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첨단 섬유로 해외시장 공략

입력 2024.03.13 (21:48) 수정 2024.03.13 (22: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신 섬유 제품과 기술 흐름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섬유 박람회인 대구 국제섬유 박람회가 개막했습니다.

참가 기업들은 첨단 소재와 친환경 소재를 중심으로 해외 시장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류재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초경량 폴리프로필렌, PP 섬유.

염색이 잘되지 않아 의류용으로 활용이 어려웠습니다.

이 업체는 색상을 입히는 기술을 개발해 신시장 개척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한상훈/대구 섬유업체 대표 : "섬유업계에서는 PP를 갖고 염색이 가능하고 실용화하는 것을 섬유의 마지막 과제라고 했던 겁니다. 저희가 마무리하는 단계에서 연구개발 기간을 7, 8년 이상 끌어 온 것들입니다."]

탄소 중립과 친환경 흐름에 발맞춰 재생 소재로 원단을 생산하는 업체, 높은 탄력성으로 겉감 소재에 적합해 유럽 시장에서 제품에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박영서/대구 섬유업체 과장 : "유럽 쪽으로 가장 많이 나가고 있고, 그런 제품들은 보통은 아웃도어, 스포츠, 러닝 이쪽으로 좀 더 편안함을 추구하는 그런 제품들을 만들고 있습니다."]

국내 최대 섬유 전시회인 대구국제섬유박람회가 '섬유의 적응성'을 주제로 개막했습니다.

정체된 지역 섬유 산업의 활로를 찾고 새로운 해외 시장 개척을 위해 15개국 해외 바이어를 초청해 수출 상담회가 마련됩니다.

또 국내 유명 브랜드와의 협력을 통해 내수 시장 확대도 추진합니다.

지난해 대구·경북의 섬유 수출액은 26억 달러로 국내 수출액의 24%일 정도로 섬유는 여전히 대표적인 먹거리 산업입니다.

하지만 최근 10년 사이 섬유 수출이 30%가량 줄었고, 중국과 베트남, 미국에 집중된 수출 시장도 다변화가 절실한 상황.

[한상웅/대구경북섬유산업연합회장 : "지금 현재 섬유산업은 첨단화를 만들려고 많이 노력하고 있으며, 조금만 더 지켜봐 주시면 많은 결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대구·경북의 전통산업인 섬유산업이 부가가치를 높이는 방향으로 활로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류재현입니다.

촬영기자:김석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친환경·첨단 섬유로 해외시장 공략
    • 입력 2024-03-13 21:48:33
    • 수정2024-03-13 22:11:29
    뉴스9(대구)
[앵커]

최신 섬유 제품과 기술 흐름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섬유 박람회인 대구 국제섬유 박람회가 개막했습니다.

참가 기업들은 첨단 소재와 친환경 소재를 중심으로 해외 시장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류재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초경량 폴리프로필렌, PP 섬유.

염색이 잘되지 않아 의류용으로 활용이 어려웠습니다.

이 업체는 색상을 입히는 기술을 개발해 신시장 개척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한상훈/대구 섬유업체 대표 : "섬유업계에서는 PP를 갖고 염색이 가능하고 실용화하는 것을 섬유의 마지막 과제라고 했던 겁니다. 저희가 마무리하는 단계에서 연구개발 기간을 7, 8년 이상 끌어 온 것들입니다."]

탄소 중립과 친환경 흐름에 발맞춰 재생 소재로 원단을 생산하는 업체, 높은 탄력성으로 겉감 소재에 적합해 유럽 시장에서 제품에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박영서/대구 섬유업체 과장 : "유럽 쪽으로 가장 많이 나가고 있고, 그런 제품들은 보통은 아웃도어, 스포츠, 러닝 이쪽으로 좀 더 편안함을 추구하는 그런 제품들을 만들고 있습니다."]

국내 최대 섬유 전시회인 대구국제섬유박람회가 '섬유의 적응성'을 주제로 개막했습니다.

정체된 지역 섬유 산업의 활로를 찾고 새로운 해외 시장 개척을 위해 15개국 해외 바이어를 초청해 수출 상담회가 마련됩니다.

또 국내 유명 브랜드와의 협력을 통해 내수 시장 확대도 추진합니다.

지난해 대구·경북의 섬유 수출액은 26억 달러로 국내 수출액의 24%일 정도로 섬유는 여전히 대표적인 먹거리 산업입니다.

하지만 최근 10년 사이 섬유 수출이 30%가량 줄었고, 중국과 베트남, 미국에 집중된 수출 시장도 다변화가 절실한 상황.

[한상웅/대구경북섬유산업연합회장 : "지금 현재 섬유산업은 첨단화를 만들려고 많이 노력하고 있으며, 조금만 더 지켜봐 주시면 많은 결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대구·경북의 전통산업인 섬유산업이 부가가치를 높이는 방향으로 활로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류재현입니다.

촬영기자:김석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구-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