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표 두렵지 않아요”…발달 장애인 투표 체험
입력 2024.03.13 (21:47)
수정 2024.03.13 (22: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유권자라면 누구나 쉽게 한 표를 행사할 수 있지만 인지 능력이 부족한 발달 장애인들은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이들이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할 수 있도록 미리 체험해보는 투표 교육이 열렸습니다.
박준우 기자입니다.
[리포트]
["다음분 오세요."]
발달 장애인들이 줄지어 기표소로 들어갑니다.
투표 용지에 도장을 찍고, 투표함에 넣으며 실제 투표 과정을 체험합니다.
선거란 무엇인지, 또 투표는 어떻게 이뤄지는 지 배우면서 이제 낯선 환경의 투표소도 두렵지 않습니다.
[윤태영/발달장애인 : "(투표용지) 접는 게 좀 어려웠는데요. 어려웠는데 이렇게 센터에서 한 번 배워보고 하니까 괜찮았어요. 내가 할 수 있다고 노력도 되고 용기도 됩니다."]
다음달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발달 장애인을 위해 마련된 투표 교육입니다.
[김도연/대구시 선거관리위원회 주무관 : "투표소와 같은 환경을 미리 만들어서 경험하게 하고, 그래서 투표 방법에 대한 이해를 높여서 투표소에서 제대로 된 투표를 할 수 있게 도와주기 위해서..."]
하지만 이들을 위한 투표 교육은 턱없이 부족한 게 현실입니다.
대구시 선거관리위원회가 교육을 진행하곤 있지만, 매년 너댓 차례, 대상 인원도 2백여 명에 불과합니다.
발달장애인 참정권 보장을 위해 교육을 강화하고 투표 제도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문윤경/대구피플퍼스트 위원장 : "(발달장애인이) 이해하기 쉬운 선거 자료와 그림 투표용지를 제작하고요. 공적 조력인이 함께 들어갈 수 있는 지침이 다시 만들어졌으면 좋겠습니다."]
대구 경북의 만 18세 이상 발달장애인 수는 약 2만 5천여 명.
이들의 한 표가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행사될 수 있도록 세심한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박준우입니다.
촬영기자:신상응
유권자라면 누구나 쉽게 한 표를 행사할 수 있지만 인지 능력이 부족한 발달 장애인들은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이들이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할 수 있도록 미리 체험해보는 투표 교육이 열렸습니다.
박준우 기자입니다.
[리포트]
["다음분 오세요."]
발달 장애인들이 줄지어 기표소로 들어갑니다.
투표 용지에 도장을 찍고, 투표함에 넣으며 실제 투표 과정을 체험합니다.
선거란 무엇인지, 또 투표는 어떻게 이뤄지는 지 배우면서 이제 낯선 환경의 투표소도 두렵지 않습니다.
[윤태영/발달장애인 : "(투표용지) 접는 게 좀 어려웠는데요. 어려웠는데 이렇게 센터에서 한 번 배워보고 하니까 괜찮았어요. 내가 할 수 있다고 노력도 되고 용기도 됩니다."]
다음달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발달 장애인을 위해 마련된 투표 교육입니다.
[김도연/대구시 선거관리위원회 주무관 : "투표소와 같은 환경을 미리 만들어서 경험하게 하고, 그래서 투표 방법에 대한 이해를 높여서 투표소에서 제대로 된 투표를 할 수 있게 도와주기 위해서..."]
하지만 이들을 위한 투표 교육은 턱없이 부족한 게 현실입니다.
대구시 선거관리위원회가 교육을 진행하곤 있지만, 매년 너댓 차례, 대상 인원도 2백여 명에 불과합니다.
발달장애인 참정권 보장을 위해 교육을 강화하고 투표 제도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문윤경/대구피플퍼스트 위원장 : "(발달장애인이) 이해하기 쉬운 선거 자료와 그림 투표용지를 제작하고요. 공적 조력인이 함께 들어갈 수 있는 지침이 다시 만들어졌으면 좋겠습니다."]
대구 경북의 만 18세 이상 발달장애인 수는 약 2만 5천여 명.
이들의 한 표가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행사될 수 있도록 세심한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박준우입니다.
