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휴직 쓰려니 동료 눈치?”…정부, 대체인력 뽑기 쉽게 돕는다

입력 2024.02.29 (19:20) 수정 2024.02.29 (22: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대표적인 정책, 바로 육아휴직입니다.

전체적으론 육아휴직자가 느는 추세지만, 여전히 중소기업에선 한 사람의 빈자리가 주는 영향이 커 휴직하기 쉽지 않다는 얘기가 많습니다.

이에 정부가 대체 인력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최유경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직원 10명이 일하는 한 학술단체.

지난해 말 한 직원이 육아휴직에 들어가면서 남은 직원들의 업무 부담이 커졌습니다.

[박진영/한국콘크리트학회 사무국장 : "(육아휴직) 사용자들도 불안해하십니다. 미안해하고, 그래도 이제 축하는 해줘야 하고. 1년 정도의 전문성 있는 직원을 구하기는 힘들고, 또 정규직을 구하긴 더 힘든 상황이거든요."]

대체인력 채용이 쉽지 않았는데, 정부의 대체인력 채용 서비스인 '인재채움뱅크'에서 3주 만에 직원을 뽑았습니다.

정부로부터 월 80만 원씩 지원금도 받습니다.

[최OO/육아휴직 대체 근무자 : "계속 채용이 될 때까지 끝까지 책임을 져준다는 그런 느낌이 되게 인상적이었던 것 같습니다."]

'업무 공백 부담'과 '동료 눈치' 근로자 4명 가운데 1명이 육아휴직을 쓰지 못하는 이유로 꼽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올해부터 인재채움뱅크 예산을 2배로 늘리고, 운영기관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지난해 인재채움뱅크를 통해 취업한 사람은 모두 3,800여 명, 이 가운데 75%가 중소기업이었습니다.

[이정식/고용노동부 장관 : "결국, 기업이 대체인력을 적시에 충원할 수 있어야 근로자가 업무 공백에 대한 부담을 덜고…"]

정부는 또 기업이 구인을 신청하기 전에 정부가 선제적으로 필요한 기업을 찾아 채용을 제안하고, 하반기부터는 동료의 '육아기 단축 근로'로 업무량이 늘어난 직원들을 위한 지원금도 신설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최유경입니다.

촬영기자:송상엽/영상편집:박은주/그래픽:고석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육아휴직 쓰려니 동료 눈치?”…정부, 대체인력 뽑기 쉽게 돕는다
    • 입력 2024-02-29 19:20:44
    • 수정2024-02-29 22:21:12
    뉴스 7
[앵커]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대표적인 정책, 바로 육아휴직입니다.

전체적으론 육아휴직자가 느는 추세지만, 여전히 중소기업에선 한 사람의 빈자리가 주는 영향이 커 휴직하기 쉽지 않다는 얘기가 많습니다.

이에 정부가 대체 인력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최유경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직원 10명이 일하는 한 학술단체.

지난해 말 한 직원이 육아휴직에 들어가면서 남은 직원들의 업무 부담이 커졌습니다.

[박진영/한국콘크리트학회 사무국장 : "(육아휴직) 사용자들도 불안해하십니다. 미안해하고, 그래도 이제 축하는 해줘야 하고. 1년 정도의 전문성 있는 직원을 구하기는 힘들고, 또 정규직을 구하긴 더 힘든 상황이거든요."]

대체인력 채용이 쉽지 않았는데, 정부의 대체인력 채용 서비스인 '인재채움뱅크'에서 3주 만에 직원을 뽑았습니다.

정부로부터 월 80만 원씩 지원금도 받습니다.

[최OO/육아휴직 대체 근무자 : "계속 채용이 될 때까지 끝까지 책임을 져준다는 그런 느낌이 되게 인상적이었던 것 같습니다."]

'업무 공백 부담'과 '동료 눈치' 근로자 4명 가운데 1명이 육아휴직을 쓰지 못하는 이유로 꼽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올해부터 인재채움뱅크 예산을 2배로 늘리고, 운영기관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지난해 인재채움뱅크를 통해 취업한 사람은 모두 3,800여 명, 이 가운데 75%가 중소기업이었습니다.

[이정식/고용노동부 장관 : "결국, 기업이 대체인력을 적시에 충원할 수 있어야 근로자가 업무 공백에 대한 부담을 덜고…"]

정부는 또 기업이 구인을 신청하기 전에 정부가 선제적으로 필요한 기업을 찾아 채용을 제안하고, 하반기부터는 동료의 '육아기 단축 근로'로 업무량이 늘어난 직원들을 위한 지원금도 신설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최유경입니다.

촬영기자:송상엽/영상편집:박은주/그래픽:고석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