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미세먼지 영향 ‘조기 사망’ 24명 추정

입력 2024.02.08 (07:43) 수정 2024.02.08 (10: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 등 대기 오염 증가로 기대 수명을 채우지 못하고 조기 사망한 부산 시민이 지난해에만 24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코로나19 이후 하락세를 보이던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농도가 다시 높아지고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장성길 기자입니다.

[리포트]

광안대교와 해안가 고층 건물이 자취를 감췄습니다.

도심도 회색빛으로 뒤덮였습니다.

미세먼지에 황사까지 겹친 지난해 1월 부산 모습입니다.

2015년 이후 하락세였던 부산 미세먼지 연평균 농도는 지난해 큰 폭으로 높아졌습니다.

초미세먼지 농도도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주의보 발령 일수는 각각 12일과 9일로 전년 대비 3일과 4일씩 늘었습니다.

중국발 황사 발생 증가가 미세먼지 증가의 가장 큰 원인입니다.

[이기곤/부산시 부산진구 : "그때는 굉장히 힘들었죠. 목도 따갑고, 눈도 따갑고, 또 그러다 보면 노인들은 집에 앉아있을 수밖에 없고, 많이 괴로웠습니다."]

특히 미세먼지 발생 증가가 시민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미세먼지 증가로 지난해 심혈관계 질환으로 8.8명, 호흡기계 질환으로 9명이 기대수명을 채우지 못하고 '조기 사망'한 것으로 부산시는 분석하고 있습니다.

또 초미세먼지 증가로 인한 '조기 사망'도 심혈관계 질환 3명, 호흡기계 2.9명으로 파악됩니다.

특히 경제적 손실도 328억 원으로 추정됩니다.

[송희진/부산시 보건환경연구원 연구사 : "대기오염에 의한 조기 사망자 수는 전년 대비 대기오염 농도 변화가 높은 지역과 인구가 많은 지역에서 큰 폭으로 증가하므로, 대기오염 저감 정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인구밀집지역이 우선순위가 돼야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부산시는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을 재난에 준하는 상황으로 보고 관련 대책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장성길입니다.

촬영기자:윤동욱/그래픽:박서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부산 미세먼지 영향 ‘조기 사망’ 24명 추정
    • 입력 2024-02-08 07:43:49
    • 수정2024-02-08 10:18:07
    뉴스광장(부산)
[앵커]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 등 대기 오염 증가로 기대 수명을 채우지 못하고 조기 사망한 부산 시민이 지난해에만 24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코로나19 이후 하락세를 보이던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농도가 다시 높아지고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장성길 기자입니다.

[리포트]

광안대교와 해안가 고층 건물이 자취를 감췄습니다.

도심도 회색빛으로 뒤덮였습니다.

미세먼지에 황사까지 겹친 지난해 1월 부산 모습입니다.

2015년 이후 하락세였던 부산 미세먼지 연평균 농도는 지난해 큰 폭으로 높아졌습니다.

초미세먼지 농도도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주의보 발령 일수는 각각 12일과 9일로 전년 대비 3일과 4일씩 늘었습니다.

중국발 황사 발생 증가가 미세먼지 증가의 가장 큰 원인입니다.

[이기곤/부산시 부산진구 : "그때는 굉장히 힘들었죠. 목도 따갑고, 눈도 따갑고, 또 그러다 보면 노인들은 집에 앉아있을 수밖에 없고, 많이 괴로웠습니다."]

특히 미세먼지 발생 증가가 시민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미세먼지 증가로 지난해 심혈관계 질환으로 8.8명, 호흡기계 질환으로 9명이 기대수명을 채우지 못하고 '조기 사망'한 것으로 부산시는 분석하고 있습니다.

또 초미세먼지 증가로 인한 '조기 사망'도 심혈관계 질환 3명, 호흡기계 2.9명으로 파악됩니다.

특히 경제적 손실도 328억 원으로 추정됩니다.

[송희진/부산시 보건환경연구원 연구사 : "대기오염에 의한 조기 사망자 수는 전년 대비 대기오염 농도 변화가 높은 지역과 인구가 많은 지역에서 큰 폭으로 증가하므로, 대기오염 저감 정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인구밀집지역이 우선순위가 돼야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부산시는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을 재난에 준하는 상황으로 보고 관련 대책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장성길입니다.

촬영기자:윤동욱/그래픽:박서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