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픈 역사 담긴 부러진 ‘와룡매’…복원작업 시동

입력 2024.04.13 (21:31) 수정 2024.04.13 (21: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일본이 우리나라로 후계목을 반환한 와룡매란 매실 나무가 있습니다.

임진왜란 당시 창덕궁에 있던 이 나무에 얽힌 사연이 참으로 많은데요.

최근 이 나무의 복원작업에 시동이 걸렸습니다.

김현경 앵커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경기도의 한 고등학굡니다.

홍매화가 꽃망울을 터뜨렸습니다.

여느 매실 나무와 달리 가지가 누운듯한 모습입니다.

용이 엎드린 모양 같다고 해 와룡매라고 부릅니다.

이 나무엔 엄청난 사연이 담겨있습니다.

1593년 임진왜란으로 조선에 출병한 다테 마사무네는 창덕궁에서 자라고 있던 와룡매를 무단 반출해간 걸로 전해집니다.

[구자정/국립산림과학원 박사 : "일본 내에서 전해지는 얘기로 창덕궁 안에 있던 매화 두 그루. 용 같은 무늬의 매화 두 그루가 너무 예뻐서 그걸 파갔다. 그것도 들어올 때 파간 게 아니라 퇴각할 때 파갔다. 이렇게 얘기가 나와있더라고요."]

이 나무는 1609년 일본 미야기현의 서암사에 옮겨 심은 걸로 전해집니다.

4백년이 지난 지금 사찰의 유명한 나무가 됐습니다.

1990년대 이 사연이 알려진 뒤 후계목을 국내로 환수하는 방안이 논의됐습니다.

그리고 안중근 의사 순국 89주기였던 1999년 와룡매는 4백년만에 고국으로 돌아왔습니다.

그래서 와룡매는 국내에서 홍매화 2그루, 백매화 3그루가 명맥을 이어왔습니다.

이 학교에 와룡매가 심어진 건 일본의 한 고등학교와 맺은 자매결연이 발단이 됐습니다.

[김종운/수원농생명과학고등학교 교장 : "센다이시에 있는 가미농고와 1992년에 자매결연을 맺었습니다. 자매결연을 맺는 과정에서 매화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환수하는 방법을 생각해보자."]

즉 이 매실나무는 임진왜란 당시 창덕궁에 있던 와룡매의 후손인 셈입니다.

그런데 국내에 남아있던 홍매화 두 그루중 안중근 기념관에 있던 한 그루가 지난해 강풍에 부러졌습니다.

회생이 불가능한 걸로 판명났습니다.

이에 따라 일본에서 환수한 와룡매 가운데 홍매화는 이제 이 한그루만 남았습니다.복원이 시급해졌습니다.

산림당국이 복원에 착수했습니다.

일반 매실나무의 뿌리에 홍매화의 가지를 붙여 자라게 하는 게 그 시작입니다.

[구자정/국립산림과학원 박사 : "상처를 내고 상처 부위에 와룡매를 집어넣어서 그것들이 자연적으로 붙을 때까지 좀 기다리는 그런 과정이 되겠습니다."]

우리의 아픈 역사가 담겨있는 와룡매.

산림당국은 홍매화 가지에서 육성한 후계목을 내년 안중근 기념관에 현장 복원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김현경 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아픈 역사 담긴 부러진 ‘와룡매’…복원작업 시동
    • 입력 2024-04-13 21:31:32
    • 수정2024-04-13 21:54:13
    뉴스 9
[앵커]

일본이 우리나라로 후계목을 반환한 와룡매란 매실 나무가 있습니다.

임진왜란 당시 창덕궁에 있던 이 나무에 얽힌 사연이 참으로 많은데요.

최근 이 나무의 복원작업에 시동이 걸렸습니다.

김현경 앵커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경기도의 한 고등학굡니다.

홍매화가 꽃망울을 터뜨렸습니다.

여느 매실 나무와 달리 가지가 누운듯한 모습입니다.

용이 엎드린 모양 같다고 해 와룡매라고 부릅니다.

이 나무엔 엄청난 사연이 담겨있습니다.

1593년 임진왜란으로 조선에 출병한 다테 마사무네는 창덕궁에서 자라고 있던 와룡매를 무단 반출해간 걸로 전해집니다.

[구자정/국립산림과학원 박사 : "일본 내에서 전해지는 얘기로 창덕궁 안에 있던 매화 두 그루. 용 같은 무늬의 매화 두 그루가 너무 예뻐서 그걸 파갔다. 그것도 들어올 때 파간 게 아니라 퇴각할 때 파갔다. 이렇게 얘기가 나와있더라고요."]

이 나무는 1609년 일본 미야기현의 서암사에 옮겨 심은 걸로 전해집니다.

4백년이 지난 지금 사찰의 유명한 나무가 됐습니다.

1990년대 이 사연이 알려진 뒤 후계목을 국내로 환수하는 방안이 논의됐습니다.

그리고 안중근 의사 순국 89주기였던 1999년 와룡매는 4백년만에 고국으로 돌아왔습니다.

그래서 와룡매는 국내에서 홍매화 2그루, 백매화 3그루가 명맥을 이어왔습니다.

이 학교에 와룡매가 심어진 건 일본의 한 고등학교와 맺은 자매결연이 발단이 됐습니다.

[김종운/수원농생명과학고등학교 교장 : "센다이시에 있는 가미농고와 1992년에 자매결연을 맺었습니다. 자매결연을 맺는 과정에서 매화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환수하는 방법을 생각해보자."]

즉 이 매실나무는 임진왜란 당시 창덕궁에 있던 와룡매의 후손인 셈입니다.

그런데 국내에 남아있던 홍매화 두 그루중 안중근 기념관에 있던 한 그루가 지난해 강풍에 부러졌습니다.

회생이 불가능한 걸로 판명났습니다.

이에 따라 일본에서 환수한 와룡매 가운데 홍매화는 이제 이 한그루만 남았습니다.복원이 시급해졌습니다.

산림당국이 복원에 착수했습니다.

일반 매실나무의 뿌리에 홍매화의 가지를 붙여 자라게 하는 게 그 시작입니다.

[구자정/국립산림과학원 박사 : "상처를 내고 상처 부위에 와룡매를 집어넣어서 그것들이 자연적으로 붙을 때까지 좀 기다리는 그런 과정이 되겠습니다."]

우리의 아픈 역사가 담겨있는 와룡매.

산림당국은 홍매화 가지에서 육성한 후계목을 내년 안중근 기념관에 현장 복원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김현경 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