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ELS’ 배상 기준 11일 발표…‘불완전판매’ 반복도 막을까

입력 2024.03.08 (22:02) 수정 2024.03.09 (08: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홍콩 ELS에 투자했다 원금까지 잃은 가입자들은 11일에 나올 금융감독원 발표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누가, 얼마나 책임을 질지 배상 기준이 나올 예정인데, 투자자가 ELS 투자 경험이 있는지, 고령인지, 상품 설명은 제대로 들었는지에 따라 은행 배상률은 천차만별로 달라질 수 있습니다.

KBS가 만난 현직 은행원은 이런 상품을 어떻게 팔았는지 털어놨는데 은행이 신뢰를 잃은 이유를 잘 보여줍니다.

황경주 기자입니다.

[리포트]

은행 창구에서 왜 다른 상품보다 유독 ELS 판매에 집중했을까.

상품 판매 업무를 15년 넘게 한 은행원은 다른 투자 상품보다 팔기 쉬운 특성이 있었다고 말합니다.

[17년 차 현직 은행원/음성변조 : "펀드는 손님들이 그냥 원금 손실이 완전히 될 것 같다 (생각하고) 입금하면 마이너스가 되는 게 딱 보이는데 이제 ELS 같은 경우에는 그런 것은 안 보이거든요. 계속 월 이자가 나오고 (원금 손실 가능성을) 잘 못 느끼시는 거예요."]

원금 손실 위험을 알리긴 하지만, 그 위험을 가리는 작업도 했다고 털어놨습니다.

[17년 차 현직 은행원/음성변조 : "'100% 원금 손실 난다' 그렇게 하면은 하는 사람 없거든요. 원금 비보장이지만 99.9% 다 받아간다..."]

은행에서 교육받을 때는 상품 구조나 위험성보다 잘 파는 방법을 주로 배웠는데, 잘 통하는 문구도 알려줬다고 했습니다.

[17년 차 현직 은행원/음성변조 : "'오피스텔 하나 구입 했다고 생각하고 월 이자로 생활하시라'고 그런 멘트도 알려주시고."]

ELS 가입자가 KBS에 제보한 판매 당시 녹취를 들어보면, 이 은행원의 말과 들어맞습니다.

[은행원/음성변조 : "펀드는 내 통장에 돈이 들어와야지 내 돈이에요. 30%도 마이너스 될 수 있어서. (ELS는) 언제 손실이냐, 반토막 나고도 전쟁 나갈 것처럼 70% 이하로 떨어질 경우..."]

상품을 팔수록 고과를 잘 받는 성과지표가 이런 영업 행태의 직접적 이유지만, 더 크게 보면 예대마진에만 의존하고 있는 은행의 취약한 수익구조 문제가 배경에 깔려 있습니다.

은행 수익 94%가 이자 이익에 치중됐고, 비이자 이익도 수수료 수익에 쏠려있어, 예대마진이 낮아지면 판매 수수료에 매달리게 됩니다.

'홍콩 ELS' 같은 논란이 반복되기 쉬운 구조입니다.

은행이 상품을 팔 때 수수료를 떼는 방식이 아니라 고객과 손익을 같이하는 자산관리방식으로 바꾸고, 판매 창구와 직원을 더 전문화하자는 의견도 나옵니다.

KBS 뉴스 황경주입니다.

촬영기자:노동수/영상편집:정광진/그래픽:고석훈 최창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홍콩 ELS’ 배상 기준 11일 발표…‘불완전판매’ 반복도 막을까
    • 입력 2024-03-08 22:02:54
    • 수정2024-03-09 08:04:11
    뉴스 9
[앵커]

홍콩 ELS에 투자했다 원금까지 잃은 가입자들은 11일에 나올 금융감독원 발표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누가, 얼마나 책임을 질지 배상 기준이 나올 예정인데, 투자자가 ELS 투자 경험이 있는지, 고령인지, 상품 설명은 제대로 들었는지에 따라 은행 배상률은 천차만별로 달라질 수 있습니다.

KBS가 만난 현직 은행원은 이런 상품을 어떻게 팔았는지 털어놨는데 은행이 신뢰를 잃은 이유를 잘 보여줍니다.

황경주 기자입니다.

[리포트]

은행 창구에서 왜 다른 상품보다 유독 ELS 판매에 집중했을까.

상품 판매 업무를 15년 넘게 한 은행원은 다른 투자 상품보다 팔기 쉬운 특성이 있었다고 말합니다.

[17년 차 현직 은행원/음성변조 : "펀드는 손님들이 그냥 원금 손실이 완전히 될 것 같다 (생각하고) 입금하면 마이너스가 되는 게 딱 보이는데 이제 ELS 같은 경우에는 그런 것은 안 보이거든요. 계속 월 이자가 나오고 (원금 손실 가능성을) 잘 못 느끼시는 거예요."]

원금 손실 위험을 알리긴 하지만, 그 위험을 가리는 작업도 했다고 털어놨습니다.

[17년 차 현직 은행원/음성변조 : "'100% 원금 손실 난다' 그렇게 하면은 하는 사람 없거든요. 원금 비보장이지만 99.9% 다 받아간다..."]

은행에서 교육받을 때는 상품 구조나 위험성보다 잘 파는 방법을 주로 배웠는데, 잘 통하는 문구도 알려줬다고 했습니다.

[17년 차 현직 은행원/음성변조 : "'오피스텔 하나 구입 했다고 생각하고 월 이자로 생활하시라'고 그런 멘트도 알려주시고."]

ELS 가입자가 KBS에 제보한 판매 당시 녹취를 들어보면, 이 은행원의 말과 들어맞습니다.

[은행원/음성변조 : "펀드는 내 통장에 돈이 들어와야지 내 돈이에요. 30%도 마이너스 될 수 있어서. (ELS는) 언제 손실이냐, 반토막 나고도 전쟁 나갈 것처럼 70% 이하로 떨어질 경우..."]

상품을 팔수록 고과를 잘 받는 성과지표가 이런 영업 행태의 직접적 이유지만, 더 크게 보면 예대마진에만 의존하고 있는 은행의 취약한 수익구조 문제가 배경에 깔려 있습니다.

은행 수익 94%가 이자 이익에 치중됐고, 비이자 이익도 수수료 수익에 쏠려있어, 예대마진이 낮아지면 판매 수수료에 매달리게 됩니다.

'홍콩 ELS' 같은 논란이 반복되기 쉬운 구조입니다.

은행이 상품을 팔 때 수수료를 떼는 방식이 아니라 고객과 손익을 같이하는 자산관리방식으로 바꾸고, 판매 창구와 직원을 더 전문화하자는 의견도 나옵니다.

KBS 뉴스 황경주입니다.

촬영기자:노동수/영상편집:정광진/그래픽:고석훈 최창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