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년 만에 ‘재도전’…변수는 부동산 경기

입력 2024.02.05 (21:48) 수정 2024.02.06 (17: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렇게 용산에 들어설 국제업무지구는 이전에도 한 차례 추진된 바 있죠.

2007년, 단군 이래 최대 개발 사업으로 불리며 추진되다가 자금 문제 등 여러 장애물을 만나 결국 무산됐는데요.

17년 만에 다시 추진되는 미래도시 계획, 과거와 어떤 점이 다른지, 김우준 기자가 분석했습니다.

[리포트]

물방울 모양의 초고층 빌딩을 중심으로 한 미래도시.

2007년 공개한 용산국제업무지구의 조감도입니다.

[이경택/당시 삼성물산 상무/2007년 : "국내를 대표하는 게 아니라 세계에서 대표하는 단지를 만들자."]

하지만 땅 주인인 코레일과 민간 건설사들은 재원 마련과 개발 방식을 두고 계속 부딪혔습니다.

주민 반발도 있었습니다.

[서부이촌동 주민/2009년 : "서민주거지를 파괴하여 외국인 학교를 짓는다니 서민이 살 곳은 단 한 평도 없다."]

여기에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는 상황을 결정적으로 악화시켰고, 2013년 사업이 전면 백지화됐습니다.

이번에 서울시는 걸림돌이 됐던 서부이촌동 아파트 부지를 사업 대상지에서 제외했습니다.

또 속도감 있는 추진을 위해 공공기관이 기반시설을 먼저 구축하기로 했습니다.

[한문희/코레일 사장 : "코레일이 사업시행자로서 개발 계획을 수립하고, 토지를 제공하는 등 주도적으로 참여합니다."]

개발이 완료되면 일자리 14만 6천 개가 생기고, 32조 6천억 원의 생산 유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서울시는 내다봤습니다.

변수는 부동산 경기입니다.

[박원갑/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 : "초대형 개발사업인 만큼 자금조달이 중요할 텐데요. 'PF 위기'로 홍역을 앓고 있는 상황에서 민간업체 참여를 어느 정도 끌어들일지 여부가 향후에 큰 변수로…."]

서울시는 투자자를 국내로만 한정 짓지 않았다며, 해외 투자 유치를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우준입니다.

촬영기자:민창호/영상편집:박은주/그래픽:최창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17년 만에 ‘재도전’…변수는 부동산 경기
    • 입력 2024-02-05 21:48:22
    • 수정2024-02-06 17:34:30
    뉴스 9
[앵커]

이렇게 용산에 들어설 국제업무지구는 이전에도 한 차례 추진된 바 있죠.

2007년, 단군 이래 최대 개발 사업으로 불리며 추진되다가 자금 문제 등 여러 장애물을 만나 결국 무산됐는데요.

17년 만에 다시 추진되는 미래도시 계획, 과거와 어떤 점이 다른지, 김우준 기자가 분석했습니다.

[리포트]

물방울 모양의 초고층 빌딩을 중심으로 한 미래도시.

2007년 공개한 용산국제업무지구의 조감도입니다.

[이경택/당시 삼성물산 상무/2007년 : "국내를 대표하는 게 아니라 세계에서 대표하는 단지를 만들자."]

하지만 땅 주인인 코레일과 민간 건설사들은 재원 마련과 개발 방식을 두고 계속 부딪혔습니다.

주민 반발도 있었습니다.

[서부이촌동 주민/2009년 : "서민주거지를 파괴하여 외국인 학교를 짓는다니 서민이 살 곳은 단 한 평도 없다."]

여기에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는 상황을 결정적으로 악화시켰고, 2013년 사업이 전면 백지화됐습니다.

이번에 서울시는 걸림돌이 됐던 서부이촌동 아파트 부지를 사업 대상지에서 제외했습니다.

또 속도감 있는 추진을 위해 공공기관이 기반시설을 먼저 구축하기로 했습니다.

[한문희/코레일 사장 : "코레일이 사업시행자로서 개발 계획을 수립하고, 토지를 제공하는 등 주도적으로 참여합니다."]

개발이 완료되면 일자리 14만 6천 개가 생기고, 32조 6천억 원의 생산 유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서울시는 내다봤습니다.

변수는 부동산 경기입니다.

[박원갑/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 : "초대형 개발사업인 만큼 자금조달이 중요할 텐데요. 'PF 위기'로 홍역을 앓고 있는 상황에서 민간업체 참여를 어느 정도 끌어들일지 여부가 향후에 큰 변수로…."]

서울시는 투자자를 국내로만 한정 짓지 않았다며, 해외 투자 유치를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우준입니다.

촬영기자:민창호/영상편집:박은주/그래픽:최창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