촬영기자:신상응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투표 두렵지 않아요”…발달 장애인 투표 체험
-
- 입력 2024-03-13 21:47:09
- 수정2024-03-13 22:11:29

[앵커]
유권자라면 누구나 쉽게 한 표를 행사할 수 있지만 인지 능력이 부족한 발달 장애인들은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이들이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할 수 있도록 미리 체험해보는 투표 교육이 열렸습니다.
박준우 기자입니다.
[리포트]
["다음분 오세요."]
발달 장애인들이 줄지어 기표소로 들어갑니다.
투표 용지에 도장을 찍고, 투표함에 넣으며 실제 투표 과정을 체험합니다.
선거란 무엇인지, 또 투표는 어떻게 이뤄지는 지 배우면서 이제 낯선 환경의 투표소도 두렵지 않습니다.
[윤태영/발달장애인 : "(투표용지) 접는 게 좀 어려웠는데요. 어려웠는데 이렇게 센터에서 한 번 배워보고 하니까 괜찮았어요. 내가 할 수 있다고 노력도 되고 용기도 됩니다."]
다음달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발달 장애인을 위해 마련된 투표 교육입니다.
[김도연/대구시 선거관리위원회 주무관 : "투표소와 같은 환경을 미리 만들어서 경험하게 하고, 그래서 투표 방법에 대한 이해를 높여서 투표소에서 제대로 된 투표를 할 수 있게 도와주기 위해서..."]
하지만 이들을 위한 투표 교육은 턱없이 부족한 게 현실입니다.
대구시 선거관리위원회가 교육을 진행하곤 있지만, 매년 너댓 차례, 대상 인원도 2백여 명에 불과합니다.
발달장애인 참정권 보장을 위해 교육을 강화하고 투표 제도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문윤경/대구피플퍼스트 위원장 : "(발달장애인이) 이해하기 쉬운 선거 자료와 그림 투표용지를 제작하고요. 공적 조력인이 함께 들어갈 수 있는 지침이 다시 만들어졌으면 좋겠습니다."]
대구 경북의 만 18세 이상 발달장애인 수는 약 2만 5천여 명.
이들의 한 표가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행사될 수 있도록 세심한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박준우입니다.
촬영기자:신상응
유권자라면 누구나 쉽게 한 표를 행사할 수 있지만 인지 능력이 부족한 발달 장애인들은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이들이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할 수 있도록 미리 체험해보는 투표 교육이 열렸습니다.
박준우 기자입니다.
[리포트]
["다음분 오세요."]
발달 장애인들이 줄지어 기표소로 들어갑니다.
투표 용지에 도장을 찍고, 투표함에 넣으며 실제 투표 과정을 체험합니다.
선거란 무엇인지, 또 투표는 어떻게 이뤄지는 지 배우면서 이제 낯선 환경의 투표소도 두렵지 않습니다.
[윤태영/발달장애인 : "(투표용지) 접는 게 좀 어려웠는데요. 어려웠는데 이렇게 센터에서 한 번 배워보고 하니까 괜찮았어요. 내가 할 수 있다고 노력도 되고 용기도 됩니다."]
다음달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발달 장애인을 위해 마련된 투표 교육입니다.
[김도연/대구시 선거관리위원회 주무관 : "투표소와 같은 환경을 미리 만들어서 경험하게 하고, 그래서 투표 방법에 대한 이해를 높여서 투표소에서 제대로 된 투표를 할 수 있게 도와주기 위해서..."]
하지만 이들을 위한 투표 교육은 턱없이 부족한 게 현실입니다.
대구시 선거관리위원회가 교육을 진행하곤 있지만, 매년 너댓 차례, 대상 인원도 2백여 명에 불과합니다.
발달장애인 참정권 보장을 위해 교육을 강화하고 투표 제도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문윤경/대구피플퍼스트 위원장 : "(발달장애인이) 이해하기 쉬운 선거 자료와 그림 투표용지를 제작하고요. 공적 조력인이 함께 들어갈 수 있는 지침이 다시 만들어졌으면 좋겠습니다."]
대구 경북의 만 18세 이상 발달장애인 수는 약 2만 5천여 명.
이들의 한 표가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행사될 수 있도록 세심한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박준우입니다.
촬영기자:신상응
-
-
박준우 기자 joonwoo@kbs.co.kr
박준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