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취재] 보수예산 급감…“보존 대안 모색해야”
입력 2024.02.07 (19:11)
수정 2024.02.07 (19: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처럼 열악한 주거환경에도 정부의 보수 예산 지원은 해가 갈수록 줄고 있습니다.
주민들은 세계유산 보존이란 의무만 강조하는 현실에선 더 이상 명맥을 잇기 어렵다며 대책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이어서 윤희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때 초가였던 지붕에는 초록 그늘막이 자리를 잡았습니다.
마을 담벼락 곳곳이 허물어졌고 서까래는 곰팡이가 펴 까맣게 썩어들어 가고 있습니다.
주민들은 어디서부터 손을 대야 할지, 또 어떻게 수리할지 난감합니다.
[이지관/경주 양동마을 운영위원장 : "지금 적치돼 있는 보수 건수가 100여 건 가까이 되거든요. 후손들이 지속적으로 유입돼서 이 마을이 계속 유지되어 갈 수 있는 그런 부분이 제일 시급합니다."]
하회와 양동마을에서 보수해야 할 가옥은 계속 쌓여가지만 관련 예산은 3년 새 40% 넘게 줄었습니다.
이마저도 초가지붕 잇기 예산이 포함된 금액이어서 실제 가옥 수리예산은 턱없이 부족합니다.
하지만 문화재청은 실제 예산 집행률이 높지 않다며 보수 예산 확대는 어렵다고 말합니다.
[문화재청 관계자/음성변조 : "일반 집들 같으면 증축이 조금 쉬운 부분들이 있는데 여기는 문화재다 보니까 제한되는 부분이 없지 않아 있기는 한데 그런 게 십수 년 반복되다 보니까 예산 집행률이 너무 저조해서..."]
전문가들은 문화유산 원형 유지만을 고집하는 현재 문화재 정책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합니다.
[배영동/국립안동대 문화유산학 교수 : "법적으로 현대인들의 삶에 불편함이 적도록 하는 그런 어떤 법 개정 내지는 새로운 지침이 마련 같은 것이 있어야지만..."]
수백 년의 역사를 품은 소중한 문화유산을 보존하면서도 주민들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대안을 고민할 시점이 됐습니다.
KBS 뉴스 윤희정입니다.
촬영기자:신광진·최동희/그래픽:김미령
이처럼 열악한 주거환경에도 정부의 보수 예산 지원은 해가 갈수록 줄고 있습니다.
주민들은 세계유산 보존이란 의무만 강조하는 현실에선 더 이상 명맥을 잇기 어렵다며 대책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이어서 윤희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때 초가였던 지붕에는 초록 그늘막이 자리를 잡았습니다.
마을 담벼락 곳곳이 허물어졌고 서까래는 곰팡이가 펴 까맣게 썩어들어 가고 있습니다.
주민들은 어디서부터 손을 대야 할지, 또 어떻게 수리할지 난감합니다.
[이지관/경주 양동마을 운영위원장 : "지금 적치돼 있는 보수 건수가 100여 건 가까이 되거든요. 후손들이 지속적으로 유입돼서 이 마을이 계속 유지되어 갈 수 있는 그런 부분이 제일 시급합니다."]
하회와 양동마을에서 보수해야 할 가옥은 계속 쌓여가지만 관련 예산은 3년 새 40% 넘게 줄었습니다.
이마저도 초가지붕 잇기 예산이 포함된 금액이어서 실제 가옥 수리예산은 턱없이 부족합니다.
하지만 문화재청은 실제 예산 집행률이 높지 않다며 보수 예산 확대는 어렵다고 말합니다.
[문화재청 관계자/음성변조 : "일반 집들 같으면 증축이 조금 쉬운 부분들이 있는데 여기는 문화재다 보니까 제한되는 부분이 없지 않아 있기는 한데 그런 게 십수 년 반복되다 보니까 예산 집행률이 너무 저조해서..."]
전문가들은 문화유산 원형 유지만을 고집하는 현재 문화재 정책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합니다.
[배영동/국립안동대 문화유산학 교수 : "법적으로 현대인들의 삶에 불편함이 적도록 하는 그런 어떤 법 개정 내지는 새로운 지침이 마련 같은 것이 있어야지만..."]
수백 년의 역사를 품은 소중한 문화유산을 보존하면서도 주민들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대안을 고민할 시점이 됐습니다.
KBS 뉴스 윤희정입니다.
