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개 수련병원 전공의 55% 사직서 제출…1,600여 명 이탈”
입력 2024.02.20 (10:31)
수정 2024.02.20 (11: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data/news/2024/02/20/20240220_X9havY.jpg)
전국 주요 100개 수련병원에서 전공의 6천 4백여 명이 사직서를 제출하고, 이 가운데 천 6백여 명이 근무지를 이탈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은 오늘(20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 회의를 마친 뒤 열린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박 차관은 "어제(19일) 밤 11시 기준 100개 수련 병원 소속 전공의의 55% 수준인 6천 415명이 사직서를 제출했지만 모두 수리되지 않았다"며 "사직서 제출자의 25% 수준인 천 630명이 근무지를 이탈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해당 100개 병원에서는 전체 전공의 만 3천 명 가운데 95%가 근무하고 있습니다.
박 차관은 "근무지 이탈의 경우 세브란스 병원, 성모병원 등이 상대적으로 많았고, 나머지는 이탈자가 없거나 소수인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언급했습니다.
또 복지부가 어제(19일) 밤 10시 기준 10개 수련병원을 현장 점검한 결과 1,091명의 전공의가 사직서를 제출했고, 이 가운데 737명이 출근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박 차관은 "이미 업무개시명령을 한 29명을 제외하고, 남은 728명에 대해 업무 개시 명령을 발령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복지부 관계자는 지금까지 모두 전공의 831명을 대상으로 업무 개시 명령을 했다며, 첫 번째 현장 점검 때 업무 개시 명령을 받은 전공의 가운데 29명이 두 번째 현장 점검에서 다시 근무지를 이탈해 불이행 근거 확인서를 요구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의사 집단행동 피해신고·지원센터'를 통해 접수된 피해 사례는 모두 34건으로, 이 가운데 수술 취소가 25건, 진료 예약 취소가 4건, 진료 거절 3건, 입원 지연 2건으로 확인됐습니다.
중수본은 오늘(20일) 집단 행동에 대비한 비상 진료 대응 체계를 점검하고 각 의료기관에서 필수진료 기능을 유지하도록 한시적으로 정책 지원을 하기로 했다고 박 차관은 설명했습니다.
박 차관은 "권역·전문응급의료센터의 수술 등 응급의료 행위와 응급의료 전문의 진찰료 수가를 인상하고, 경증환자 전원에 따른 회송 수가를 인상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또 "'입원환자 비상진료 정책지원금'을 신설해 입원 환자를 진료하는 전문의에 추가 보상을 하겠다"며 "권역외상센터 인력·시설·장비를 응급실의 비외상진료에도 활용하도록 하고 입원 전담 전문의 업무 범위를 확대하겠다"고 했습니다.
이어 "인턴이 필수 진료과에서 수련 중에 응급실·중환자실에 투입되더라도 해당 기간을 필수 진료과 수련으로 인정하는 등 수련 이수 기준을 완화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은 오늘(20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 회의를 마친 뒤 열린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박 차관은 "어제(19일) 밤 11시 기준 100개 수련 병원 소속 전공의의 55% 수준인 6천 415명이 사직서를 제출했지만 모두 수리되지 않았다"며 "사직서 제출자의 25% 수준인 천 630명이 근무지를 이탈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해당 100개 병원에서는 전체 전공의 만 3천 명 가운데 95%가 근무하고 있습니다.
박 차관은 "근무지 이탈의 경우 세브란스 병원, 성모병원 등이 상대적으로 많았고, 나머지는 이탈자가 없거나 소수인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언급했습니다.
또 복지부가 어제(19일) 밤 10시 기준 10개 수련병원을 현장 점검한 결과 1,091명의 전공의가 사직서를 제출했고, 이 가운데 737명이 출근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박 차관은 "이미 업무개시명령을 한 29명을 제외하고, 남은 728명에 대해 업무 개시 명령을 발령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복지부 관계자는 지금까지 모두 전공의 831명을 대상으로 업무 개시 명령을 했다며, 첫 번째 현장 점검 때 업무 개시 명령을 받은 전공의 가운데 29명이 두 번째 현장 점검에서 다시 근무지를 이탈해 불이행 근거 확인서를 요구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의사 집단행동 피해신고·지원센터'를 통해 접수된 피해 사례는 모두 34건으로, 이 가운데 수술 취소가 25건, 진료 예약 취소가 4건, 진료 거절 3건, 입원 지연 2건으로 확인됐습니다.
중수본은 오늘(20일) 집단 행동에 대비한 비상 진료 대응 체계를 점검하고 각 의료기관에서 필수진료 기능을 유지하도록 한시적으로 정책 지원을 하기로 했다고 박 차관은 설명했습니다.
박 차관은 "권역·전문응급의료센터의 수술 등 응급의료 행위와 응급의료 전문의 진찰료 수가를 인상하고, 경증환자 전원에 따른 회송 수가를 인상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또 "'입원환자 비상진료 정책지원금'을 신설해 입원 환자를 진료하는 전문의에 추가 보상을 하겠다"며 "권역외상센터 인력·시설·장비를 응급실의 비외상진료에도 활용하도록 하고 입원 전담 전문의 업무 범위를 확대하겠다"고 했습니다.
