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단체, 전국서 동시다발 집회 “의대 증원 규탄”

입력 2024.02.15 (19:10) 수정 2024.02.15 (19: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을 두고 의사들의 반발 수위가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의대생들이 '동맹휴학' 의사를 밝히는가 하면, 시도의사회는 전국 곳곳에서 규탄 집회를 열고 있습니다.

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하겠습니다.

정해주 기자, 현재 집회가 시작된 걸까요?

[리포트]

네, 대한의사협회 산하 서울시의사회는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조금 전부터 궐기대회를 시작했습니다.

오늘 집회에는 100여 명이 참여한 것으로 추산됐습니다.

박명하 서울시의사회 회장과 김택우 의협 비대위원장 등이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 규탄에 나섭니다.

오늘 하루 서울을 비롯해 전국 12개 시도의사회가 의대 증원에 반대하는 집회를 열었습니다.

주로 점심과 저녁 시간에 궐기대회가 진행되면서 진료에 차질이 빚어지지는 않았습니다.

의협은 비대위로 전환하고 어제 첫 기자회견을 연 데 이어 전국에서 잇따라 궐기대회를 열면서 반발 수위를 높여가는 모습입니다.

의협은 오는 토요일 비대위 회의를 열고 집단행동 방향성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입니다.

의대생들도 집단행동 움직임이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는 지난 13일 있었던 임시 총회에서 40개 의과대학 대표들이 단체로 행동하는 데 찬성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앞으로 의대생 전체를 대상으로 동맹 휴학 참여 여부를 조사하겠다는 방침입니다.

당장 한림대 의대 4학년 학생들은 '동맹 휴학'을 결의하기도 했습니다.

전공의단체에서는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장이 사직서 제출 의사를 밝혔는데 개별 사직이 시작된 거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아직까지 전공의 사직이 실제로 이뤄진 곳은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히면서, 조속한 시일 내에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 협의체와 권익보호 창구를 설치하는 등 지원책을 마련해 나가겠다며 환자들 옆을 지켜달라고 당부했습니다.

한편 중증질환 환자단체들은 정부와 의사단체를 향해 중증 환자 생명을 담보로 하는 강대강 대치를 멈추라고 촉구했습니다.

지금까지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KBS 뉴스 정해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의사단체, 전국서 동시다발 집회 “의대 증원 규탄”
    • 입력 2024-02-15 19:10:39
    • 수정2024-02-15 19:49:55
    뉴스 7
[앵커]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을 두고 의사들의 반발 수위가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의대생들이 '동맹휴학' 의사를 밝히는가 하면, 시도의사회는 전국 곳곳에서 규탄 집회를 열고 있습니다.

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하겠습니다.

정해주 기자, 현재 집회가 시작된 걸까요?

[리포트]

네, 대한의사협회 산하 서울시의사회는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조금 전부터 궐기대회를 시작했습니다.

오늘 집회에는 100여 명이 참여한 것으로 추산됐습니다.

박명하 서울시의사회 회장과 김택우 의협 비대위원장 등이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 규탄에 나섭니다.

오늘 하루 서울을 비롯해 전국 12개 시도의사회가 의대 증원에 반대하는 집회를 열었습니다.

주로 점심과 저녁 시간에 궐기대회가 진행되면서 진료에 차질이 빚어지지는 않았습니다.

의협은 비대위로 전환하고 어제 첫 기자회견을 연 데 이어 전국에서 잇따라 궐기대회를 열면서 반발 수위를 높여가는 모습입니다.

의협은 오는 토요일 비대위 회의를 열고 집단행동 방향성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입니다.

의대생들도 집단행동 움직임이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는 지난 13일 있었던 임시 총회에서 40개 의과대학 대표들이 단체로 행동하는 데 찬성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앞으로 의대생 전체를 대상으로 동맹 휴학 참여 여부를 조사하겠다는 방침입니다.

당장 한림대 의대 4학년 학생들은 '동맹 휴학'을 결의하기도 했습니다.

전공의단체에서는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장이 사직서 제출 의사를 밝혔는데 개별 사직이 시작된 거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아직까지 전공의 사직이 실제로 이뤄진 곳은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히면서, 조속한 시일 내에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 협의체와 권익보호 창구를 설치하는 등 지원책을 마련해 나가겠다며 환자들 옆을 지켜달라고 당부했습니다.

한편 중증질환 환자단체들은 정부와 의사단체를 향해 중증 환자 생명을 담보로 하는 강대강 대치를 멈추라고 촉구했습니다.

지금까지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KBS 뉴스 정해주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