촬영기자:신광진·최동희/그래픽:김미령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취재] 보수예산 급감…“보존 대안 모색해야”
-
- 입력 2024-02-07 19:11:40
- 수정2024-02-07 19:20:45

[앵커]
이처럼 열악한 주거환경에도 정부의 보수 예산 지원은 해가 갈수록 줄고 있습니다.
주민들은 세계유산 보존이란 의무만 강조하는 현실에선 더 이상 명맥을 잇기 어렵다며 대책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이어서 윤희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때 초가였던 지붕에는 초록 그늘막이 자리를 잡았습니다.
마을 담벼락 곳곳이 허물어졌고 서까래는 곰팡이가 펴 까맣게 썩어들어 가고 있습니다.
주민들은 어디서부터 손을 대야 할지, 또 어떻게 수리할지 난감합니다.
[이지관/경주 양동마을 운영위원장 : "지금 적치돼 있는 보수 건수가 100여 건 가까이 되거든요. 후손들이 지속적으로 유입돼서 이 마을이 계속 유지되어 갈 수 있는 그런 부분이 제일 시급합니다."]
하회와 양동마을에서 보수해야 할 가옥은 계속 쌓여가지만 관련 예산은 3년 새 40% 넘게 줄었습니다.
이마저도 초가지붕 잇기 예산이 포함된 금액이어서 실제 가옥 수리예산은 턱없이 부족합니다.
하지만 문화재청은 실제 예산 집행률이 높지 않다며 보수 예산 확대는 어렵다고 말합니다.
[문화재청 관계자/음성변조 : "일반 집들 같으면 증축이 조금 쉬운 부분들이 있는데 여기는 문화재다 보니까 제한되는 부분이 없지 않아 있기는 한데 그런 게 십수 년 반복되다 보니까 예산 집행률이 너무 저조해서..."]
전문가들은 문화유산 원형 유지만을 고집하는 현재 문화재 정책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합니다.
[배영동/국립안동대 문화유산학 교수 : "법적으로 현대인들의 삶에 불편함이 적도록 하는 그런 어떤 법 개정 내지는 새로운 지침이 마련 같은 것이 있어야지만..."]
수백 년의 역사를 품은 소중한 문화유산을 보존하면서도 주민들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대안을 고민할 시점이 됐습니다.
KBS 뉴스 윤희정입니다.
촬영기자:신광진·최동희/그래픽:김미령
이처럼 열악한 주거환경에도 정부의 보수 예산 지원은 해가 갈수록 줄고 있습니다.
주민들은 세계유산 보존이란 의무만 강조하는 현실에선 더 이상 명맥을 잇기 어렵다며 대책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이어서 윤희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때 초가였던 지붕에는 초록 그늘막이 자리를 잡았습니다.
마을 담벼락 곳곳이 허물어졌고 서까래는 곰팡이가 펴 까맣게 썩어들어 가고 있습니다.
주민들은 어디서부터 손을 대야 할지, 또 어떻게 수리할지 난감합니다.
[이지관/경주 양동마을 운영위원장 : "지금 적치돼 있는 보수 건수가 100여 건 가까이 되거든요. 후손들이 지속적으로 유입돼서 이 마을이 계속 유지되어 갈 수 있는 그런 부분이 제일 시급합니다."]
하회와 양동마을에서 보수해야 할 가옥은 계속 쌓여가지만 관련 예산은 3년 새 40% 넘게 줄었습니다.
이마저도 초가지붕 잇기 예산이 포함된 금액이어서 실제 가옥 수리예산은 턱없이 부족합니다.
하지만 문화재청은 실제 예산 집행률이 높지 않다며 보수 예산 확대는 어렵다고 말합니다.
[문화재청 관계자/음성변조 : "일반 집들 같으면 증축이 조금 쉬운 부분들이 있는데 여기는 문화재다 보니까 제한되는 부분이 없지 않아 있기는 한데 그런 게 십수 년 반복되다 보니까 예산 집행률이 너무 저조해서..."]
전문가들은 문화유산 원형 유지만을 고집하는 현재 문화재 정책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합니다.
[배영동/국립안동대 문화유산학 교수 : "법적으로 현대인들의 삶에 불편함이 적도록 하는 그런 어떤 법 개정 내지는 새로운 지침이 마련 같은 것이 있어야지만..."]
수백 년의 역사를 품은 소중한 문화유산을 보존하면서도 주민들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대안을 고민할 시점이 됐습니다.
KBS 뉴스 윤희정입니다.
촬영기자:신광진·최동희/그래픽:김미령
-
-
윤희정 기자 yooni@kbs.co.kr
윤희정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