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서에 고발까지…‘불갑산’ vs ‘모악산’ 갈등 심화

입력 2024.03.19 (19:41) 수정 2024.03.24 (10: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함평과 영광 지역 경계에 있는 산 이름을 놓고 두 자치단체가 오랜 기간 갈등을 빚고 있는데요.

최근에는 산 정상의 표지석을 훼손하거나 자치단체 관계자를 고발하는 등 양 측의 다툼이 격화하고 있습니다.

보도에 손준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영광군과 함평군의 지역 경계에 있는 산입니다.

정상부인 연실봉을 경계로 '모악산'과 '불갑산', 2가지 이름으로 불려왔습니다.

이곳은 해발 516m 연실봉입니다.

지난해 함평군의 한 사회단체가 연실봉에 '모악산'이라고 적힌 표지석을 설치했는데요.

그런데 최근 이 표지석에서 철거라고 적힌 낙서가 발견됐습니다.

함평군 측은 명칭을 '모악산'으로 바로 잡기 위해 세운 표지석이 넉달 만에 훼손됐다며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습니다.

[최창호/사단법인 내 고향 함평천지회 회장 : "스프레이 낙서를 한다는 것은 역사적인 인식을 전혀 안 하고... 불과 30년 정도만 지나면 이름이라는 것은 그대로 고착화 되는 거거든요."]

이 산의 이름을 '불갑산'으로 사용해 온 영광군 측도 물러서지 않고 있습니다.

사찰인 불갑사 입구에 설치된 안내판, 불갑산과 모악산 이름이 같이 적혀 있었지만 최근 모악산이 모두 지워졌습니다.

영광군 측은 지난해, 불갑산을 분쟁 지역으로 만들고 있다며, 함평군 관계자들을 경찰에 고발하기도 했습니다.

[박원종/전남도의원/영광군 측 : "(국토조사) 그때 당시에 결정된 불갑산이라는 지명인데, 그것을 갑작스럽게 저희 영광군에서 지정돼있는 지명 가지고 (몽니를 부리기 위해) 일어났다는 것은 말이 안 되는 거 같고요."]

해당 산의 지명은 국토지리정보원에 '불갑산'으로 등재된 상황, 지명 변경을 논의하려면 전라남도 지명위원회를 거쳐야합니다.

전라남도는 양 측에서 지명 변경을 신청하지 않아 법적 개입이 불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산 이름을 놓고 벌어진 갈등이 수사와 고발로 이어진 상황.

소모적인 논쟁과 갈등이 더 이상 확산하지 않도록 두 자치단체의 협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손준수입니다.

촬영기자:안재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낙서에 고발까지…‘불갑산’ vs ‘모악산’ 갈등 심화
    • 입력 2024-03-19 19:41:07
    • 수정2024-03-24 10:45:59
    뉴스7(광주)
[앵커]

함평과 영광 지역 경계에 있는 산 이름을 놓고 두 자치단체가 오랜 기간 갈등을 빚고 있는데요.

최근에는 산 정상의 표지석을 훼손하거나 자치단체 관계자를 고발하는 등 양 측의 다툼이 격화하고 있습니다.

보도에 손준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영광군과 함평군의 지역 경계에 있는 산입니다.

정상부인 연실봉을 경계로 '모악산'과 '불갑산', 2가지 이름으로 불려왔습니다.

이곳은 해발 516m 연실봉입니다.

지난해 함평군의 한 사회단체가 연실봉에 '모악산'이라고 적힌 표지석을 설치했는데요.

그런데 최근 이 표지석에서 철거라고 적힌 낙서가 발견됐습니다.

함평군 측은 명칭을 '모악산'으로 바로 잡기 위해 세운 표지석이 넉달 만에 훼손됐다며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습니다.

[최창호/사단법인 내 고향 함평천지회 회장 : "스프레이 낙서를 한다는 것은 역사적인 인식을 전혀 안 하고... 불과 30년 정도만 지나면 이름이라는 것은 그대로 고착화 되는 거거든요."]

이 산의 이름을 '불갑산'으로 사용해 온 영광군 측도 물러서지 않고 있습니다.

사찰인 불갑사 입구에 설치된 안내판, 불갑산과 모악산 이름이 같이 적혀 있었지만 최근 모악산이 모두 지워졌습니다.

영광군 측은 지난해, 불갑산을 분쟁 지역으로 만들고 있다며, 함평군 관계자들을 경찰에 고발하기도 했습니다.

[박원종/전남도의원/영광군 측 : "(국토조사) 그때 당시에 결정된 불갑산이라는 지명인데, 그것을 갑작스럽게 저희 영광군에서 지정돼있는 지명 가지고 (몽니를 부리기 위해) 일어났다는 것은 말이 안 되는 거 같고요."]

해당 산의 지명은 국토지리정보원에 '불갑산'으로 등재된 상황, 지명 변경을 논의하려면 전라남도 지명위원회를 거쳐야합니다.

전라남도는 양 측에서 지명 변경을 신청하지 않아 법적 개입이 불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산 이름을 놓고 벌어진 갈등이 수사와 고발로 이어진 상황.

소모적인 논쟁과 갈등이 더 이상 확산하지 않도록 두 자치단체의 협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손준수입니다.

촬영기자:안재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광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