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총력 투쟁” 예고…의대생 90% 이상 “동맹휴학 찬성”

입력 2024.02.18 (07:01) 수정 2024.02.18 (07:2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정부의 의대 증원 계획에 반발하는 의사단체와 전공의, 의대생들의 집단행동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이번엔 개원의 중심의 의사협회가 총력 투쟁을 선언했습니다.

당장 다음 주 초부터 대형병원을 중심으로 진료공백이 현실화될 거란 우려가 나옵니다.

김민경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정부의 의대 증원을 저지하기 위해 투쟁 방안을 논의한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

의대 증원 방침에 반대 입장을 거듭 강조하며 "총력 투쟁"을 예고했습니다.

[김택우/대한의사협회 비대위원장 : "의사협회와 회원의 역량을 모두 결집해 투쟁에 나설 것을 엄숙하게 선언한다."]

의협은 집단행동의 시작과 종료를 모두 투표로 결정하기로 하고, 오는 25일에는 규탄대회를 열기로 했습니다.

이어 의료 현장 혼란은 무책임하게 의대 증원을 발표한 정부에게 책임이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개원의가 주축인 의협이 집단행동에 들어갈 경우 동네의원을 중심으로 휴진이 이어질 걸로 전망됩니다.

전공의와 의대생도 오는 20일부터 집단행동 돌입을 예고했습니다.

이른바 '빅5' 병원 소속 전공의들은 월요일인 내일 사직서를 내고 20일 오전 6시부터 근무를 중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같은 날 전국 40개 의과대학 학생들도 동맹휴학 또는 이에 준하는 행동을 시작하기로 했습니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는 전국 의대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90% 이상이 동맹휴학에 찬성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교육부는 각 의과대학 교무처장들과 대책을 논의하고 '동맹휴학'이 승인되지 않도록 엄정한 학사 관리를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김민경입니다.

촬영기자:박세준/영상편집:유지영/그래픽:여현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의협, “총력 투쟁” 예고…의대생 90% 이상 “동맹휴학 찬성”
    • 입력 2024-02-18 07:01:16
    • 수정2024-02-18 07:25:38
    뉴스광장
[앵커]

정부의 의대 증원 계획에 반발하는 의사단체와 전공의, 의대생들의 집단행동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이번엔 개원의 중심의 의사협회가 총력 투쟁을 선언했습니다.

당장 다음 주 초부터 대형병원을 중심으로 진료공백이 현실화될 거란 우려가 나옵니다.

김민경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정부의 의대 증원을 저지하기 위해 투쟁 방안을 논의한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

의대 증원 방침에 반대 입장을 거듭 강조하며 "총력 투쟁"을 예고했습니다.

[김택우/대한의사협회 비대위원장 : "의사협회와 회원의 역량을 모두 결집해 투쟁에 나설 것을 엄숙하게 선언한다."]

의협은 집단행동의 시작과 종료를 모두 투표로 결정하기로 하고, 오는 25일에는 규탄대회를 열기로 했습니다.

이어 의료 현장 혼란은 무책임하게 의대 증원을 발표한 정부에게 책임이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개원의가 주축인 의협이 집단행동에 들어갈 경우 동네의원을 중심으로 휴진이 이어질 걸로 전망됩니다.

전공의와 의대생도 오는 20일부터 집단행동 돌입을 예고했습니다.

이른바 '빅5' 병원 소속 전공의들은 월요일인 내일 사직서를 내고 20일 오전 6시부터 근무를 중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같은 날 전국 40개 의과대학 학생들도 동맹휴학 또는 이에 준하는 행동을 시작하기로 했습니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는 전국 의대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90% 이상이 동맹휴학에 찬성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교육부는 각 의과대학 교무처장들과 대책을 논의하고 '동맹휴학'이 승인되지 않도록 엄정한 학사 관리를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김민경입니다.

촬영기자:박세준/영상편집:유지영/그래픽:여현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