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2차 현장 실사…제주도 비상진료체계 가동
입력 2024.03.05 (19:04)
수정 2024.03.05 (19: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정부 잇따르는 복귀 명령에도 제주지역 전공의의 90% 이상이 병원에 돌아오지 않고 있습니다.
정부가 복귀하지 않은 전공의를 파악하기 위해 제주를 다시 찾았는데요.
제주도는 공공의료기관 비상진료체계를 가동하기로 했습니다.
고민주 기자입니다.
[리포트]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관계자들이 닷새만에 제주를 다시 찾았습니다.
제주대병원과 한라병원을 찾아 근무기록 등을 검토하며 전공의들의 출근 여부를 확인했습니다.
점검팀은 제주대병원에서 30분, 한라병원에서 3시간가량 각종 서류를 점검했습니다.
[보건복지부 관계자 : "근무 상황에 대해서 점검했고 그 외에 대해서는 제가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업무 미복귀에 대한 형사고발 등의 법적 절차에 앞서 마지막 현장 조사에 들어간 겁니다.
이번 현장 점검 때 업무 복귀가 확인되지 않는 전공의에 대해서는 추후 면허정지 절차가 진행될 계획입니다.
제주지역 전공의 150명 가운데 업무 미복귀자는 142명, 전공의 집단 행동이 3주째 접어들면서 현장 의료진들의 피로도도 심화되고 있습니다.
제주대병원과 한라병원 등 도내 6개 종합병원이 통합 당직제까지 검토하는 상황입니다.
[김우정/제주대병원 진료부원장 : "이 상황이 길어진다고 그러면 어떤 시점에서는 또 더 축소된 형태의 다음 단계의 비상진료대책이 필요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를 하고 있습니다."]
제주도는 공공의료기관 비상진료체계를 가동하기로 했습니다.
[강동원/제주도 도민건강안전실장 : "제주의료원이라든지 서귀포의료원 그리고 권역재활센터는 앞으로 평일에는 2시간씩 연장 근무를 하게 됩니다."]
제주도는 이와함께 일선 의료업계의 집단 휴진으로 이어지면, 보건소 등 보건기관의 평일 진료도 연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고민주입니다.
촬영기자:고진현
정부 잇따르는 복귀 명령에도 제주지역 전공의의 90% 이상이 병원에 돌아오지 않고 있습니다.
정부가 복귀하지 않은 전공의를 파악하기 위해 제주를 다시 찾았는데요.
제주도는 공공의료기관 비상진료체계를 가동하기로 했습니다.
고민주 기자입니다.
[리포트]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관계자들이 닷새만에 제주를 다시 찾았습니다.
제주대병원과 한라병원을 찾아 근무기록 등을 검토하며 전공의들의 출근 여부를 확인했습니다.
점검팀은 제주대병원에서 30분, 한라병원에서 3시간가량 각종 서류를 점검했습니다.
[보건복지부 관계자 : "근무 상황에 대해서 점검했고 그 외에 대해서는 제가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업무 미복귀에 대한 형사고발 등의 법적 절차에 앞서 마지막 현장 조사에 들어간 겁니다.
이번 현장 점검 때 업무 복귀가 확인되지 않는 전공의에 대해서는 추후 면허정지 절차가 진행될 계획입니다.
제주지역 전공의 150명 가운데 업무 미복귀자는 142명, 전공의 집단 행동이 3주째 접어들면서 현장 의료진들의 피로도도 심화되고 있습니다.
제주대병원과 한라병원 등 도내 6개 종합병원이 통합 당직제까지 검토하는 상황입니다.
[김우정/제주대병원 진료부원장 : "이 상황이 길어진다고 그러면 어떤 시점에서는 또 더 축소된 형태의 다음 단계의 비상진료대책이 필요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를 하고 있습니다."]
제주도는 공공의료기관 비상진료체계를 가동하기로 했습니다.
[강동원/제주도 도민건강안전실장 : "제주의료원이라든지 서귀포의료원 그리고 권역재활센터는 앞으로 평일에는 2시간씩 연장 근무를 하게 됩니다."]
제주도는 이와함께 일선 의료업계의 집단 휴진으로 이어지면, 보건소 등 보건기관의 평일 진료도 연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고민주입니다.
