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담] 제주도, 2035년까지 탄소중립 사회 실현 도전

입력 2024.05.07 (19:15) 수정 2024.05.07 (20:1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기후위기의 심각성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죠,

기후 위기 극복을 위한 탄소 중립이 국가적 과제로 떠오른 가운데 최근 제주도가 이를 위한 에너지 전환 비전을 발표했고요,

제1차 제주도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 용역도 공개됐습니다.

오늘 이 시간에 자세히 한번 짚어보겠습니다.

강애숙 제주도 기후환경국장 자리했습니다.

어서오세요.

먼저 탄소중립이라는 말이 많이 언급되지만 정확한 개념이 뭔지 궁금한데요,

설명 부탁드립니다.

[앵커]

세계 각국에서 앞다퉈 탄소중립을 목표로 하고 있는 상황이죠.

이렇게 탄소중립이 시급한 이유가 무엇일까요?

[앵커]

지난 1일, 제주도가 오는 2035년까지 아시아 최초로 재생에너지와 그린수소 기반 에너지 대전환을 통한 탄소중립 사회를 실현하는 데 도전하겠다고 선포했습니다.

당초 정부 계획보다 15년이나 앞당겼는데요.

어떤 배경이 있는 겁니까?

[앵커]

이 같은 탄소중립 사회 선포에 따른 실현 방안이 제1차 제주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 용역보고서에 담겨 있죠.

어떤 내용들이 제시됐습니까?

[앵커]

가정용 난방 에너지를 비롯해 대중교통과 선박, 항공 등 지역 내 모든 에너지원을 바꾸는 것은 쉽지 않은 과제일 텐데요?

[앵커]

제주는 특히 1차 산업과 관광 산업의 비중이 높은데요,

이 두 가지 제주의 핵심산업 분야에서 탄소중립 실현 방안에 대해 설명해 주신다면?

[앵커]

제1차 제주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 용역 결과를 놓고 오늘 제주시와 서귀포시에서 공청회가 있었는데요,

어떤 의견들이 나왔습니까?

[앵커]

탄소중립 실현은 좋은데 풍력이나 태양광 등 친환경 에너지 설비가 환경을 훼손한다는 우려가 있는 것도 현실입니다.

어떻게 이런 우려를 해소할 수 있을까요?

[앵커]

탄소중립 실천을 위해선 정책과 제도뿐 아니라 도민들의 인식 개선과 참여가 중요할 것 같은데요?

[앵커]

제1차 제주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 앞으로 어떤 절차를 통해 확정되나요?

[앵커]

끝으로 도민들께 전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앵커]

탄소중립은 제주가 가야할 방향이죠,

앞으로 많은 노력 부탁드리고요,

오늘 여기까지 듣죠,

출연 감사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담] 제주도, 2035년까지 탄소중립 사회 실현 도전
    • 입력 2024-05-07 19:15:45
    • 수정2024-05-07 20:13:51
    뉴스7(제주)
[앵커]

기후위기의 심각성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죠,

기후 위기 극복을 위한 탄소 중립이 국가적 과제로 떠오른 가운데 최근 제주도가 이를 위한 에너지 전환 비전을 발표했고요,

제1차 제주도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 용역도 공개됐습니다.

오늘 이 시간에 자세히 한번 짚어보겠습니다.

강애숙 제주도 기후환경국장 자리했습니다.

어서오세요.

먼저 탄소중립이라는 말이 많이 언급되지만 정확한 개념이 뭔지 궁금한데요,

설명 부탁드립니다.

[앵커]

세계 각국에서 앞다퉈 탄소중립을 목표로 하고 있는 상황이죠.

이렇게 탄소중립이 시급한 이유가 무엇일까요?

[앵커]

지난 1일, 제주도가 오는 2035년까지 아시아 최초로 재생에너지와 그린수소 기반 에너지 대전환을 통한 탄소중립 사회를 실현하는 데 도전하겠다고 선포했습니다.

당초 정부 계획보다 15년이나 앞당겼는데요.

어떤 배경이 있는 겁니까?

[앵커]

이 같은 탄소중립 사회 선포에 따른 실현 방안이 제1차 제주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 용역보고서에 담겨 있죠.

어떤 내용들이 제시됐습니까?

[앵커]

가정용 난방 에너지를 비롯해 대중교통과 선박, 항공 등 지역 내 모든 에너지원을 바꾸는 것은 쉽지 않은 과제일 텐데요?

[앵커]

제주는 특히 1차 산업과 관광 산업의 비중이 높은데요,

이 두 가지 제주의 핵심산업 분야에서 탄소중립 실현 방안에 대해 설명해 주신다면?

[앵커]

제1차 제주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 용역 결과를 놓고 오늘 제주시와 서귀포시에서 공청회가 있었는데요,

어떤 의견들이 나왔습니까?

[앵커]

탄소중립 실현은 좋은데 풍력이나 태양광 등 친환경 에너지 설비가 환경을 훼손한다는 우려가 있는 것도 현실입니다.

어떻게 이런 우려를 해소할 수 있을까요?

[앵커]

탄소중립 실천을 위해선 정책과 제도뿐 아니라 도민들의 인식 개선과 참여가 중요할 것 같은데요?

[앵커]

제1차 제주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 앞으로 어떤 절차를 통해 확정되나요?

[앵커]

끝으로 도민들께 전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앵커]

탄소중립은 제주가 가야할 방향이죠,

앞으로 많은 노력 부탁드리고요,

오늘 여기까지 듣죠,

출연 감사합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제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