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옥’이 된 휴양지…칠레 산불에 100명 넘게 사망

입력 2024.02.05 (21:50) 수정 2024.02.05 (22:2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남미 칠레 중부지역에서 시작된 큰 산불이 아직도 잡히지 않고 있습니다.

헬기까지 동원해 물을 뿌리고 있지만, 강풍과 폭염으로 산불은 더 커지고 있습니다.

피해도 확산하고 있는데요.

지금까지 백 명 넘게 숨지고, 수백 명이 실종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남북으로 길게 놓인 칠레 국토를 따라 퍼지던 산불이, 이제는 인구가 밀집된 해안가 도시로까지 번지며, 더 큰 인명피해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임세흠 기잡니다.

[리포트]

화려한 빛깔을 뽐내던 칠레 대표 휴양지는...

온통 잿빛으로 변했습니다.

주택 지붕은 하나같이 화염 속에 무너져 내렸습니다.

건질 수 있는 세간살이라곤 타다 남은 접시가 전부입니다.

[세르히오 에스페호/산불 피해주민 : "여기 제 작업 공간이 있었는데 완전히 파괴됐어요. 여기에는 절단용 납땜 도구가 있었어요."]

길가의 차들은 뼈대만 남았고, 용광로 같았던 불길에 철까지 녹아내렸습니다.

["창문 다 닫아요, 닫으라니까!"]

칠레 산불로 지금까지 100명 넘는 사망자가 확인됐습니다.

실종자 역시 수백 명에 달합니다.

현지시각 4일 기준, 165건의 산불이 난 걸로 집계됐습니다.

정부가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총력 대응해 불이 더 커지는 걸 막고 있지만, 완전히 진화된 산불은 아직 4건뿐입니다.

[가브리엘 보리치/칠레 대통령 : "사망자 수는 늘어날 겁니다. 우리는 이 숫자가 크게 증가하리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이번 산불은 남반구 칠레에 36~37도를 넘나드는 폭염이 이어지면서 시작됐습니다.

칠레를 포함한 남미는 지난해 8월, 한겨울인데도 30도 넘는 고온 현상을 겪기도 했습니다.

지구 온난화와 태평양 동쪽 수온이 올라가는 엘니뇨 현상 때문에, 2023년은 가장 뜨거운 해로 기록됐지만, 과학자들은 올해가 기록을 갈아치울 걸로 예상합니다.

칠레 산불은 예고편이 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임세흠입니다.

영상편집:황보현평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옥’이 된 휴양지…칠레 산불에 100명 넘게 사망
    • 입력 2024-02-05 21:50:03
    • 수정2024-02-05 22:28:45
    뉴스 9
[앵커]

남미 칠레 중부지역에서 시작된 큰 산불이 아직도 잡히지 않고 있습니다.

헬기까지 동원해 물을 뿌리고 있지만, 강풍과 폭염으로 산불은 더 커지고 있습니다.

피해도 확산하고 있는데요.

지금까지 백 명 넘게 숨지고, 수백 명이 실종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남북으로 길게 놓인 칠레 국토를 따라 퍼지던 산불이, 이제는 인구가 밀집된 해안가 도시로까지 번지며, 더 큰 인명피해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임세흠 기잡니다.

[리포트]

화려한 빛깔을 뽐내던 칠레 대표 휴양지는...

온통 잿빛으로 변했습니다.

주택 지붕은 하나같이 화염 속에 무너져 내렸습니다.

건질 수 있는 세간살이라곤 타다 남은 접시가 전부입니다.

[세르히오 에스페호/산불 피해주민 : "여기 제 작업 공간이 있었는데 완전히 파괴됐어요. 여기에는 절단용 납땜 도구가 있었어요."]

길가의 차들은 뼈대만 남았고, 용광로 같았던 불길에 철까지 녹아내렸습니다.

["창문 다 닫아요, 닫으라니까!"]

칠레 산불로 지금까지 100명 넘는 사망자가 확인됐습니다.

실종자 역시 수백 명에 달합니다.

현지시각 4일 기준, 165건의 산불이 난 걸로 집계됐습니다.

정부가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총력 대응해 불이 더 커지는 걸 막고 있지만, 완전히 진화된 산불은 아직 4건뿐입니다.

[가브리엘 보리치/칠레 대통령 : "사망자 수는 늘어날 겁니다. 우리는 이 숫자가 크게 증가하리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이번 산불은 남반구 칠레에 36~37도를 넘나드는 폭염이 이어지면서 시작됐습니다.

칠레를 포함한 남미는 지난해 8월, 한겨울인데도 30도 넘는 고온 현상을 겪기도 했습니다.

지구 온난화와 태평양 동쪽 수온이 올라가는 엘니뇨 현상 때문에, 2023년은 가장 뜨거운 해로 기록됐지만, 과학자들은 올해가 기록을 갈아치울 걸로 예상합니다.

칠레 산불은 예고편이 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임세흠입니다.

영상편집:황보현평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