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 밖 청소년’ 5만여 명…상황 비슷하지만 복지 ‘사각지대’

입력 2024.05.18 (21:16) 수정 2024.05.18 (21: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우리 사회의 다양한 돌봄 문제 살펴보고 있습니다.

오늘(18일)은 가정에서 벗어나 홀로서기에 나선 가정 밖 청소년들의 문제 짚어봅니다.

가정 밖 청소년.

5만 명이 넘는 걸로 추정되지만 이들의 자립은 막막한 실정입니다.

먼저 여소연 기잡니다.

[리포트]

어릴 때부터 아버지의 폭력에 시달린 A 씨.

16살 즈음, 경찰이 오고서야 자신이 학대 피해자라는 걸 깨달았습니다.

[A씨/쉼터 퇴소 청소년 : "피투성이로 쫓겨났는데 그때 이웃 주민이 신고를 해주셔서 그때 처음으로 제가 받고 있는 게 아동학대라는 걸 알게 돼서…"]

청소년 쉼터에서도 폭력이 이어졌고, 결국 혼자 모든 걸 책임져야 했습니다.

[A씨/쉼터 퇴소 청소년 : "종교에 대한 부분을 조금 강요하는 부분도 있었고, 성인인 청소년이 10살 (청소년)을 발로 걷어차거나 안에서의 폭력도 있었고..."]

이런 가정밖 청소년들은 성인이 된 뒤에도 정부가 주는 자립정착금을 받지 못합니다.

[A씨/쉼터 퇴소 청소년 : "'부모님의 존재가 삶을 힘들게 하거나 상처를 줬던 친구들인데 왜 그 친구들이 부모님이 있다고 해서 지원을 못 받아야 하지?'라는…"]

자립정착금은 보건복지부에서 정한 보호시설에서 지낸 청소년들에게만 지원되기 때문입니다.

청소년쉼터 등 여성가족부나 법무부에서 관리하는 시설에서 지낸 가정밖청소년은 자립수당 등에서 지원에 차이를 겪습니다.

똑같이 유년시절부터 부모로부터 보살핌을 받지 못했지만 지원은 크게 차이가 나는 겁니다.

[구준선/초록우산 경기지역본부 사회복지사 : "가정 해체나 아동학대나 그런 어려움으로 입소하는 친구들도 굉장히 많이 있거든요. 사유나 이런 부분을 확인을 해서 자립지원을 받을 수 있으면 좋겠다."]

'가정밖 청소년'의 규모는 5만 6천여 명으로 추정되지만, 지난 3월 기준 자립지원수당을 받은 사람은 207명에 불과합니다.

KBS 뉴스 여소연입니다.

촬영기자:서원철/영상편집:신남규/그래픽:최창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정 밖 청소년’ 5만여 명…상황 비슷하지만 복지 ‘사각지대’
    • 입력 2024-05-18 21:16:34
    • 수정2024-05-18 21:44:21
    뉴스 9
[앵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우리 사회의 다양한 돌봄 문제 살펴보고 있습니다.

오늘(18일)은 가정에서 벗어나 홀로서기에 나선 가정 밖 청소년들의 문제 짚어봅니다.

가정 밖 청소년.

5만 명이 넘는 걸로 추정되지만 이들의 자립은 막막한 실정입니다.

먼저 여소연 기잡니다.

[리포트]

어릴 때부터 아버지의 폭력에 시달린 A 씨.

16살 즈음, 경찰이 오고서야 자신이 학대 피해자라는 걸 깨달았습니다.

[A씨/쉼터 퇴소 청소년 : "피투성이로 쫓겨났는데 그때 이웃 주민이 신고를 해주셔서 그때 처음으로 제가 받고 있는 게 아동학대라는 걸 알게 돼서…"]

청소년 쉼터에서도 폭력이 이어졌고, 결국 혼자 모든 걸 책임져야 했습니다.

[A씨/쉼터 퇴소 청소년 : "종교에 대한 부분을 조금 강요하는 부분도 있었고, 성인인 청소년이 10살 (청소년)을 발로 걷어차거나 안에서의 폭력도 있었고..."]

이런 가정밖 청소년들은 성인이 된 뒤에도 정부가 주는 자립정착금을 받지 못합니다.

[A씨/쉼터 퇴소 청소년 : "'부모님의 존재가 삶을 힘들게 하거나 상처를 줬던 친구들인데 왜 그 친구들이 부모님이 있다고 해서 지원을 못 받아야 하지?'라는…"]

자립정착금은 보건복지부에서 정한 보호시설에서 지낸 청소년들에게만 지원되기 때문입니다.

청소년쉼터 등 여성가족부나 법무부에서 관리하는 시설에서 지낸 가정밖청소년은 자립수당 등에서 지원에 차이를 겪습니다.

똑같이 유년시절부터 부모로부터 보살핌을 받지 못했지만 지원은 크게 차이가 나는 겁니다.

[구준선/초록우산 경기지역본부 사회복지사 : "가정 해체나 아동학대나 그런 어려움으로 입소하는 친구들도 굉장히 많이 있거든요. 사유나 이런 부분을 확인을 해서 자립지원을 받을 수 있으면 좋겠다."]

'가정밖 청소년'의 규모는 5만 6천여 명으로 추정되지만, 지난 3월 기준 자립지원수당을 받은 사람은 207명에 불과합니다.

KBS 뉴스 여소연입니다.

촬영기자:서원철/영상편집:신남규/그래픽:최창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