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르키예 강진 1년…컨테이너 마을에 싹트는 희망

입력 2024.02.05 (21:53) 수정 2024.02.05 (22:2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내일이면 5만 3천여 명이 희생된 튀르키예 강진이 일어난 지 1년이 됩니다.

수백 만명이 한 순간에 삶의 터전을 잃어버렸는데 구호와 재건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비극의 상처가 곳곳에 남아있습니다.

튀르키예 남부에 KBS 특파원이 나가 있습니다.

송락규 특파원, 뒤로 컨테이너들이 보이는데요,

이재민들이 머무는 곳인가요?

[기자]

네, 제 뒤로 보이는 곳은 이재민들의 임시 주거시설입니다.

튀르키예 강진으로 인명 피해가 컸던 카라만마라슈 주 이곳에도 이재민들이 컨테이너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내일이면 튀르키예 강진이 발생한 지 꼭 1년이 되는데 지진의 상흔은 여전합니다.

지난해 2월 6일 일어난 튀르키예 강진에 11개 주에서 5만 3천여 명이 숨지고 10만 명 넘게 다쳤습니다.

무너진 집만 68만 채, 수백만 명이 집을 잃었습니다.

취재진은 튀르키예 정부 협조로 피해가 컸던 다른 지역도 둘러볼 수 있었습니다.

간헐적으로 일어나는 지진 속에서도 정부, 시민 모두 재건에 구슬땀을 흘리고 있습니다.

[리포트]

규모 7.8의 첫 강진이 덮친 가지안테프로부터 북동쪽으로 200km가량 떨어진 말라티야, 판의 경계에서 일어난 강진 이후 여진이 지속됐습니다.

지진은 목숨과 터전을 앗아갔습니다.

[에미네/지진 피해 주민 : "6살과 34살이었던 조카들을 잃었습니다."]

43만 명의 이재민들은 여전히 컨테이너 정착촌에서 생활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타하/지진 피해 주민 : "가끔 난방 문제가 있어요. 비가 올 때면 컨테이너 안으로 물이 떨어질 때가 있습니다."]

힘겨운 일상이지만 어른들도 아이들도 희망을 잃지 않습니다.

그림을 그리고 축구를 하는 아이들 얼굴엔 미소가 가득합니다.

한국에서 왔다는 말에 익숙한 이름도 외칩니다.

["흥민 손, 토트넘!"]

이재민을 위한 임대주택 공사도 속속 마무리돼 다음 달 일부 주민들의 입주를 앞두고 있습니다.

튀르키예 정부는 올해 안에 20만 가구가 머물 임대 주택을 마련할 예정입니다.

[세한 와탄세발/임대주택 건설 책임자 : "이 집들은 굉장히 강한 규모의 지진도 완벽하게 견뎌낼 수 있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21세기 들어 최악의 재앙으로 꼽히는 지진을 겪은 튀르키예는 비극의 상처를 딛고 복구와 재건에 안간힘을 쏟고 있습니다.

튀르키예 카라만마라슈에서 KBS 뉴스 송락규입니다.

촬영기자:김대원/영상편집:김인수/그래픽:채상우/취재협조:튀르키예 대통령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튀르키예 강진 1년…컨테이너 마을에 싹트는 희망
    • 입력 2024-02-05 21:53:05
    • 수정2024-02-05 22:28:45
    뉴스 9
[앵커]

내일이면 5만 3천여 명이 희생된 튀르키예 강진이 일어난 지 1년이 됩니다.

수백 만명이 한 순간에 삶의 터전을 잃어버렸는데 구호와 재건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비극의 상처가 곳곳에 남아있습니다.

튀르키예 남부에 KBS 특파원이 나가 있습니다.

송락규 특파원, 뒤로 컨테이너들이 보이는데요,

이재민들이 머무는 곳인가요?

[기자]

네, 제 뒤로 보이는 곳은 이재민들의 임시 주거시설입니다.

튀르키예 강진으로 인명 피해가 컸던 카라만마라슈 주 이곳에도 이재민들이 컨테이너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내일이면 튀르키예 강진이 발생한 지 꼭 1년이 되는데 지진의 상흔은 여전합니다.

지난해 2월 6일 일어난 튀르키예 강진에 11개 주에서 5만 3천여 명이 숨지고 10만 명 넘게 다쳤습니다.

무너진 집만 68만 채, 수백만 명이 집을 잃었습니다.

취재진은 튀르키예 정부 협조로 피해가 컸던 다른 지역도 둘러볼 수 있었습니다.

간헐적으로 일어나는 지진 속에서도 정부, 시민 모두 재건에 구슬땀을 흘리고 있습니다.

[리포트]

규모 7.8의 첫 강진이 덮친 가지안테프로부터 북동쪽으로 200km가량 떨어진 말라티야, 판의 경계에서 일어난 강진 이후 여진이 지속됐습니다.

지진은 목숨과 터전을 앗아갔습니다.

[에미네/지진 피해 주민 : "6살과 34살이었던 조카들을 잃었습니다."]

43만 명의 이재민들은 여전히 컨테이너 정착촌에서 생활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타하/지진 피해 주민 : "가끔 난방 문제가 있어요. 비가 올 때면 컨테이너 안으로 물이 떨어질 때가 있습니다."]

힘겨운 일상이지만 어른들도 아이들도 희망을 잃지 않습니다.

그림을 그리고 축구를 하는 아이들 얼굴엔 미소가 가득합니다.

한국에서 왔다는 말에 익숙한 이름도 외칩니다.

["흥민 손, 토트넘!"]

이재민을 위한 임대주택 공사도 속속 마무리돼 다음 달 일부 주민들의 입주를 앞두고 있습니다.

튀르키예 정부는 올해 안에 20만 가구가 머물 임대 주택을 마련할 예정입니다.

[세한 와탄세발/임대주택 건설 책임자 : "이 집들은 굉장히 강한 규모의 지진도 완벽하게 견뎌낼 수 있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21세기 들어 최악의 재앙으로 꼽히는 지진을 겪은 튀르키예는 비극의 상처를 딛고 복구와 재건에 안간힘을 쏟고 있습니다.

튀르키예 카라만마라슈에서 KBS 뉴스 송락규입니다.

촬영기자:김대원/영상편집:김인수/그래픽:채상우/취재협조:튀르키예 대통령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