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위협 대응 한국형 3축 체계 강화…방산수출 세계 4위 목표

입력 2024.03.07 (07:31) 수정 2024.03.07 (07:3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북한의 도발 위협이 갈수록 높아지는 상황에서 이에 대응하는 한국형 3축 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올해 6조 원 넘는 돈이 투입됩니다.

적의 동향을 보다 정밀하게 감시하기 위한 정찰위성을 발사할 국방 전용 위성발사장 건립도 추진됩니다.

올해 방위사업청의 주요 정책 추진계획을 송금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서북도서 최전방 연평부대에 배치된 K-9 자주포가 굉음을 내며 포탄을 발사합니다.

사거리가 60Km에 달하는 K-9 자주포는 세계 최고 수준의 성능을 인정받는 국산 자주포인데, 앞으로 무인 사격 기술 적용도 추진됩니다.

전투기나 정찰기 등 주로 공중 전력 위주로 적용된 무인화 기술을 해군 수상정과 육군 사격 전차 등에도 접목하는 겁니다.

방위사업청은 이처럼 무기 체계를 고도화해 한국형 3축 체계 강화하는데 올해 6조 8,500억을 투자합니다.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맞서는 킬체인과 한국형미사일방어체계 대량응징보복체계 3축체계의 압도적 대응력을 확보하기 위해섭니다.

킬체인 강화 일환으로, 3,000톤급 전략잠수함과 차세대 이지스구축함도 올해 군에 인도됩니다.

북한의 항공기와 탄도탄을 요격하는 장거리 지대공유도무기도 연내 개발이 목표입니다.

다음 달 초, 군 정찰위성에 이어 저궤도 통신위성도 잇달아 발사하는데, 국내 국방 전용 위성발사장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이러한 군 정찰위성 등 국방 기술 연구 개발에는 모두 2조 4천억 원이 투입됩니다.

[최경호/방위사업청 대변인 : "미래 첨단 전력분야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를 강화하고, K-방산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와 방산수출 증대를 위한 정책지원도 지속 확대할 계획입니다."]

또한, 방산 수출 규모도 올해 200억 달러까지 증대해 2027년까지 세계 4위로 도약하고, 미국, 영국 등과의 방산 협력도 확대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송금한입니다.

영상편집:신남규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북 위협 대응 한국형 3축 체계 강화…방산수출 세계 4위 목표
    • 입력 2024-03-07 07:31:59
    • 수정2024-03-07 07:35:15
    뉴스광장
[앵커]

북한의 도발 위협이 갈수록 높아지는 상황에서 이에 대응하는 한국형 3축 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올해 6조 원 넘는 돈이 투입됩니다.

적의 동향을 보다 정밀하게 감시하기 위한 정찰위성을 발사할 국방 전용 위성발사장 건립도 추진됩니다.

올해 방위사업청의 주요 정책 추진계획을 송금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서북도서 최전방 연평부대에 배치된 K-9 자주포가 굉음을 내며 포탄을 발사합니다.

사거리가 60Km에 달하는 K-9 자주포는 세계 최고 수준의 성능을 인정받는 국산 자주포인데, 앞으로 무인 사격 기술 적용도 추진됩니다.

전투기나 정찰기 등 주로 공중 전력 위주로 적용된 무인화 기술을 해군 수상정과 육군 사격 전차 등에도 접목하는 겁니다.

방위사업청은 이처럼 무기 체계를 고도화해 한국형 3축 체계 강화하는데 올해 6조 8,500억을 투자합니다.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맞서는 킬체인과 한국형미사일방어체계 대량응징보복체계 3축체계의 압도적 대응력을 확보하기 위해섭니다.

킬체인 강화 일환으로, 3,000톤급 전략잠수함과 차세대 이지스구축함도 올해 군에 인도됩니다.

북한의 항공기와 탄도탄을 요격하는 장거리 지대공유도무기도 연내 개발이 목표입니다.

다음 달 초, 군 정찰위성에 이어 저궤도 통신위성도 잇달아 발사하는데, 국내 국방 전용 위성발사장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이러한 군 정찰위성 등 국방 기술 연구 개발에는 모두 2조 4천억 원이 투입됩니다.

[최경호/방위사업청 대변인 : "미래 첨단 전력분야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를 강화하고, K-방산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와 방산수출 증대를 위한 정책지원도 지속 확대할 계획입니다."]

또한, 방산 수출 규모도 올해 200억 달러까지 증대해 2027년까지 세계 4위로 도약하고, 미국, 영국 등과의 방산 협력도 확대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송금한입니다.

영상편집:신남규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