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쉼터 이용 어려운데”…서울시 ‘일시지원센터’는 불과 한 곳?

입력 2024.05.18 (21:18) 수정 2024.05.18 (21: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그렇다면 이렇게 집을 떠난 가정 밖 청소년들 어디로 가야할까요?

청소년 쉼터가 있지만 이런 저런 이유로 이용이 어렵습니다.

그나마 많이 찾는 일시지원센터는 서울엔 불과 1곳 뿐입니다.

이유민 기잡니다.

[리포트]

부모의 폭력에 시달리다 집을 떠났던 17살 아라.

머물 곳이 없어 청소년 쉼터를 찾았지만, 오래 지낼 순 없었습니다.

[윤아라(가명)/가정밖청소년 : "부모님한테 연락하잖아요. 가해 보호자한테 내가 어떻게 지내고 있는지를 이제 발설을 하시는 거니까…."]

15살 해솔이도 같은 경험을 했습니다.

가정폭력 수사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쉼터에서 부모에게 연락을 한 겁니다.

[송해솔(가명)/가정밖청소년 : "수사가 진행 중임에도 부모님한테 연락해서 데려가라고 했다는 거는 문제가 좀 많이 크다고…."]

정신병력 때문에 쉼터에서 쫓겨나기도 했습니다.

[송해솔(가명)/가정밖청소년 : "자해하고 들어간 적이 있었는데 그것 때문에 나가줘야겠다라고…."]

이들이 결국 향한 곳은 서울에 한 곳뿐인 일시지원센터.

학대 가해자인 부모에게 연락하지 않고, 쉼터에 비해 입소 조건도 덜 까다롭습니다.

지난 3년 동안 이곳에서 이뤄진 긴급 일시지원 건수는 만 3천 건에 달합니다.

[윤아라(가명)/가정밖청소년 : "편하게 먹고 싶은 거 먹고, 털어놓고 싶은 거 털어놓고, 아프면 같이 병원 가주고…."]

그런데도 서울시는 올해 초 쉼터와 "대상자가 중복된다"며, 내년부터 일시지원센터 운영을 중단하겠다고 통보했습니다.

KBS 취재가 시작되자 서울시는 센터를 계속 운영하는 방향으로 재검토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5만여 명에 이르는 가정 밖 청소년 규모를 감안하면 청소년쉼터 정원 등을 포함해도 지원시설 규모는 턱없이 적습니다.

[홍경희/센터장/십대일시지원센터 '나무' : "서비스 중복이 아니라 서비스를 보완하고 있고 체계 밖 청소년들을 주요 대상으로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기능을…."]

지난 2021년 이후로 명확히 조사된 적 없는 가정밖 청소년 규모, 가정 밖으로 내몰리는 이들의 실태 파악과 더 촘촘한 지원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KBS 뉴스 이유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쉼터 이용 어려운데”…서울시 ‘일시지원센터’는 불과 한 곳?
    • 입력 2024-05-18 21:18:39
    • 수정2024-05-18 21:40:23
    뉴스 9
[앵커]

그렇다면 이렇게 집을 떠난 가정 밖 청소년들 어디로 가야할까요?

청소년 쉼터가 있지만 이런 저런 이유로 이용이 어렵습니다.

그나마 많이 찾는 일시지원센터는 서울엔 불과 1곳 뿐입니다.

이유민 기잡니다.

[리포트]

부모의 폭력에 시달리다 집을 떠났던 17살 아라.

머물 곳이 없어 청소년 쉼터를 찾았지만, 오래 지낼 순 없었습니다.

[윤아라(가명)/가정밖청소년 : "부모님한테 연락하잖아요. 가해 보호자한테 내가 어떻게 지내고 있는지를 이제 발설을 하시는 거니까…."]

15살 해솔이도 같은 경험을 했습니다.

가정폭력 수사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쉼터에서 부모에게 연락을 한 겁니다.

[송해솔(가명)/가정밖청소년 : "수사가 진행 중임에도 부모님한테 연락해서 데려가라고 했다는 거는 문제가 좀 많이 크다고…."]

정신병력 때문에 쉼터에서 쫓겨나기도 했습니다.

[송해솔(가명)/가정밖청소년 : "자해하고 들어간 적이 있었는데 그것 때문에 나가줘야겠다라고…."]

이들이 결국 향한 곳은 서울에 한 곳뿐인 일시지원센터.

학대 가해자인 부모에게 연락하지 않고, 쉼터에 비해 입소 조건도 덜 까다롭습니다.

지난 3년 동안 이곳에서 이뤄진 긴급 일시지원 건수는 만 3천 건에 달합니다.

[윤아라(가명)/가정밖청소년 : "편하게 먹고 싶은 거 먹고, 털어놓고 싶은 거 털어놓고, 아프면 같이 병원 가주고…."]

그런데도 서울시는 올해 초 쉼터와 "대상자가 중복된다"며, 내년부터 일시지원센터 운영을 중단하겠다고 통보했습니다.

KBS 취재가 시작되자 서울시는 센터를 계속 운영하는 방향으로 재검토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5만여 명에 이르는 가정 밖 청소년 규모를 감안하면 청소년쉼터 정원 등을 포함해도 지원시설 규모는 턱없이 적습니다.

[홍경희/센터장/십대일시지원센터 '나무' : "서비스 중복이 아니라 서비스를 보완하고 있고 체계 밖 청소년들을 주요 대상으로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기능을…."]

지난 2021년 이후로 명확히 조사된 적 없는 가정밖 청소년 규모, 가정 밖으로 내몰리는 이들의 실태 파악과 더 촘촘한 지원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KBS 뉴스 이유민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