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민 63% “오송 참사 후속대책 부족”

입력 2024.04.17 (09:57) 수정 2024.04.17 (10:3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안타까운 참사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는 철저한 진상 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이 중요한데요.

몇 달 전, 오송 참사라는 또 다른 비극을 겪은 충북도민들은 관련 후속 대응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요?

이어서 송근섭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해 7월 15일, 청주 오송에서 호우로 불어난 미호강 물이 임시 제방 위로 흘러 넘쳤습니다.

400m 거리의 지하차도까지 물에 잠겼습니다.

[112 신고 내용/지난해 7월 15일 아침 7시 56분/음성변조 : "침수 우려가 있거든요. 오송도 그렇고, 궁평 지하차도 차량 통제를 해야 할 것 같거든요."]

출근길에 오른 가장, 여행을 떠나던 청년 등 모두 14명이 숨지고 16명이 다쳤습니다.

오송 지하차도 참사는 자연 재해와 함께 안전 불감증이 빚어낸 인재였다는 것이 수사 과정에서 드러나고 있습니다.

참사 장소 근처에서 다리 확장 공사를 하던 시공사와 감리단은 기존 제방을 무단 철거하고, 임시 제방을 부실하게 쌓은 정황이 드러났습니다.

공사 과정을 감독해야 할 행복도시건설청과 금강유역환경청도 그 책임을 피하지 못했습니다.

참사 당일, 경찰은 미리 침수 위험 신고를 받고도 정확한 피해 현장에 출동하지 않았습니다.

관할 소방서도 인명 피해를 줄이기 위한 긴급구조 통제단을 뒤늦게 가동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검찰은 현재까지 오송 참사와 관련해 모두 30명을 기소했습니다.

중대 시민재해 혐의 등에 대한 자치단체장과 공무원들에 대한 수사는 아직도 진행 중입니다.

9개월이 지난 현재, 오송 참사 후속 조치에 대한 충북도민들의 생각을 물었습니다.

KBS가 지난달 26일부터 닷새 동안 만 18살 이상 충북도민 4천여 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 63%가 관련 진상 규명과 피해 회복 같은 후속 대책이 "부족하다"고 답했습니다.

"충분하다"는 응답자는 25%에 불과했습니다.

연령별로는 40대에서 부족하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50대와 30대, 60대 순이었습니다.

지역별로는 참사가 발생한 청주시 흥덕구에서 후속 대응에 부정적인 응답이 가장 많았습니다.

청주시 나머지 3개 구가 뒤를 이었고, 지난해 폭우에 댐 범람과 침수 피해를 겪은 괴산군에서도 부정적인 응답이 63%에 달했습니다.

참사 유가족들은 진상 규명이 아닌 은폐와 축소, 구호뿐인 대책이 반복되는 한 또 다른 참사를 막을 수 없다고 말합니다.

[최은경/오송 참사 유가족 공동대표 : "세월호 사건은 노란 리본이잖아요. 그리고 10·29는 보라색, 저희(오송 참사)는 초록색이에요. 이걸 제가 한꺼번에 받아서 간직하려고 가방에 달았는데, 이게 더 이상은 늘어나지 말아야 할 텐데 왜 여기까지 이렇게 왔을까…."]

KBS 뉴스 송근섭입니다.

촬영기자:최승원·박용호/영상편집:오진석/그래픽:박소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충북도민 63% “오송 참사 후속대책 부족”
    • 입력 2024-04-17 09:57:55
    • 수정2024-04-17 10:35:22
    930뉴스(청주)
[앵커]

안타까운 참사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는 철저한 진상 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이 중요한데요.

몇 달 전, 오송 참사라는 또 다른 비극을 겪은 충북도민들은 관련 후속 대응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요?

이어서 송근섭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해 7월 15일, 청주 오송에서 호우로 불어난 미호강 물이 임시 제방 위로 흘러 넘쳤습니다.

400m 거리의 지하차도까지 물에 잠겼습니다.

[112 신고 내용/지난해 7월 15일 아침 7시 56분/음성변조 : "침수 우려가 있거든요. 오송도 그렇고, 궁평 지하차도 차량 통제를 해야 할 것 같거든요."]

출근길에 오른 가장, 여행을 떠나던 청년 등 모두 14명이 숨지고 16명이 다쳤습니다.

오송 지하차도 참사는 자연 재해와 함께 안전 불감증이 빚어낸 인재였다는 것이 수사 과정에서 드러나고 있습니다.

참사 장소 근처에서 다리 확장 공사를 하던 시공사와 감리단은 기존 제방을 무단 철거하고, 임시 제방을 부실하게 쌓은 정황이 드러났습니다.

공사 과정을 감독해야 할 행복도시건설청과 금강유역환경청도 그 책임을 피하지 못했습니다.

참사 당일, 경찰은 미리 침수 위험 신고를 받고도 정확한 피해 현장에 출동하지 않았습니다.

관할 소방서도 인명 피해를 줄이기 위한 긴급구조 통제단을 뒤늦게 가동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검찰은 현재까지 오송 참사와 관련해 모두 30명을 기소했습니다.

중대 시민재해 혐의 등에 대한 자치단체장과 공무원들에 대한 수사는 아직도 진행 중입니다.

9개월이 지난 현재, 오송 참사 후속 조치에 대한 충북도민들의 생각을 물었습니다.

KBS가 지난달 26일부터 닷새 동안 만 18살 이상 충북도민 4천여 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 63%가 관련 진상 규명과 피해 회복 같은 후속 대책이 "부족하다"고 답했습니다.

"충분하다"는 응답자는 25%에 불과했습니다.

연령별로는 40대에서 부족하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50대와 30대, 60대 순이었습니다.

지역별로는 참사가 발생한 청주시 흥덕구에서 후속 대응에 부정적인 응답이 가장 많았습니다.

청주시 나머지 3개 구가 뒤를 이었고, 지난해 폭우에 댐 범람과 침수 피해를 겪은 괴산군에서도 부정적인 응답이 63%에 달했습니다.

참사 유가족들은 진상 규명이 아닌 은폐와 축소, 구호뿐인 대책이 반복되는 한 또 다른 참사를 막을 수 없다고 말합니다.

[최은경/오송 참사 유가족 공동대표 : "세월호 사건은 노란 리본이잖아요. 그리고 10·29는 보라색, 저희(오송 참사)는 초록색이에요. 이걸 제가 한꺼번에 받아서 간직하려고 가방에 달았는데, 이게 더 이상은 늘어나지 말아야 할 텐데 왜 여기까지 이렇게 왔을까…."]

KBS 뉴스 송근섭입니다.

촬영기자:최승원·박용호/영상편집:오진석/그래픽:박소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청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