봤습니다.

지난해까지 매년 란달 씨와 같은 3만여 명의 외국인들이 이곳에서 교육과 상담을 받으며 지역사회 적응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정부의 정책 변화로 지난달부터 지원센터는 문을 닫은 가운데 최근 란달 씨에게 고민이 생겼습니다.

[카바탄 란달/외국인 근로자(필리핀) : "우리 같은 외국인들 (앞으로) 회사가 문제가 생기면 어디로 갈까? 누구한테 연락해 (도움받을 수 있을까?)"]

이곳 말고는 교육을 받고 정보를 교류할 수 있는 장소가 사실상 지역에는 없기 때문이죠.

[현장에서 만난 캄보디아 근로자 : "저는 추운 지방에서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현재 일자리가 없기 때문에 농장 일을 찾기 위해 이곳을 찾았습니다."]

지난해까지 한해 5억 원에서 최대 9억 원의 정부 예산을 지원받은 외국인노동자지원센터는 현재 광주를 포함해 전국 아홉 군데가 비슷한 상황입니다.

정부는 각종 민간단체 보조금을 부정 사용하다 적발되자 보조금을 축소하면서 외국인노동자지원센터 예산도 전액 삭감된겁니다.

지원센터의 공백은 지방고용노동청과 한국산업인력공단이 대신 맡을 것이라고 밝혔지만, 현장에서는 정부 정책이 거꾸로 가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옵니다.

[문길주/전남노동권익센터 센터장 : "외국인 이주 근로자는 (계속해서) 유입하는데 정작 우리나라에 온 외국인 이주 근로자들이 상담할 곳이 없다는 거죠. 뭐가 안 맞는 거죠. 어떻게 보면 정부 정책과 실제로 한국에서 일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의 상황이) 맞지 않다는 거죠."]

정부 정책 변화에 전남도 고민은 깊습니다.

지방소멸 위기속 인구청년이민국을 신설해서 외국인 근로자 등을 공동체 구성원으로 끌어들이겠다는 계획에도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입니다.

[유영민/전남도 이민정책과장 : "전남도 차원에서도 관련 실태를 좀 파악하고 특히 외국인들이 평일에는 일을 해야 되고 주말에 한국어 교육도 받고 그러니까 좀 더 구체적으로 현황을 파악하고 난 다음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지난해 11월 기준 광주와 전남지역 등록 외국인은 9만여 명으로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인구는 줄고 청년들은 빠져나가면서 외국인 근로자들이 광주·전남 산업현장은 물론 농어촌에서 필수 인력이 되고 있는 만큼 이들의 안정적인 국내 정착을 위한 촘촘한 지원책 마련이 필요해 보입니다.

찾아가는 k였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광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2024 파리 올림픽 배너 이미지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