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제 급성폐렴 유발 ‘주의’

입력 2024.04.12 (12:46) 수정 2024.04.12 (12: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햇빛이 점차 강해지면서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은데요.

중국에서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다 급성 폐렴에 걸리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합니다.

[리포트]

후난성 창사의 한 병원 응급실에 기침과 호흡 곤란 증세를 호소하는 20대 젊은 환자가 찾아왔습니다.

CT 촬영을 해 보니 양쪽 폐가 하얗게 변하는 이른바 '백색 폐증'으로 확인됐습니다.

이 환자는 외출 전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제를 얼굴에 대고 뿌렸는데 이후 기침이 나기 시작하더니 9시간 정도 지나자 숨 쉬기가 힘들어졌다고 호소했습니다.

진단 결과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제로 인한 급성 알레르기 폐렴으로 나타났습니다.

[판두/중국 창사시 제3 병원 의사 : "급성 기능성 폐렴은 피부 알레르기처럼 일시적으로 가렵고 아플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 사라지긴합니다."]

하지만 급성 알레르기 폐렴은 폐에 흉터를 남길 수 있고 자주 반복되면 폐 섬유화로 이어질 수 있어 위험합니다.

의사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제는 반드시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숨을 참고 얼굴에서 먼 곳에 뿌리는 등 사용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제 급성폐렴 유발 ‘주의’
    • 입력 2024-04-12 12:46:53
    • 수정2024-04-12 12:52:48
    뉴스 12
[앵커]

햇빛이 점차 강해지면서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은데요.

중국에서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다 급성 폐렴에 걸리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합니다.

[리포트]

후난성 창사의 한 병원 응급실에 기침과 호흡 곤란 증세를 호소하는 20대 젊은 환자가 찾아왔습니다.

CT 촬영을 해 보니 양쪽 폐가 하얗게 변하는 이른바 '백색 폐증'으로 확인됐습니다.

이 환자는 외출 전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제를 얼굴에 대고 뿌렸는데 이후 기침이 나기 시작하더니 9시간 정도 지나자 숨 쉬기가 힘들어졌다고 호소했습니다.

진단 결과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제로 인한 급성 알레르기 폐렴으로 나타났습니다.

[판두/중국 창사시 제3 병원 의사 : "급성 기능성 폐렴은 피부 알레르기처럼 일시적으로 가렵고 아플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 사라지긴합니다."]

하지만 급성 알레르기 폐렴은 폐에 흉터를 남길 수 있고 자주 반복되면 폐 섬유화로 이어질 수 있어 위험합니다.

의사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제는 반드시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숨을 참고 얼굴에서 먼 곳에 뿌리는 등 사용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