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미국 군수기업 제재에 보복 관세 검토…미국 “확고히 반대”

입력 2024.05.23 (06:13) 수정 2024.05.23 (10: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중국이 미국 군수 기업들의 중국 내 자산을 동결하는 제재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미국의 중국 기업 제재에 대한 맞불 조치라고 밝혔는데, 미국이 반박에 나서며 미중 두 나라 간 무역 갈등이 거세지는 분위깁니다.

워싱턴 이정민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미국의 군수 기업 12곳과 기업 고위 관리 10명에 대해 중국 외교부가 자산 동결과 입국 불허 등의 제재를 발표했습니다.

록히드마틴 미사일 등 미국의 유력 군수 기업을 대상으로 중국 내 자산을 동결하겠다는 겁니다.

미국이 중국과 러시아 관계를 문제 삼으며 중국 기업에 일방적 제재를 가하고, 특히 타이완에 무기를 팔면서 중국 내정에 간섭하고 있다는 게 이번 제재의 이유라고 밝혔습니다.

중국은 지난 20일 타이완 총통 취임 당일, 미국 보잉사 등 방산업체에 대한 제재를 발표했습니다.

미국 의회의 '틱톡 금지법' 통과를 주도한 마이크 갤러거 전 하원의원에 대해서도 입국 거부 등의 제재도 시작했습니다.

[왕원빈/중국 외교부 대변인 : "갤러거 전 의원은 중국의 내정에 심각하게 간섭하고 중국의 주권과 영토 보전을 훼손하며 중국과 미국의 관계에 훼방을 놓고 있습니다."]

앞서 미국은 중국이 러시아 방위 산업 기반에 압도적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며 제재 확대 의사를 밝힌 바 있습니다.

중국의 과잉 생산을 문제 삼으며 오는 8월부터 중국산 전기차 등에 대해 최대 4배 관세를 부과하겠다고도 발표했습니다.

이번 군수기업 등에 대한 중국의 '맞불 제재'엔 명분이 없다며 확고히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제이크 설리번/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 "(중국이) 너무 많은 제품을 생산해 전 세계 시장에 뿌리면서 글로벌 불균형을 만들고 (시장) 안정성을 위태롭게 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반박에도 중국은 미국·유럽산 차량에 대해 보복 관세를 매기는 추가 조치 시행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미국과 중국, 두 나라의 무역 갈등이 세계 경제 성장에 위협이 될 수 있다고 국제통화기금, IMF는 전망합니다.

한국 정부도 대응책 마련 필요성을 언급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이정민입니다.

촬영기자:오범석/영상편집:김은주/그래픽:강민수/자료조사:이세영 서호정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 미국 군수기업 제재에 보복 관세 검토…미국 “확고히 반대”
    • 입력 2024-05-23 06:13:35
    • 수정2024-05-23 10:21:16
    뉴스광장 1부
[앵커]

중국이 미국 군수 기업들의 중국 내 자산을 동결하는 제재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미국의 중국 기업 제재에 대한 맞불 조치라고 밝혔는데, 미국이 반박에 나서며 미중 두 나라 간 무역 갈등이 거세지는 분위깁니다.

워싱턴 이정민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미국의 군수 기업 12곳과 기업 고위 관리 10명에 대해 중국 외교부가 자산 동결과 입국 불허 등의 제재를 발표했습니다.

록히드마틴 미사일 등 미국의 유력 군수 기업을 대상으로 중국 내 자산을 동결하겠다는 겁니다.

미국이 중국과 러시아 관계를 문제 삼으며 중국 기업에 일방적 제재를 가하고, 특히 타이완에 무기를 팔면서 중국 내정에 간섭하고 있다는 게 이번 제재의 이유라고 밝혔습니다.

중국은 지난 20일 타이완 총통 취임 당일, 미국 보잉사 등 방산업체에 대한 제재를 발표했습니다.

미국 의회의 '틱톡 금지법' 통과를 주도한 마이크 갤러거 전 하원의원에 대해서도 입국 거부 등의 제재도 시작했습니다.

[왕원빈/중국 외교부 대변인 : "갤러거 전 의원은 중국의 내정에 심각하게 간섭하고 중국의 주권과 영토 보전을 훼손하며 중국과 미국의 관계에 훼방을 놓고 있습니다."]

앞서 미국은 중국이 러시아 방위 산업 기반에 압도적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며 제재 확대 의사를 밝힌 바 있습니다.

중국의 과잉 생산을 문제 삼으며 오는 8월부터 중국산 전기차 등에 대해 최대 4배 관세를 부과하겠다고도 발표했습니다.

이번 군수기업 등에 대한 중국의 '맞불 제재'엔 명분이 없다며 확고히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제이크 설리번/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 "(중국이) 너무 많은 제품을 생산해 전 세계 시장에 뿌리면서 글로벌 불균형을 만들고 (시장) 안정성을 위태롭게 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반박에도 중국은 미국·유럽산 차량에 대해 보복 관세를 매기는 추가 조치 시행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미국과 중국, 두 나라의 무역 갈등이 세계 경제 성장에 위협이 될 수 있다고 국제통화기금, IMF는 전망합니다.

한국 정부도 대응책 마련 필요성을 언급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이정민입니다.

촬영기자:오범석/영상편집:김은주/그래픽:강민수/자료조사:이세영 서호정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