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일랜드·노르웨이·스페인,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 선언

입력 2024.05.23 (06:15) 수정 2024.05.23 (10: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노르웨이와 아일랜드, 스페인 등 유럽 3개국이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겠다고 공식 선언했습니다.

3개국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간 평화 해법을 찾기 위한 취지라고 했는데, 이스라엘은 주권 훼손이라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파리 안다영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노르웨이와 아일랜드, 스페인 3개국 총리가 현지시각 22일, 각각 기자회견과 의회 연설을 통해 오는 28일부로 팔레스타인을 독립 국가로 인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이먼 해리스 아일랜드 총리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간 분쟁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려는 것이라고 이번 결정의 취지를 설명했습니다.

요나스 가르 스퇴레 노르웨이 총리는 서로가 평화롭게 공존하는 '두 국가 해법'을 살려야 한다며, 테러를 저지른 건 '두 국가 해법'을 지지하지 않는 하마스와 무장단체라고 강조했습니다.

지난 몇 달간 가자지구 휴전 지지를 호소해온 페드로 산체스 스페인 총리는 이번 결정으로, 팔레스타인인이 존엄성과 희망을 갖게 될 거라 믿는다고 말했습니다.

[페드로 산체스/스페인 총리 : "'두 국가 해법'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두 당사자가 동일한 정당성을 가지고 동등한 조건으로 협상하기 위해 마주 앉아야 합니다. 이것이 우리가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는 이유입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간 전쟁이 장기화되자, 궁극적 해결책으로 여겨지는 '두 국가 해법'을 실행하자는 취지입니다.

이스라엘은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이스라엘 정부는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이 역내 테러와 불안 확산으로 이어질 거라고 비판하며, 해당 국가에 주재 중인 자국 대사에게 즉시 귀환 명령을 내렸습니다.

[베냐민 네타냐후/이스라엘 총리 :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려는 몇몇 유럽 국가들의 의도는 테러에 대한 보상입니다. 서안의 팔레스타인 주민 중 80%가 지난해 10월 7일의 끔찍한 학살을 지지합니다. 이런 악의 세력에 국가를 줄 수는 없습니다."]

요르단강 서안을 통치하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는 이번 결정을 환영하며, 다른 유럽 국가들의 동참을 촉구했습니다.

193개 유엔 회원국 가운데 지금까지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한 나라는 139개국에 달하지만, 미국과 영국 등은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습니다.

파리에서 KBS 뉴스 안다영입니다.

영상편집:한미희/자료조사:서호정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아일랜드·노르웨이·스페인,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 선언
    • 입력 2024-05-23 06:15:39
    • 수정2024-05-23 10:21:08
    뉴스광장 1부
[앵커]

노르웨이와 아일랜드, 스페인 등 유럽 3개국이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겠다고 공식 선언했습니다.

3개국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간 평화 해법을 찾기 위한 취지라고 했는데, 이스라엘은 주권 훼손이라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파리 안다영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노르웨이와 아일랜드, 스페인 3개국 총리가 현지시각 22일, 각각 기자회견과 의회 연설을 통해 오는 28일부로 팔레스타인을 독립 국가로 인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이먼 해리스 아일랜드 총리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간 분쟁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려는 것이라고 이번 결정의 취지를 설명했습니다.

요나스 가르 스퇴레 노르웨이 총리는 서로가 평화롭게 공존하는 '두 국가 해법'을 살려야 한다며, 테러를 저지른 건 '두 국가 해법'을 지지하지 않는 하마스와 무장단체라고 강조했습니다.

지난 몇 달간 가자지구 휴전 지지를 호소해온 페드로 산체스 스페인 총리는 이번 결정으로, 팔레스타인인이 존엄성과 희망을 갖게 될 거라 믿는다고 말했습니다.

[페드로 산체스/스페인 총리 : "'두 국가 해법'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두 당사자가 동일한 정당성을 가지고 동등한 조건으로 협상하기 위해 마주 앉아야 합니다. 이것이 우리가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는 이유입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간 전쟁이 장기화되자, 궁극적 해결책으로 여겨지는 '두 국가 해법'을 실행하자는 취지입니다.

이스라엘은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이스라엘 정부는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이 역내 테러와 불안 확산으로 이어질 거라고 비판하며, 해당 국가에 주재 중인 자국 대사에게 즉시 귀환 명령을 내렸습니다.

[베냐민 네타냐후/이스라엘 총리 :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려는 몇몇 유럽 국가들의 의도는 테러에 대한 보상입니다. 서안의 팔레스타인 주민 중 80%가 지난해 10월 7일의 끔찍한 학살을 지지합니다. 이런 악의 세력에 국가를 줄 수는 없습니다."]

요르단강 서안을 통치하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는 이번 결정을 환영하며, 다른 유럽 국가들의 동참을 촉구했습니다.

193개 유엔 회원국 가운데 지금까지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한 나라는 139개국에 달하지만, 미국과 영국 등은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습니다.

파리에서 KBS 뉴스 안다영입니다.

영상편집:한미희/자료조사:서호정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