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멸 위기’ 어촌에 활력을…해수부 올해 ‘1호 정책’은?

입력 2024.03.08 (21:59) 수정 2024.03.09 (08: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금까지는 어촌에 이주를 해도 수산업에 종사해야만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었지만 앞으로 지원 업종이 확대됩니다.

해수부는 소멸 위기에 몰린 어촌을 살리는 정책을 최우선으로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이수연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젓갈용 새우가 많이 잡히는 강화도 매음마을입니다.

한때는 7톤급 어선만 4~50척에 달했지만 지금은 열 척 남짓 남았습니다.

어업에 종사하는 50여 명 가운데 절반 이상이 예순 살이 넘습니다.

[유영철/매음마을 어촌계장 : "열 명 이상이 돼야 어촌계를 만들 수 있거든요. 지금 고령화 때문에 어촌계가 없어질 상황에 놓인 데도 많아요."]

전국의 어촌 490여 곳 가운데 57%, 280곳이 이른바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됩니다.

하지만 도시민이 이주하려 해도 어업을 하지 않는 한 정부 지원을 받기가 어렵습니다.

해양수산부는 그동안 수산업에만 한정해 온 지원을 마을과 연안을 포함한 개념으로 확장해 어촌의 활력을 높일 계획입니다.

[강도형/해양수산부 장관 : "어촌이 갖고 있는 정주 여건이라든가 일자리, 연안 지역 활력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들을 만들겠고요."]

등대를 개발해 관광 자원으로 만들거나 수산물 가공업을 해보겠다는 청년들에게도 통 큰 지원을 해주겠다는 겁니다.

해수부는 또 수출액 1조 원을 돌파한 김에 이어, 굴과 전복 등을 스타 수산물로 만들고 글로벌 수출 기업을 키우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이수연입니다.

촬영기자:김경민/영상편집:차정남/그래픽:김지혜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소멸 위기’ 어촌에 활력을…해수부 올해 ‘1호 정책’은?
    • 입력 2024-03-08 21:59:27
    • 수정2024-03-09 08:04:11
    뉴스 9
[앵커]

지금까지는 어촌에 이주를 해도 수산업에 종사해야만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었지만 앞으로 지원 업종이 확대됩니다.

해수부는 소멸 위기에 몰린 어촌을 살리는 정책을 최우선으로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이수연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젓갈용 새우가 많이 잡히는 강화도 매음마을입니다.

한때는 7톤급 어선만 4~50척에 달했지만 지금은 열 척 남짓 남았습니다.

어업에 종사하는 50여 명 가운데 절반 이상이 예순 살이 넘습니다.

[유영철/매음마을 어촌계장 : "열 명 이상이 돼야 어촌계를 만들 수 있거든요. 지금 고령화 때문에 어촌계가 없어질 상황에 놓인 데도 많아요."]

전국의 어촌 490여 곳 가운데 57%, 280곳이 이른바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됩니다.

하지만 도시민이 이주하려 해도 어업을 하지 않는 한 정부 지원을 받기가 어렵습니다.

해양수산부는 그동안 수산업에만 한정해 온 지원을 마을과 연안을 포함한 개념으로 확장해 어촌의 활력을 높일 계획입니다.

[강도형/해양수산부 장관 : "어촌이 갖고 있는 정주 여건이라든가 일자리, 연안 지역 활력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들을 만들겠고요."]

등대를 개발해 관광 자원으로 만들거나 수산물 가공업을 해보겠다는 청년들에게도 통 큰 지원을 해주겠다는 겁니다.

해수부는 또 수출액 1조 원을 돌파한 김에 이어, 굴과 전복 등을 스타 수산물로 만들고 글로벌 수출 기업을 키우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이수연입니다.

촬영기자:김경민/영상편집:차정남/그래픽:김지혜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