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의료 ‘비상’…의대생들 ‘집단 휴학’

입력 2024.02.21 (19:06) 수정 2024.02.21 (20: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전공의들의 집단 행동이 이틀째 계속되고 있습니다.

특히 전공의가 부족한 지역 병원의 응급실은 환자들을 받지 못해, 응급 의료체계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또 의대생들도 휴학계를 내는 등 집단행동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광주와 전남 지역 응급 환자들이 몰리는 전남대병원 응급의료센터입니다.

전공의가 한 명도 없는 탓에 전문의들이 응급 치료를 전담하고 있습니다.

위중하지 않은 환자들은 다른 병원의 응급실로 돌려보내고 있습니다.

[응급구조사/음성변조 : "(지역내 다른 병원으로) 꾸준하게 나가는 편이긴 하고, 들어오는 경우는 조금 드물고요."]

대구·경북권역 응급센터인 경북대병원, 평소에는 전공의가 4명까지 근무했지만 현재는 두세 명으로 줄었습니다.

환자와 보호자는 불안함을 감추지 못합니다.

[환자 보호자 : "뇌경색이니까 내일이라도 갑자기 응급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 매일 불안하죠. 애기 아빠하고 이야기하지만 '지금은 안 아파야 된다'고."]

전공의들의 집단행동 이틀째, 대학병원이 병상 가동률을 낮추면서, 입원 환자들은 2차 병원으로 몰리고 있습니다.

[2차 병원 관계자/음성변조 : "그쪽에서 퇴원을 하고 저희 쪽으로 오신 환자분들이 있긴 하죠. 평소보다는 조금 많습니다. 한 1.5배 정도."]

충남대학교 의대 강의실이 텅 비었습니다.

의대생의 90%가 휴학계를 낸 겁니다.

다른 지역의 의대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아 학사 일정에 차질을 빚고 있습니다.

[대학 관계자/음성변조 : "(출석을 안 하고 있는 상태인거죠?) 지금 저희가 학사일정을 미뤄서 현재는 (강의가) 없어요."]

전공의들의 집단행동이 점차 확산하면서, 의료 공백 우려가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호입니다.

촬영기자:박병규 신한비 안성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응급의료 ‘비상’…의대생들 ‘집단 휴학’
    • 입력 2024-02-21 19:06:56
    • 수정2024-02-21 20:01:35
    뉴스 7
[앵커]

전공의들의 집단 행동이 이틀째 계속되고 있습니다.

특히 전공의가 부족한 지역 병원의 응급실은 환자들을 받지 못해, 응급 의료체계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또 의대생들도 휴학계를 내는 등 집단행동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광주와 전남 지역 응급 환자들이 몰리는 전남대병원 응급의료센터입니다.

전공의가 한 명도 없는 탓에 전문의들이 응급 치료를 전담하고 있습니다.

위중하지 않은 환자들은 다른 병원의 응급실로 돌려보내고 있습니다.

[응급구조사/음성변조 : "(지역내 다른 병원으로) 꾸준하게 나가는 편이긴 하고, 들어오는 경우는 조금 드물고요."]

대구·경북권역 응급센터인 경북대병원, 평소에는 전공의가 4명까지 근무했지만 현재는 두세 명으로 줄었습니다.

환자와 보호자는 불안함을 감추지 못합니다.

[환자 보호자 : "뇌경색이니까 내일이라도 갑자기 응급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 매일 불안하죠. 애기 아빠하고 이야기하지만 '지금은 안 아파야 된다'고."]

전공의들의 집단행동 이틀째, 대학병원이 병상 가동률을 낮추면서, 입원 환자들은 2차 병원으로 몰리고 있습니다.

[2차 병원 관계자/음성변조 : "그쪽에서 퇴원을 하고 저희 쪽으로 오신 환자분들이 있긴 하죠. 평소보다는 조금 많습니다. 한 1.5배 정도."]

충남대학교 의대 강의실이 텅 비었습니다.

의대생의 90%가 휴학계를 낸 겁니다.

다른 지역의 의대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아 학사 일정에 차질을 빚고 있습니다.

[대학 관계자/음성변조 : "(출석을 안 하고 있는 상태인거죠?) 지금 저희가 학사일정을 미뤄서 현재는 (강의가) 없어요."]

전공의들의 집단행동이 점차 확산하면서, 의료 공백 우려가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호입니다.

촬영기자:박병규 신한비 안성복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