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취재] 이주노동자 체불 천억 원대…“월급 밀리더니 문 닫아”

입력 2024.04.18 (08:37) 수정 2024.04.18 (09: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일손이 부족한 공장이나 농촌에서 일하는 이주노동자들이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우리 지역 경제에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일꾼인데요.

이런 노동자들이 제대로 받지 못한 임금이 전국적으로 무려 천억 원대에 달합니다.

그 피해와 실태를 이자현 기자가 심층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2015년부터 8년간 청주의 한 자동차 부품 업체에서 일했던 스리랑카 출신의 파산나씨입니다.

지난해부터 월급이 밀리더니 일곱 달 전, 회사가 연락도 없이 문을 닫았습니다.

[파산나/체불 피해 노동자 : "'괜찮아. 사장님은 좋은 사람이니까'(라고 생각해서) 사장님을 믿었어요. 그런데 갑자기 연락도 안 하고 문을 닫았어요. 우리는 그냥 3개월 정도 기다렸어요. 전화하면 전화를 안 받았어요."]

결국, 세 달 치 임금과 퇴직금 등 3,500여만 원을 아직 받지 못했습니다.

아내와 7살, 9살 딸이 기다리는 고국에 생활비도 보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파산나/체불 피해 노동자 : "돈을 못 보내가지고, 애기가 지금 학교갈 때 돈이 없어가지고…. 돈 없으면 친구한테 돈 빌렸어요. 그런데 그 돈도 아직 안 줬어요. 궁금해요.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고용노동부의 집계 결과, 전국 이주노동자들의 임금체불액은 2017년, 780억 원에서 2019년, 1,217억 원으로 급증한 뒤 해마다 천억 원을 웃돌고 있습니다.

우리 말과 법규에 서툰 이주노동자들이 즉각 신고하거나 공식 대응하지 못할 것이라 여기고 악용하는 사업주들이 많은 탓입니다.

사업주와 힘들게 법정 싸움을 이어가다가 체류 기간이 끝나는 경우도 허다합니다.

체불 피해가 속출하고 있지만, 이런 이주노동자 상담과 권리 구제를 돕는 지원센터 예산은 올해 전액 삭감됐습니다.

[안건수/이주민노동인권센터 소장 : "이주노동자 지원센터에 대한 예산을 대폭 늘려야죠. 미등록 이주노동자들을 어떻게 관리하고, 어떻게 합법화시킬 것인가를 사회적으로 논의할 틀이 필요합니다."]

정부는 올해 고용허가제 이주노동자를 역대 최대 규모인 16만 5천여 명으로 늘리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이들의 고용 안정과 임금 보장, 체불 해결과 함께 단속 위주의 미등록 외국인 관리 정책을 개선하는 종합 대책까지 뒤따라야 한다는 목소리가 큽니다.

KBS 뉴스 이자현입니다.

촬영기자:강사완/그래픽:김선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심층취재] 이주노동자 체불 천억 원대…“월급 밀리더니 문 닫아”
    • 입력 2024-04-18 08:37:13
    • 수정2024-04-18 09:01:20
    뉴스광장(청주)
[앵커]

일손이 부족한 공장이나 농촌에서 일하는 이주노동자들이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우리 지역 경제에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일꾼인데요.

이런 노동자들이 제대로 받지 못한 임금이 전국적으로 무려 천억 원대에 달합니다.

그 피해와 실태를 이자현 기자가 심층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2015년부터 8년간 청주의 한 자동차 부품 업체에서 일했던 스리랑카 출신의 파산나씨입니다.

지난해부터 월급이 밀리더니 일곱 달 전, 회사가 연락도 없이 문을 닫았습니다.

[파산나/체불 피해 노동자 : "'괜찮아. 사장님은 좋은 사람이니까'(라고 생각해서) 사장님을 믿었어요. 그런데 갑자기 연락도 안 하고 문을 닫았어요. 우리는 그냥 3개월 정도 기다렸어요. 전화하면 전화를 안 받았어요."]

결국, 세 달 치 임금과 퇴직금 등 3,500여만 원을 아직 받지 못했습니다.

아내와 7살, 9살 딸이 기다리는 고국에 생활비도 보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파산나/체불 피해 노동자 : "돈을 못 보내가지고, 애기가 지금 학교갈 때 돈이 없어가지고…. 돈 없으면 친구한테 돈 빌렸어요. 그런데 그 돈도 아직 안 줬어요. 궁금해요.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고용노동부의 집계 결과, 전국 이주노동자들의 임금체불액은 2017년, 780억 원에서 2019년, 1,217억 원으로 급증한 뒤 해마다 천억 원을 웃돌고 있습니다.

우리 말과 법규에 서툰 이주노동자들이 즉각 신고하거나 공식 대응하지 못할 것이라 여기고 악용하는 사업주들이 많은 탓입니다.

사업주와 힘들게 법정 싸움을 이어가다가 체류 기간이 끝나는 경우도 허다합니다.

체불 피해가 속출하고 있지만, 이런 이주노동자 상담과 권리 구제를 돕는 지원센터 예산은 올해 전액 삭감됐습니다.

[안건수/이주민노동인권센터 소장 : "이주노동자 지원센터에 대한 예산을 대폭 늘려야죠. 미등록 이주노동자들을 어떻게 관리하고, 어떻게 합법화시킬 것인가를 사회적으로 논의할 틀이 필요합니다."]

정부는 올해 고용허가제 이주노동자를 역대 최대 규모인 16만 5천여 명으로 늘리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이들의 고용 안정과 임금 보장, 체불 해결과 함께 단속 위주의 미등록 외국인 관리 정책을 개선하는 종합 대책까지 뒤따라야 한다는 목소리가 큽니다.

KBS 뉴스 이자현입니다.

촬영기자:강사완/그래픽:김선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청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