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점포 편리한데, 오래 운영했으면”

입력 2024.05.09 (07:37) 수정 2024.05.09 (13: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렇게 은행 업무에 어려움을 겪는 고령층을 위해 은행은 자체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고령층 특화 지점이나 이동형 점포등이 그 예인데요.

운영이 주로 수도권에 한정돼있어 확대 운영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김혜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소형 버스에 타려고 어르신들이 줄지어 기다립니다.

버스 안에는 은행 창구가 마련돼 있고 직원이 기계에서 현금 찾는 법을 설명합니다.

["네 자리 눌러주세요. 비밀번호 네 개 누르시고…."]

일주일에 한 번 노인 복지관 근처로 찾아오는 한 시중은행의 이동형 점포입니다.

[신만철/서울 서대문구 : "(은행이) 신도림 역 앞에 있었는데, 그게 없어졌어요. 차량이 여기 와서 업무를 봐주니까 얼마나 편리한지 몰라요."]

고령층이 겪는 어려움은 은행 거래가 어렵다는 것만은 아닙니다.

전화금융사기 같은 금융범죄가 늘어가는데 점포가 사라지니 물어보거나 확인할 데도 줄었습니다.

[위옥선/서울 구로구 : "(딸이) '엄마, 휴대전화로 뭐 찍어달라'고 그러는 거야. 어이구, 얘는 회사 갔는데. (딸이) 아니구나, 이건 아니구나."]

이 은행은 대안으로 차량 2대를 동원해 이동형 점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고령 인구 비중이 많은 지역에 특화 점포를 낸 시중 은행도 있습니다.

하지만 수가 부족한 데다 그나마 수도권에 집중돼 있습니다.

[서지용/상명대 경영학과 교수 : "초점은 비용 절감에 맞춰져 있다 보니까 가급적이면 이런 점포를 늘리는 것보다는 기존 점포를 활용해서 효과적인 영업을 하는 걸 더 원하고 있는 것 같아요."]

산간, 도서 지역처럼 고령 인구 비중은 높고 금융 서비스 이용이 어려운 곳부터 공동 점포라도 운영하도록 정부가 적극적으로 유도할 필요가 있습니다.

["오래도록 이렇게 좀 와서 업무 좀 봐주셨으면…. 제 바람입니다."]

KBS 뉴스 김혜주입니다.

촬영기자:문아미/영상편집:이유리/그래픽:김성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은행 점포 편리한데, 오래 운영했으면”
    • 입력 2024-05-09 07:37:50
    • 수정2024-05-09 13:15:36
    뉴스광장
[앵커]

이렇게 은행 업무에 어려움을 겪는 고령층을 위해 은행은 자체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고령층 특화 지점이나 이동형 점포등이 그 예인데요.

운영이 주로 수도권에 한정돼있어 확대 운영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김혜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소형 버스에 타려고 어르신들이 줄지어 기다립니다.

버스 안에는 은행 창구가 마련돼 있고 직원이 기계에서 현금 찾는 법을 설명합니다.

["네 자리 눌러주세요. 비밀번호 네 개 누르시고…."]

일주일에 한 번 노인 복지관 근처로 찾아오는 한 시중은행의 이동형 점포입니다.

[신만철/서울 서대문구 : "(은행이) 신도림 역 앞에 있었는데, 그게 없어졌어요. 차량이 여기 와서 업무를 봐주니까 얼마나 편리한지 몰라요."]

고령층이 겪는 어려움은 은행 거래가 어렵다는 것만은 아닙니다.

전화금융사기 같은 금융범죄가 늘어가는데 점포가 사라지니 물어보거나 확인할 데도 줄었습니다.

[위옥선/서울 구로구 : "(딸이) '엄마, 휴대전화로 뭐 찍어달라'고 그러는 거야. 어이구, 얘는 회사 갔는데. (딸이) 아니구나, 이건 아니구나."]

이 은행은 대안으로 차량 2대를 동원해 이동형 점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고령 인구 비중이 많은 지역에 특화 점포를 낸 시중 은행도 있습니다.

하지만 수가 부족한 데다 그나마 수도권에 집중돼 있습니다.

[서지용/상명대 경영학과 교수 : "초점은 비용 절감에 맞춰져 있다 보니까 가급적이면 이런 점포를 늘리는 것보다는 기존 점포를 활용해서 효과적인 영업을 하는 걸 더 원하고 있는 것 같아요."]

산간, 도서 지역처럼 고령 인구 비중은 높고 금융 서비스 이용이 어려운 곳부터 공동 점포라도 운영하도록 정부가 적극적으로 유도할 필요가 있습니다.

["오래도록 이렇게 좀 와서 업무 좀 봐주셨으면…. 제 바람입니다."]

KBS 뉴스 김혜주입니다.

촬영기자:문아미/영상편집:이유리/그래픽:김성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