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문화사절단”…5년 만의 평화 행렬

입력 2024.05.04 (21:27) 수정 2024.05.04 (21: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우리나라와 일본의 문화교류 첨병 역할을 했던 조선통신사 축제가 부산에서 열렸습니다.

축제의 백미인 조선통신사 행렬 재현이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중단됐다 5년 만에 성대하게 열려 눈길을 끌었습니다.

보도에 이이슬 기자입니다.

[리포트]

대형 종소리가 행렬의 시작을 알리고, 웅장한 연주와 함께 어린이 취타대가 앞장섭니다.

국서를 실은 가마와 3사도 장단에 맞춰 행진합니다.

한국과 일본 두 나라의 평화 사절이었던 조선통신사 행렬 재현.

코로나19로 연이어 취소됐다 5년 만에 성사됐습니다.

한국과 일본 예술단과 시민 등 5백여 명이 행렬에 참여해 뜨거운 관심을 보여줬습니다.

[이상준/부산한일문화교류협회장/조선통신사 정사 : "이런 역사적, 문화적 유산을 되살림으로써 부산이 세계 도시로 발돋움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합니다."]

[쿠스 히로카즈/카미쓰시마 진흥부 차장/일본 참가자 : "조선통신사는 평화의 상징인 만큼 이 행사를 계기로 한일 관계가 더욱 나아졌으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임진왜란 이후 단절된 한일관계를 회복하는 데 기여했던 조선통신사.

두 나라의 문화교류를 확대하는 통로인 동시에 과거와 현재를 잇는 평화의 상징입니다.

5년 만의 행렬 재현에 광복로를 가득 메운 시민들도, 행렬에 참가한 시민 참가자들도 조선통신사의 가치를 되새깁니다.

[김영서/동의과학대 단체 참가자 : "조선통신사들의 책사를 들고 가는 중요한 일을 지금 담당하고 있는데 그래서 엄청 긴장되고, 앞으로 더 큰 행사가 되고 앞으로 일본과 좀 더 많은 교류가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내일까지 이어지는 올해 조선통신사 축제는 광복로와 연안여객터미널 일대에서 한일 거리 공연과 특별 전시, 국제학술 토론 등 다양한 행사로 마련됩니다.

KBS 뉴스 이이슬입니다.

촬영기자:이한범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우리는 문화사절단”…5년 만의 평화 행렬
    • 입력 2024-05-04 21:27:19
    • 수정2024-05-04 21:56:35
    뉴스9(부산)
[앵커]

우리나라와 일본의 문화교류 첨병 역할을 했던 조선통신사 축제가 부산에서 열렸습니다.

축제의 백미인 조선통신사 행렬 재현이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중단됐다 5년 만에 성대하게 열려 눈길을 끌었습니다.

보도에 이이슬 기자입니다.

[리포트]

대형 종소리가 행렬의 시작을 알리고, 웅장한 연주와 함께 어린이 취타대가 앞장섭니다.

국서를 실은 가마와 3사도 장단에 맞춰 행진합니다.

한국과 일본 두 나라의 평화 사절이었던 조선통신사 행렬 재현.

코로나19로 연이어 취소됐다 5년 만에 성사됐습니다.

한국과 일본 예술단과 시민 등 5백여 명이 행렬에 참여해 뜨거운 관심을 보여줬습니다.

[이상준/부산한일문화교류협회장/조선통신사 정사 : "이런 역사적, 문화적 유산을 되살림으로써 부산이 세계 도시로 발돋움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합니다."]

[쿠스 히로카즈/카미쓰시마 진흥부 차장/일본 참가자 : "조선통신사는 평화의 상징인 만큼 이 행사를 계기로 한일 관계가 더욱 나아졌으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임진왜란 이후 단절된 한일관계를 회복하는 데 기여했던 조선통신사.

두 나라의 문화교류를 확대하는 통로인 동시에 과거와 현재를 잇는 평화의 상징입니다.

5년 만의 행렬 재현에 광복로를 가득 메운 시민들도, 행렬에 참가한 시민 참가자들도 조선통신사의 가치를 되새깁니다.

[김영서/동의과학대 단체 참가자 : "조선통신사들의 책사를 들고 가는 중요한 일을 지금 담당하고 있는데 그래서 엄청 긴장되고, 앞으로 더 큰 행사가 되고 앞으로 일본과 좀 더 많은 교류가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내일까지 이어지는 올해 조선통신사 축제는 광복로와 연안여객터미널 일대에서 한일 거리 공연과 특별 전시, 국제학술 토론 등 다양한 행사로 마련됩니다.

KBS 뉴스 이이슬입니다.

촬영기자:이한범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