촬영기자:고진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제주 2차 현장 실사…제주도 비상진료체계 가동
-
- 입력 2024-03-05 19:04:26
- 수정2024-03-05 19:51:05

[앵커]
정부 잇따르는 복귀 명령에도 제주지역 전공의의 90% 이상이 병원에 돌아오지 않고 있습니다.
정부가 복귀하지 않은 전공의를 파악하기 위해 제주를 다시 찾았는데요.
제주도는 공공의료기관 비상진료체계를 가동하기로 했습니다.
고민주 기자입니다.
[리포트]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관계자들이 닷새만에 제주를 다시 찾았습니다.
제주대병원과 한라병원을 찾아 근무기록 등을 검토하며 전공의들의 출근 여부를 확인했습니다.
점검팀은 제주대병원에서 30분, 한라병원에서 3시간가량 각종 서류를 점검했습니다.
[보건복지부 관계자 : "근무 상황에 대해서 점검했고 그 외에 대해서는 제가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업무 미복귀에 대한 형사고발 등의 법적 절차에 앞서 마지막 현장 조사에 들어간 겁니다.
이번 현장 점검 때 업무 복귀가 확인되지 않는 전공의에 대해서는 추후 면허정지 절차가 진행될 계획입니다.
제주지역 전공의 150명 가운데 업무 미복귀자는 142명, 전공의 집단 행동이 3주째 접어들면서 현장 의료진들의 피로도도 심화되고 있습니다.
제주대병원과 한라병원 등 도내 6개 종합병원이 통합 당직제까지 검토하는 상황입니다.
[김우정/제주대병원 진료부원장 : "이 상황이 길어진다고 그러면 어떤 시점에서는 또 더 축소된 형태의 다음 단계의 비상진료대책이 필요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를 하고 있습니다."]
제주도는 공공의료기관 비상진료체계를 가동하기로 했습니다.
[강동원/제주도 도민건강안전실장 : "제주의료원이라든지 서귀포의료원 그리고 권역재활센터는 앞으로 평일에는 2시간씩 연장 근무를 하게 됩니다."]
제주도는 이와함께 일선 의료업계의 집단 휴진으로 이어지면, 보건소 등 보건기관의 평일 진료도 연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고민주입니다.
촬영기자:고진현
정부 잇따르는 복귀 명령에도 제주지역 전공의의 90% 이상이 병원에 돌아오지 않고 있습니다.
정부가 복귀하지 않은 전공의를 파악하기 위해 제주를 다시 찾았는데요.
제주도는 공공의료기관 비상진료체계를 가동하기로 했습니다.
고민주 기자입니다.
[리포트]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관계자들이 닷새만에 제주를 다시 찾았습니다.
제주대병원과 한라병원을 찾아 근무기록 등을 검토하며 전공의들의 출근 여부를 확인했습니다.
점검팀은 제주대병원에서 30분, 한라병원에서 3시간가량 각종 서류를 점검했습니다.
[보건복지부 관계자 : "근무 상황에 대해서 점검했고 그 외에 대해서는 제가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업무 미복귀에 대한 형사고발 등의 법적 절차에 앞서 마지막 현장 조사에 들어간 겁니다.
이번 현장 점검 때 업무 복귀가 확인되지 않는 전공의에 대해서는 추후 면허정지 절차가 진행될 계획입니다.
제주지역 전공의 150명 가운데 업무 미복귀자는 142명, 전공의 집단 행동이 3주째 접어들면서 현장 의료진들의 피로도도 심화되고 있습니다.
제주대병원과 한라병원 등 도내 6개 종합병원이 통합 당직제까지 검토하는 상황입니다.
[김우정/제주대병원 진료부원장 : "이 상황이 길어진다고 그러면 어떤 시점에서는 또 더 축소된 형태의 다음 단계의 비상진료대책이 필요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를 하고 있습니다."]
제주도는 공공의료기관 비상진료체계를 가동하기로 했습니다.
[강동원/제주도 도민건강안전실장 : "제주의료원이라든지 서귀포의료원 그리고 권역재활센터는 앞으로 평일에는 2시간씩 연장 근무를 하게 됩니다."]
제주도는 이와함께 일선 의료업계의 집단 휴진으로 이어지면, 보건소 등 보건기관의 평일 진료도 연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고민주입니다.
촬영기자:고진현
-
-
고민주 기자 thinking@kbs.co.kr
고민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보건의료 위기경보 ‘심각’…집단휴진 사태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