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이 끓여주는 우동…휴게소에 ‘로봇요리사’ 등장

입력 2024.02.07 (19:16) 수정 2024.02.07 (19: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고속도로 휴게소의 별미인 우동이나 라면을 사람이 아니라 로봇이 만들어주는 시대가 됐습니다.

휴게소에 처음 등장한 로봇 요리사를 이현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식당 주방에서 면을 삶는 통을 갖춘 원판과 배식대가 돌아갑니다.

기계로 만들어진 팔이 통 하나를 번쩍 들어 올려 그릇에 우동 면을 옮겨 담습니다.

이어 육수도 담고 고명도 뿌립니다.

우동을 조리하고 그릇에 담는 것까지, 모두 로봇의 작품입니다.

["하나, 둘, 셋."]

로봇 요리사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영동고속도로 문막휴게소에 설치됐습니다.

[김기수/충청남도 아산시 : "신기하고 지금, 약간 색다르네요. 국물도 시원하고 간도 맞고, 고기도 연하고. 진짜 맛있어요. 진짜 별 차이 없는 것 같아요."]

일선에 배치된 건 일단 석 대.

관절형 기계 팔과 인덕션이 달린 원판 등으로 구성됐는데, 몸값은 대당 1억 원입니다.

설정된 값대로 정확하게 조리해 맛이 균일한 게 특징입니다.

[임상준/로봇 개발사 대표 : "항상 여기서 드시는 음식이 똑같은 맛이 나올 수 있게끔, 똑같은 품질을 유지할 수 있게끔."]

로봇 요리사가 만드는 메뉴는 라면, 우동, 갈비탕 등 12가지.

한 시간에 200그릇까지 만들 수 있습니다.

휴게소 직원들도 로봇 덕분에 업무 부담이 줄었다는 반응입니다.

[정다겸/휴게소 종사자 : "손목에 무리가 안 가고 더울 때 직접적으로 라면을 안 끓이다 보니까 땀도 덜 나고."]

한국도로공사는 문막휴게소에서 검증을 거친 뒤 반응이 좋으면 전국 휴게소에 로봇 요리사 설치를 검토할 거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이현기입니다.

촬영기자:최중호/영상편집:김진호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로봇이 끓여주는 우동…휴게소에 ‘로봇요리사’ 등장
    • 입력 2024-02-07 19:16:12
    • 수정2024-02-07 19:32:09
    뉴스 7
[앵커]

고속도로 휴게소의 별미인 우동이나 라면을 사람이 아니라 로봇이 만들어주는 시대가 됐습니다.

휴게소에 처음 등장한 로봇 요리사를 이현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식당 주방에서 면을 삶는 통을 갖춘 원판과 배식대가 돌아갑니다.

기계로 만들어진 팔이 통 하나를 번쩍 들어 올려 그릇에 우동 면을 옮겨 담습니다.

이어 육수도 담고 고명도 뿌립니다.

우동을 조리하고 그릇에 담는 것까지, 모두 로봇의 작품입니다.

["하나, 둘, 셋."]

로봇 요리사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영동고속도로 문막휴게소에 설치됐습니다.

[김기수/충청남도 아산시 : "신기하고 지금, 약간 색다르네요. 국물도 시원하고 간도 맞고, 고기도 연하고. 진짜 맛있어요. 진짜 별 차이 없는 것 같아요."]

일선에 배치된 건 일단 석 대.

관절형 기계 팔과 인덕션이 달린 원판 등으로 구성됐는데, 몸값은 대당 1억 원입니다.

설정된 값대로 정확하게 조리해 맛이 균일한 게 특징입니다.

[임상준/로봇 개발사 대표 : "항상 여기서 드시는 음식이 똑같은 맛이 나올 수 있게끔, 똑같은 품질을 유지할 수 있게끔."]

로봇 요리사가 만드는 메뉴는 라면, 우동, 갈비탕 등 12가지.

한 시간에 200그릇까지 만들 수 있습니다.

휴게소 직원들도 로봇 덕분에 업무 부담이 줄었다는 반응입니다.

[정다겸/휴게소 종사자 : "손목에 무리가 안 가고 더울 때 직접적으로 라면을 안 끓이다 보니까 땀도 덜 나고."]

한국도로공사는 문막휴게소에서 검증을 거친 뒤 반응이 좋으면 전국 휴게소에 로봇 요리사 설치를 검토할 거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이현기입니다.

촬영기자:최중호/영상편집:김진호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