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이탈 사흘째…이 시각 서울대병원

입력 2024.02.22 (21:18) 수정 2024.02.22 (22: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의대 증원에 반대하는 전공의들의 이탈이 사흘째 이어지며 환자 피해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서울대병원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하겠습니다.

김우준 기자, 환자 피해가 커지며 보건위기단계 격상 가능성도 나오고 있는데, 어떻습니까?

[기자]

보건복지부는 보건의료위기 단계를 기존 '경계'에서 '심각'으로 올리는 방안을 검토 중인 걸로 전해졌습니다.

전공의 사직 규모가 확산하고, 수술 취소 등 환자 피해 사례가 커지고 있는 점 등을 감안한 걸로 보입니다.

내일(23일)은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엽니다.

이 회의에는 복지부를 비롯해 관계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관계자 등이 참석해 범정부 대응을 논의할 계획입니다.

[앵커]

현장에서 본 의료공백 상황, 어느 정돈가요?

[기자]

이곳 서울대병원처럼 상급종합병원의 역할은 크게 세 가지입니다.

수술, 응급, 외래인데요.

전공의 이탈 사흘째가 되면서 외래 진료에도 여파가 커지고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위급한 수술과 응급 빈자리를 외래 인력에서 끌어다 쓰다 보니, 외래 진료 규모가 크게 감소했습니다.

[환자 : "평소에는 바로 바로 그냥 가면, 전공의라 바로바로 봐주시는데 지금은 오늘같이 40분. (기다리시고?) 네네."]

[환자 보호자/음성변조 : "옆에서 보통 한 분이나 두 분 정도 전공의나 이제 타이핑을 다 해 주셨거든요. 그런 데 없으니까…. 교수님 너무 힘들어하세요."]

제 뒤로 보이는 응급실은 바삐 돌아갔습니다.

줄어든 인력으로 몰려드는 응급 환자를 받아보니, 가용 하루종일 50% 미만을 뜻하는 '빨간불'이 켜졌습니다.

[앵커]

특히 대형병원은 긴급하고 중요한 수술이 많은데, 수술 취소나 연기 상황은 어떻습니까?

[기자]

서울대병원을 포함한 빅5의 일주일 평균 수술 건수는 6천 건입니다.

대부분 평균 30~50%가량 줄였습니다.

어제(21일)까지 9천 명 넘는 전공의가 환자를 두고 사직서를 냈습니다.

전체 전공의 만 2천여 명 중 74%가 넘는 수치입니다.

지금까지 서울대학교 병원에서 KBS 뉴스 김우준입니다.

촬영기자:김현민/영상편집:이상미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공의 이탈 사흘째…이 시각 서울대병원
    • 입력 2024-02-22 21:18:14
    • 수정2024-02-22 22:26:28
    뉴스 9
[앵커]

의대 증원에 반대하는 전공의들의 이탈이 사흘째 이어지며 환자 피해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서울대병원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하겠습니다.

김우준 기자, 환자 피해가 커지며 보건위기단계 격상 가능성도 나오고 있는데, 어떻습니까?

[기자]

보건복지부는 보건의료위기 단계를 기존 '경계'에서 '심각'으로 올리는 방안을 검토 중인 걸로 전해졌습니다.

전공의 사직 규모가 확산하고, 수술 취소 등 환자 피해 사례가 커지고 있는 점 등을 감안한 걸로 보입니다.

내일(23일)은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엽니다.

이 회의에는 복지부를 비롯해 관계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관계자 등이 참석해 범정부 대응을 논의할 계획입니다.

[앵커]

현장에서 본 의료공백 상황, 어느 정돈가요?

[기자]

이곳 서울대병원처럼 상급종합병원의 역할은 크게 세 가지입니다.

수술, 응급, 외래인데요.

전공의 이탈 사흘째가 되면서 외래 진료에도 여파가 커지고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위급한 수술과 응급 빈자리를 외래 인력에서 끌어다 쓰다 보니, 외래 진료 규모가 크게 감소했습니다.

[환자 : "평소에는 바로 바로 그냥 가면, 전공의라 바로바로 봐주시는데 지금은 오늘같이 40분. (기다리시고?) 네네."]

[환자 보호자/음성변조 : "옆에서 보통 한 분이나 두 분 정도 전공의나 이제 타이핑을 다 해 주셨거든요. 그런 데 없으니까…. 교수님 너무 힘들어하세요."]

제 뒤로 보이는 응급실은 바삐 돌아갔습니다.

줄어든 인력으로 몰려드는 응급 환자를 받아보니, 가용 하루종일 50% 미만을 뜻하는 '빨간불'이 켜졌습니다.

[앵커]

특히 대형병원은 긴급하고 중요한 수술이 많은데, 수술 취소나 연기 상황은 어떻습니까?

[기자]

서울대병원을 포함한 빅5의 일주일 평균 수술 건수는 6천 건입니다.

대부분 평균 30~50%가량 줄였습니다.

어제(21일)까지 9천 명 넘는 전공의가 환자를 두고 사직서를 냈습니다.

전체 전공의 만 2천여 명 중 74%가 넘는 수치입니다.

지금까지 서울대학교 병원에서 KBS 뉴스 김우준입니다.

촬영기자:김현민/영상편집:이상미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