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거세진 중동의 모래바람…동아시아 축구의 마지막 자존심 지켜라

입력 2024.02.05 (21:17) 수정 2024.02.05 (21: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아시안컵 4강은 우리나라를 제외한 3개 팀이 중동 국가로 채워졌습니다.

중동 축구 이렇게 약진한 원인은 뭔지 또 중동 축구의 어떤 점을 공략해야 하는지 김기범 기자가 분석했습니다.

[리포트]

이란과 일본의 8강전 결과는 중동 축구의 판정승으로 불릴만했습니다.

8강에서 일본과 호주가 탈락해 중동 3개국과 한국이 남아 우승컵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펼치게 됐습니다.

조별리그부터 이라크가 일본을 꺾는 등 중동 강세는 뚜렷한 추세였습니다.

이번 대회 출전국 가운데 중동 9개 국가가 16강에 올라, 16강 진출국 전체의 56%를 차지했습니다.

중동 축구의 약진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강력한 오일 머니를 바탕으로 호날두와 네이마르 등 세계적인 선수와 만치니 등 실력있는 지도자들을 자국리그와 대표팀에 영입했고, 최첨단 시설을 갖춘 축구 경기장 건립에 천문학적인 돈을 쏟아부었습니다.

카타르월드컵 유치를 기점으로 중동 전체에 유소년 육성과 저변 확대 프로그램도 확산해 유망주 육성에도 힘썼습니다.

거기에 아시안컵 개최지가 3번 연속 중동 국가로 결정되면서 아시안컵에서, 강세가 도드라졌습니다.

[이영표/KBS 축구 해설위원 : "(개최국이) 지리적으로 가까운 곳에 있기 때문에 환경적으로 상당히 편했고 시차적응도 없었습니다. 중동은 축구에 '올인'하는 나라이고 실제로 축구에 많은 돈을 씁니다."]

홀로 남은 한국 축구는 이제 남은 두 번의 경기를 모두 중동 국가와 치러야 합니다.

사우디 전 일방적 응원에서 볼 수 있듯, 개최지 카타르와 인접한 중동 축구팬들의 열띤 응원을 넘어서야 합니다.

무엇보다 중동 선수들이 기세가 오르면 상대하기 힘든 만큼 선제골과 함께 경기를 지배하는 전술로 중동팀을 상대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KBS 뉴스 김기범입니다.

영상편집:권혁락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더 거세진 중동의 모래바람…동아시아 축구의 마지막 자존심 지켜라
    • 입력 2024-02-05 21:17:15
    • 수정2024-02-05 21:26:30
    뉴스 9
[앵커]

아시안컵 4강은 우리나라를 제외한 3개 팀이 중동 국가로 채워졌습니다.

중동 축구 이렇게 약진한 원인은 뭔지 또 중동 축구의 어떤 점을 공략해야 하는지 김기범 기자가 분석했습니다.

[리포트]

이란과 일본의 8강전 결과는 중동 축구의 판정승으로 불릴만했습니다.

8강에서 일본과 호주가 탈락해 중동 3개국과 한국이 남아 우승컵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펼치게 됐습니다.

조별리그부터 이라크가 일본을 꺾는 등 중동 강세는 뚜렷한 추세였습니다.

이번 대회 출전국 가운데 중동 9개 국가가 16강에 올라, 16강 진출국 전체의 56%를 차지했습니다.

중동 축구의 약진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강력한 오일 머니를 바탕으로 호날두와 네이마르 등 세계적인 선수와 만치니 등 실력있는 지도자들을 자국리그와 대표팀에 영입했고, 최첨단 시설을 갖춘 축구 경기장 건립에 천문학적인 돈을 쏟아부었습니다.

카타르월드컵 유치를 기점으로 중동 전체에 유소년 육성과 저변 확대 프로그램도 확산해 유망주 육성에도 힘썼습니다.

거기에 아시안컵 개최지가 3번 연속 중동 국가로 결정되면서 아시안컵에서, 강세가 도드라졌습니다.

[이영표/KBS 축구 해설위원 : "(개최국이) 지리적으로 가까운 곳에 있기 때문에 환경적으로 상당히 편했고 시차적응도 없었습니다. 중동은 축구에 '올인'하는 나라이고 실제로 축구에 많은 돈을 씁니다."]

홀로 남은 한국 축구는 이제 남은 두 번의 경기를 모두 중동 국가와 치러야 합니다.

사우디 전 일방적 응원에서 볼 수 있듯, 개최지 카타르와 인접한 중동 축구팬들의 열띤 응원을 넘어서야 합니다.

무엇보다 중동 선수들이 기세가 오르면 상대하기 힘든 만큼 선제골과 함께 경기를 지배하는 전술로 중동팀을 상대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KBS 뉴스 김기범입니다.

영상편집:권혁락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