이어 "인턴이 필수 진료과에서 수련 중에 응급실·중환자실에 투입되더라도 해당 기간을 필수 진료과 수련으로 인정하는 등 수련 이수 기준을 완화한다"고 덧붙였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100개 수련병원 전공의 55% 사직서 제출…1,600여 명 이탈”
-
- 입력 2024-02-20 10:31:09
- 수정2024-02-20 11:30:20
![](/data/news/2024/02/20/20240220_X9havY.jpg)
전국 주요 100개 수련병원에서 전공의 6천 4백여 명이 사직서를 제출하고, 이 가운데 천 6백여 명이 근무지를 이탈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은 오늘(20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 회의를 마친 뒤 열린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박 차관은 "어제(19일) 밤 11시 기준 100개 수련 병원 소속 전공의의 55% 수준인 6천 415명이 사직서를 제출했지만 모두 수리되지 않았다"며 "사직서 제출자의 25% 수준인 천 630명이 근무지를 이탈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해당 100개 병원에서는 전체 전공의 만 3천 명 가운데 95%가 근무하고 있습니다.
박 차관은 "근무지 이탈의 경우 세브란스 병원, 성모병원 등이 상대적으로 많았고, 나머지는 이탈자가 없거나 소수인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언급했습니다.
또 복지부가 어제(19일) 밤 10시 기준 10개 수련병원을 현장 점검한 결과 1,091명의 전공의가 사직서를 제출했고, 이 가운데 737명이 출근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박 차관은 "이미 업무개시명령을 한 29명을 제외하고, 남은 728명에 대해 업무 개시 명령을 발령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복지부 관계자는 지금까지 모두 전공의 831명을 대상으로 업무 개시 명령을 했다며, 첫 번째 현장 점검 때 업무 개시 명령을 받은 전공의 가운데 29명이 두 번째 현장 점검에서 다시 근무지를 이탈해 불이행 근거 확인서를 요구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의사 집단행동 피해신고·지원센터'를 통해 접수된 피해 사례는 모두 34건으로, 이 가운데 수술 취소가 25건, 진료 예약 취소가 4건, 진료 거절 3건, 입원 지연 2건으로 확인됐습니다.
중수본은 오늘(20일) 집단 행동에 대비한 비상 진료 대응 체계를 점검하고 각 의료기관에서 필수진료 기능을 유지하도록 한시적으로 정책 지원을 하기로 했다고 박 차관은 설명했습니다.
박 차관은 "권역·전문응급의료센터의 수술 등 응급의료 행위와 응급의료 전문의 진찰료 수가를 인상하고, 경증환자 전원에 따른 회송 수가를 인상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또 "'입원환자 비상진료 정책지원금'을 신설해 입원 환자를 진료하는 전문의에 추가 보상을 하겠다"며 "권역외상센터 인력·시설·장비를 응급실의 비외상진료에도 활용하도록 하고 입원 전담 전문의 업무 범위를 확대하겠다"고 했습니다.
이어 "인턴이 필수 진료과에서 수련 중에 응급실·중환자실에 투입되더라도 해당 기간을 필수 진료과 수련으로 인정하는 등 수련 이수 기준을 완화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은 오늘(20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 회의를 마친 뒤 열린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박 차관은 "어제(19일) 밤 11시 기준 100개 수련 병원 소속 전공의의 55% 수준인 6천 415명이 사직서를 제출했지만 모두 수리되지 않았다"며 "사직서 제출자의 25% 수준인 천 630명이 근무지를 이탈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해당 100개 병원에서는 전체 전공의 만 3천 명 가운데 95%가 근무하고 있습니다.
박 차관은 "근무지 이탈의 경우 세브란스 병원, 성모병원 등이 상대적으로 많았고, 나머지는 이탈자가 없거나 소수인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언급했습니다.
또 복지부가 어제(19일) 밤 10시 기준 10개 수련병원을 현장 점검한 결과 1,091명의 전공의가 사직서를 제출했고, 이 가운데 737명이 출근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박 차관은 "이미 업무개시명령을 한 29명을 제외하고, 남은 728명에 대해 업무 개시 명령을 발령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복지부 관계자는 지금까지 모두 전공의 831명을 대상으로 업무 개시 명령을 했다며, 첫 번째 현장 점검 때 업무 개시 명령을 받은 전공의 가운데 29명이 두 번째 현장 점검에서 다시 근무지를 이탈해 불이행 근거 확인서를 요구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의사 집단행동 피해신고·지원센터'를 통해 접수된 피해 사례는 모두 34건으로, 이 가운데 수술 취소가 25건, 진료 예약 취소가 4건, 진료 거절 3건, 입원 지연 2건으로 확인됐습니다.
중수본은 오늘(20일) 집단 행동에 대비한 비상 진료 대응 체계를 점검하고 각 의료기관에서 필수진료 기능을 유지하도록 한시적으로 정책 지원을 하기로 했다고 박 차관은 설명했습니다.
박 차관은 "권역·전문응급의료센터의 수술 등 응급의료 행위와 응급의료 전문의 진찰료 수가를 인상하고, 경증환자 전원에 따른 회송 수가를 인상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또 "'입원환자 비상진료 정책지원금'을 신설해 입원 환자를 진료하는 전문의에 추가 보상을 하겠다"며 "권역외상센터 인력·시설·장비를 응급실의 비외상진료에도 활용하도록 하고 입원 전담 전문의 업무 범위를 확대하겠다"고 했습니다.
이어 "인턴이 필수 진료과에서 수련 중에 응급실·중환자실에 투입되더라도 해당 기간을 필수 진료과 수련으로 인정하는 등 수련 이수 기준을 완화한다"고 덧붙였습니다.
-
-
이세연 기자 say@kbs.co.kr
이세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보건의료 위기경보 ‘심각’…집단휴진 사태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